• 제목/요약/키워드: Reform strategy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27초

우리나라 학교환경교육 현황과 발전과제 - 교사의 요구조사와 6차 교육과정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 (Environmental Education in Korean Schools : The present and the Task)

  • 최석진;김정호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1권1호
    • /
    • pp.251-274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in environmental education by schools which was newly established in the 6th curriculum and to propose the future agenda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Then, we have investigated teachers' consciousness about environmental education and analysed the 6th curriculum and textbooks at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levels.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1. Most teachers thought of 'participation' as important go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but they actually could not practice it because of various preventing factors. 2. Most teachers thought that there were no efforts to reform textbook system and school conditions. 3. The content and go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was duplicated and vague in each subject. The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based on thes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1. The systematic goal strategy of environmental education must be established. 2. We must allot appropriate roles to each environment related subjects for efficient environmental education 3. The opportunity for pre-service and in-service for teachers of environmental education must be expanded.

  • PDF

The Social Effects of Higher Education Policy in South Korea: The Rise of the "Pig Mum" phenomenon

  • Lee, Eugene;Calonge, David Santandreu;Hultberg, Patrik
    • Journal of Contemporary Eastern Asia
    • /
    • 제18권1호
    • /
    • pp.70-93
    • /
    • 2019
  • The contemporary educational system in South Korea is built on high-stakes standardised tests, a manifestation of the national project of social reconstruction and reform. One recent outcome is the emergence of an unfamiliar yet ubiquitous phenomenon: the "pig mum"; a Korean parent who is fully involved in organising, scheduling and managing the educational process from primary to secondary school for a group of children in a neighbourhood. Based on a quasimixed method utilizing a survey of a group of students and parents, this pilot study explores the "pig mum" phenomenon and its linkage to education policy. The authors conclude that the current educational policy fails to achieve the ideals it professes to value. This creates deep and negative societal norms that endanger a growing generation of students by creating a parallel private education market environment where "pig mums" thrive.

BOT INVESTMENT IN CHINA HYDRO POWER PROJECT MARKET AND STRATEGY

  • Robert Tiong L. K.;K. Li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196-205
    • /
    • 2007
  • China power market is fast changing. The strong economic growth does make BOT power projects to be one of the focuses for investment in China due to the huge demand for energy by the Chinese government. Since late 80's,various power projects BOT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but appear too fragmented which fail to linked the BOT studies to the most recent government policies' changes or market movement. This study has carried out analysis on the recent changes in China power industry reform and local government authority empowerment. The impact of those changes to BOT investment has been identified and recommendations have been made on the new opportunities and new strategies especially from the Singapore's investors' point of view. A case study on BOT hydropower plant has been presented which could be a suitable model for Singapore investors.

  • PDF

중국 동관 IT 산업 클러스터의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 및 커플링 전략 (Global Production Network and Coupling Strategy of IT Industrial Clusters in Dongguan, China)

  • 이상빈;성을현;염명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7호
    • /
    • pp.39-46
    • /
    • 2017
  • 중국 경제성장에 핵심적 역할을 해왔던 광동성(廣東省) 동관시는 지리적으로 근접해 있는 홍콩을 이용하여 지속적인 경제발전을 추구해 왔다. 1980년대 초반은 홍콩으로부터 가전산업 관련 중소 다국적 기업이 동관지역에 진출하여 생산 공장을 세우고, 그 후 1990년 중반에는 대만의 PC제조업체의 진출이 잇따르면서 현재 동관에는 정보통신산업과 PC부품 및 전자산업 중심으로 지역 산업클러스터가 발전해 왔다. 동관시 산업클러스터 사례는 개혁개방 이후 중국 제조업 산업의 발전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대에 해외직접투자와 아시아지역에서의 지역경제의 성장 및 산업발전과정의 연구에 대한 이론적 시사점을 줄 수 있는 지역적 사례 중의 하나다. 본 연구는 광동성 동관시 지역산업클러스터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론적으로는 지역산업발전의 내생적 성장요인 분석(NMID) 혹은 글로벌 생산네트워크와의 외부적 연계성을 기초로 하는 산업의 지역적 분화(GPN)에 대한 이 두 관점을 상호 비교하고, 글로벌 융합전략을 설명하였다.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 단원의 개념도 개발 (Concept Map Development of 'Eco-friendly Clothing Life and Reform Clothes' Unit in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Based on 2009 Revised Curriculum)

  • 양지선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61-183
    • /
    • 2017
  • 본 연구는 2009 개정 기술 가정 교과서 의생활 영역 '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 단원에서의 지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시각적인 수업전략으로서 개념도 개발에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록 준거설정, 내용분석, 개념추출, 개념도 개발의 과정으로 진행되었으며 내용분석을 위한 분석대상은 2009 개정 기술 가정 교과서 10종이며 개념도 개발은 Cmap Tools V 6.02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과정과 결과는 첫째, 준거설정 과정에서 분석준거는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둘째, 내용분석 및 개념추출 과정에서는 교과서 분석을 통해 중단원 수준의 학습내용과 목표를 '의복선택과 구입', '의복손질과 관리', '의복수선과 재활용'의 세 가지 범주로 파악하고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중심 개념을 기준으로 세분화하여 개념을 추출하였다. 셋째, 개념도 개발과정은 추출된 개념을 바탕으로 개발되었으며 재검토 과정을 거쳐 수정 보완하였으며 총 10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다. 개념도 구성은 '의복선택과 구입'에서 '의복마련계획', '의복구입시 고려해야할 점', '품질표시'의 사이즈, 취급시 주의사항, '의복 손질과 관리'에서 '세탁물 분류하기', '얼룩빼기', '물세탁하기', '의복수선과 재활용'에서 '의복 수선하기', '옷 고쳐입기', '친환경적의생활'로 구성되었다.

식음료 서비스 산업의 과학적 경영 관리에 관한 연구

  • 김동승;이상정
    • 한국관광식음료학회지:관광식음료경영연구
    • /
    • 제8권
    • /
    • pp.21-33
    • /
    • 1997
  • This study reviews the scientific management theories and discusses those theories within the food service industry. By providing the principles and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theories on the food service industry, this study tries to identify their philosophies and usefulness to the industry so that the managers in the industry use them in their dylmanic operations. In the fastly changing modern globalized world, we now face a situation where it's becoming more and more difficult to mange a restaurant business. In order to build a food industry business that can maintain a continuous development in today's business environment, one will have to apply the professional management theory in a cost-reduce strategy. It is more important though to have managers, organization members, in short, any person who can work to be motivated in accomplishing these two major issues-income increase and cost reduction. In this erawhere it's getting so difficult for researches on possible strategies for these business managers to overcome their difficulties. It is for certain that in the upcoming second millenium the travel and tourism industry will be one of the world's biggest industry worldwide. Korea's hotel industry has developed since the 1988 Seoul Olympic Games and has shown great amount of competition within the same business. Thus managers have become acquainted with the "know-how" strategy and the practical and scientific managemnet theories were introduced. This helped not only to increase income but also to maximize profit. However, rather than concentration on the "Hard-ware" aspect "Soft-ware" related professional management strategies were developed along with professionalism and human service were emphazied. As such, the actual cost of food and beverages are for the hotel industry business managers the biggest shortterm expense item. Due to the natural state of food items, there is a great chance of "Loss" in preservance, and this is the reason it is complicated to effectively maintain food. As a consequence, very often, the failure to managea hotel or restaurant depends on the capability of the food and beverage preservance mangement: on how they are able to manage effectively the original price of food and beverage. Finally, the main problem of the original price management of food and beverage in Korean hotels are: a) No fixation of set price b) The difficulty to calculate the price difference between a set price and an original price. c) Lack of professinalism in managing the food and beverage original price. d) Lack of perception of the highest ranking management personnels. So as to reform these matters it is necessary to : a) Reform on the management accounting system b) Emphasize to the people in charge on the idea of original price management c) Reinforce original price mangement prevention and assurance of indepedent inspection rights d) Reat manpower

  • PDF

초임 중등 과학 교사의 수업에서 과학 내용의 전개 방식과 내용 이해 전략 (Beginning Science Teachers' Teaching Practice in Relation to Arranging Science Content and Sense-Making Strategy)

  • 안유민;김찬종;최승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91-702
    • /
    • 2006
  • 본 연구는 초임 중등 과학 교사의 과학 수업에서 교과 내용 전개방식, 내용 이해 전략과 갈등 요인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여섯 명의 초임 중등 과학 교사가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 참여 교사의 과학 수업을 참여 관찰하고, 녹화하였으며, 수업이 끝난 직후에 초임 교사를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녹화되고 녹음된 모든 자료는 전사되었으며, 미시건 주립대학에서 개발한 분석틀을 수정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임 중등 과학 교사들은 교과 내용의 전달에 치중하는 전통적 과학 수업을 지향하는 내용 전개 방식을 주로 활용하고 있다. 둘째, 초임 중등 과학 교사들의 내용 이해 전략은 비교적 낮은 수준인 절차적 나열과 내러티브 추론 전략이다. 셋째, 연구에 참여한 초임 교사의 지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입시 준비와 같은 사회적 요구와 선배 동료 교사와의 의견 불일치였다. 마지막으로 혁신적인 과학 수업의 장애 요인으로는 입시준비와 같은 사회적 요구 이외 에도 이전 교육 경험, 혁신적인 과학 수업에 대한 인식 및 준비 부족, 초임 교사를 위한 전문적 도움이나 전문성 계발을 위한 체계적인 프로그램의 부재이다.

핵위협하 국지도발 대비 대응전략 발전방향 (South Korea's strategy to cope with local provocations by nuclear armed North Korea)

  • 김태우
    • Strategy21
    • /
    • 통권31호
    • /
    • pp.57-84
    • /
    • 2013
  • North Korea's continuous threats and provocative behaviors have aggravated tension on the Korean peninsula particularly with the recent nuclear weapons test. South Korea's best way to cope with this situation is to maintain the balance among three policy directions: dialogue, sanctions, and deterrence. Among the three, I argue that deterrence should be prioritized. There are different sources of deterrence such as military power, economic power, and diplomatic clouts. States can build deterrence capability independently. Alternatively, they may do so through relations with other states including alliances, bilateral relations, or multilateral relation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hat South Korea needs most urgently is to maintain deterrence against North Korea's local provocations through the enhancement of independent military capability particularly by addressing the asymmetric vulnerability between militaries of the South and the North. Most of all, the South Korean government should recognize the seriousness of the negative consequences that North Korea's 'Nuclear shadow strategy' would bring about for the inter-Korea relations and security situations in Northeast Asia. Based on this understanding, it should develop an 'assertive deterrence strategy' that emphasizes 'multi-purpose, multi-stage, and tailored deterrence whose main idea lies in punitive retaliation.' This deterrence strategy requires a flexible targeting policy and a variety of retaliatory measures capable of taking out all targets in North Korea. At the same time, the force structures of the army, the air force, and the navy should be improved in a way that maximizes their deterrence capability. For example, the army should work on expanding the guided missile command and the special forces command and reforming the reserve forces. The navy and the air force should increase striking capabilities including air-to-ground, ship-to-ground, and submarine-to-ground strikes to a great extent. The marine corps can enhance its deterrence capability by changing the force structure from the stationary defense-oriented one that would have to suffer some degree of troop attrition at the early stage of hostilities to the one that focuses on 'counteroffensive landing operations.' The government should continue efforts for defense reform in order to obtain these capabilities while building the 'Korean-style triad system' that consists of advanced air, ground, and surface/ subsurface weapon systems. Besides these measures, South Korea should start to acquire a minimum level of nuclear potential within the legal boundary that the international law defines. For this, South Korea should withdraw from the Nuclear Non-proliferation Treaty. Moreover, it should obtain the right to process and enrich uranium through changing the U.S.-South Korea nuclear cooperation treaty. Whether or not we should be armed with nuclear weap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 terms of "all or nothing." We should consider an 'in-between' option as the Japanese case proves. With regard to the wartime OPCON transition, we need to re-consider the timing of the transition as an effort to demonstrate the costliness of North Korea's provocative behaviors. If impossible, South Korea should take measures to make the Strategic Alliance 2015 serve as a persisting deterrence system against North Korea. As the last point, all the following governments of South Korea should keep in mind that continuing reconciliatory efforts should always be pursued along with other security policies toward North Korea.

  • PDF

중국의 평화적 부상과 동아시아 지역협력 연구 (A Study of Chinese Peaceful Rise and East Asian Regional Cooperation)

  • 송일호;이계영
    • 통상정보연구
    • /
    • 제14권3호
    • /
    • pp.75-96
    • /
    • 2012
  • 2050년경 중국이 21세기의 글로벌 가버넌스를 바꾸게 될 전망이다. 중국의 부상은 다른 개도국들에게 중국식 발전모델을 제공할 것으로 예측된다. 중국의 '평화적 부상'전략에는 긍정적 요소와 장애적 요소가 동시에 존재한다. 중국부상의 긍정적 요인으로는 개혁개방 정책의 성공과 경제적 상호의존의 심화로 구축된 중국경제의 세계화, 공산당의 통치 이데올로기 수정과 문화 민족주의의 적절한 이용으로 달성된 중국정권의 안정성, 그리고 유교사상의 활용과 인적자본의 강화를 기반으로 한 소프트 파워의 제고를 들 수 있다. 중국의 대국부상은 동아시아에서의 강대국 지위를 회복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중국에게 동아시아는 지속적 성장을 담보하는 생존권역(lebensraum)이다. 이를 위해 지역 경제협력의 제도화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ASEAN이 추구하는 동아시아 공동체의 핵심가치는 상호존중, 공동번영과 평등주의, 조화로운 공존을 추구하는 다원주의(pluralism)인데 중국의 정책인 조화로운 세계, 평화공존과 가치관이 일치함을 알 수 있다. 이 공통된 가치를 통해서 동아시아 지역의 긴장해소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경제적인 성공과 소프트 파워를 앞세운 지역패권 전략으로 과거의 영광스러운 지위를 되찾으려 할 것이다. "동아시아에 근거를 두고 세계로 나아간다"는 동아시아 전략의 성공을 기반으로 세계규칙의 조정자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을 비롯한 주변국은 중국의 '평화적 부상'전략의 최대 수혜국이 될 것이다. 중국의 부상이 주변국, 특히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은 심대한데, 현재보다 상품 이동, 노동력 이동과 양국간 자본이동의 규모가 훨씬 더 커져 육상, 해상에서 국경을 마주하고 있는 우리나라와 중국은 지역무역협정 체결으로 상호의존도가 높아질 것이다.

  • PDF

국방 IT 거버넌스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form of A Defence IT Governance System)

  • 양호경;박현규;차현종;조용건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5B호
    • /
    • pp.777-784
    • /
    • 2010
  • 현대의 정보화 사회에서는 정보기술이 기업과 공공기관에 도입되면서 정보기술 전반을 관리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비즈니스 목표와 IT의 연계 필요성이 증대되고 함께 IT투자의 중복을 방지하고 ROI를 추구하는 조직들이 늘어났다. 이에 여러 선진 기업들이 IT 거버넌스라는 개념을 제창하였다. IT 거버넌스는 기업의 비즈니스와 IT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결정인자들의 구조 및 동적양상을 나타내며, 비즈니스와 IT 관련 사내외 위원회 및 부서, 그리고 그들의 활동범위 및 연관관계를 나타내는 프레임워크, 조직도 및 프로세스 구성으로 표현이 된다. 이러한 외부적인 요인과 맞물려 현재 우리 군의 국방 비전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국방 IT 거버넌스의 재확립은 필수적인 사항이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국방 IT 거버넌스의 프레임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핵심 추진전략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이러한 주장에 뒷받침하기 위해서 IT 거버넌스의 전반적인 내용을 기술하고 국내 외와 해외의 군 사례를 분석하여 보고 국방 IT 거버넌스의 프레임워크 구축을 위한 핵심 추진전략을 연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