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flector

검색결과 1,062건 처리시간 0.03초

반사판을 갖는 인셋 급전 CSLR 패치 안테나 제작 (Fabrication of CSLR-loaded Inset Fed Patch Antenna with a Conducting Reflector)

  • 홍재표;김병문;손혁우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1047-1052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인셋 급전한 패치의 접지면에 Complementary Single Loop Resonators(: CSLRs)을 배열한 안테나의 복사패턴을 개선하기 위하여 도체 반사판 사용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안테나의 반사판은 패치의 접지면으로부터 약 ${\lambda}_0/4$ 아래에 위치하고, 크기는 패치의 약 2배 정도이다. 유전율 2.5, 두께 0.787 mm인 마이크로스트립 기판을 사용하여 안테나를 설계, 제작하여 실험하였고, Finite Element Method(: FEM) 기반의 3D EM Solver인 HFSS를 사용하여 시뮬레이션 하였다. 실험결과, 반사판이 있는 경우의 안테나 공진주파수와 정합특성은 반사판이 없을 때와 거의 동일하게 변화가 없었으나, 복사패턴은 반사판에 의해 상당히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절곡된 타원형 도체평판 급전부를 갖는 포물선 반사판 안테나 설계 (Design of the Parabolic Reflector Antenna with Bended Elliptical Conductor Plate Feed)

  • 김병문;윤리호;홍재표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989-996
    • /
    • 2017
  • 제안된 지향성 펜슬빔 안테나는 절곡된 타원 도체평판을 갖는 도파관 급전부와 포물형 곡면 반사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반사판 뒤에서 삽입된 급전 도파관의 종단 부근 광벽에 위치한 두 개의 사각형 개구는 반사판 초점에 위치하며, 절곡된 타원 평판으로 전자파 에너지를 방출시킨다. 이 평판은 전자파 에너지를 일차 반사시키며, 주 반사판을 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도파관 종단에 위치한 두 사각형 개구는 안테나 시스템의 임피던스 정합을 위해서 안쪽으로 돌출된 탭을 가지는데, 탭의 형태는 잘려진 타원형이다. 제안된 포물형 반사판 안테나의 반사판의 직경은 400 mm, 촛점은 134.23 mm 이며, 사용 중심주파수 16.5 GHz에서 안테나이득은 33.68 dBi, 3 dB 빔폭은 $3.3^{\circ}$, 반사손실 -15 dB 사용대역폭은 1.0 GHz 이상이 되도록 설계하여, HFSS-IE를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위성용 전개형 고안정 반사판 안테나 복합재 주반사판 설계 및 해석 (Design and Analysis of Composite Reflector of High Stable Deployable Antenna for Satellite)

  • 김동건;구경래;김현국;송성찬;권성철;임재혁;김영배
    • Composites Research
    • /
    • 제36권3호
    • /
    • pp.230-240
    • /
    • 2023
  • 전개형 반사판 안테나는 단위 구조물 형태의 반사판이 접힌 상태로 수납되어 발사체에 탑재된 후, 운용궤도에 도달 및 전개되어 임무를 수행하는 위성체이다. 전개형 반사판 안테나는 수납 부피를 줄일 수 있어 발사체의 제한적 수납공간에 대형 우주 구조물을 탑재시킬 수 있으며, 경량소재를 적용할 경우 발사 및 운용 성능 향상에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개형 반사판 안테나를 구성하는 주반사판에 대해 강성 및 강도 등의 구조적 분석을 통해 초기 개념설계를 수행하였다. 탄소섬유 복합재 및 허니콤 코어를 적용하여 경량 복합재 주반사판을 설계하였으며, 적층 패턴 및 형상을 설계 변수로 운용조건에 적합한 주반사판 설계안을 도출하였다. 이후 모드(Modal analysis), 준정적(Quasi-static), 열 구배(Thermal gradient) 및 동적(Dynamic) 거동에 대한 상세 구조해석을 수행하여 경량 복합재 반사판 안테나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네트워크 분산반사 서비스 거부 공격(DRDoS)에 대한 역추적 시뮬레이터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raceback Simulator for Distributed Reflector DoS Attack on Computer Network)

  • 이형우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65-72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DDoS/DRDoS 공격과 같이 Zombie 및 Reflector 기반의 네트워크 기반 해킹 공격에 대해 스푸핑된 공격 패킷의 근원지 IP를 역추적 할 수 있는 시뮬레이터를 설계/구현하였다. 현재까지 제시된 IP 역추적 기법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각 기법의 장단점을 파악하고 특히 근래에 많은 피해를 주고 있는 Reflector 기반의 DRDoS 공격에 대한 역추적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NS-2 기반의 패킷 IP 역추적 모듈 개발 구조를 제시하였고 이를 설계/구현하였으며 직접 DRDoS 공격 트래픽에 대한 역추적 과정을 수행하였다. 제시한 기법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 DRDoS 공격에 효율적으로 대응하였으며 개선된 역추적 성능을 제공하였다.

  • PDF

콤팩트 안테나 테스트 레인지용 파라볼릭 원통형 복반사경 시스템의 근접전계 해석 (Near-field Analysis of Dual Parabolic Cylindrical Reflector System for Compact Antenna Test Range)

  • 박재현;최학근;정지훈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237-244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CATR(Compact Antenna Test Range)을 위한 반사경 시스템으로 파라볼릭 원통형 복반사경 시스템을 해석하였다. 시험영역의 근접전계는 물리광학법(Physical Optics)을 적용하여 계산하였다. CATR은 균일한 평면파 제공을 위하여 최소한의 진폭과 위상 리플(ripple)을 가져야 하며 교차편파 또한 작아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부반사경의 위치와 시험영역의 위치에 따른 근접전계 패턴을 구하여 전계의 리플, 테이퍼와 교차편파를 고찰하였다. 본 논문의 해석결과는 파라볼릭 원통형 복반사경 시스템으로 구성된 CATR 설계에 충분히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Feasibility study of corner reflector for radar countermeasures and deception for conventional forces

  • Kang, Hee-Jin;Yang, Hyang-Kweon;Jo, Min-Chul;Kim, Kook-Hyun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1권2호
    • /
    • pp.171-175
    • /
    • 2017
  • The high-tech large warships are minimal and they are always monitored by opponents, and become primary targets when conflicts occur. The improvement in reducing susceptibility has significant importance because it is difficult for a ship to maintain mission capability and functionality once it is damaged. Ordinary decoys are effective only under the premise that the ship has already been exposed. Traditionally, for naval vessels, techniques related to the radar have been used in military stealth techniques to ensure confidentiality. The corner reflector, on the other hand, can produce rather large radar cross sections. Continued use of deceptive systems such as chaff during operations will help to improve survivability of naval ships. From this viewpoint, corner reflector was considered for making radar countermeasures and deception technology. This paper reviews the current status of corner reflector basis decoys and the technical feasibility of corner reflectors for developing structural decoys.

새로운 성형 반사판 기반의 이동 위성 통신 안테나 설계 (Novel Mobile Satellite Communication Antenna Design Based on Shaped-Reflector)

  • 정영배;박성욱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826-831
    • /
    • 2008
  • 본 논문은 이동 위성 통신을 위한 성형 반사판 기반의 하이브리드 안테나 설계에 대하여 서술한다. 하이브리드 안테나는 성형 반사판과 $1{\times}8$ 배열의 선형 위상 배열 안테나로 이루어진 급전부로 구성되며, 최소의 개구면으로 안테나에 요구되는 최적의 성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반사판 성형화 기법이 적용되었다. 또한, 급전부 설계에 있어서, 능동 배열의 수를 최적화함으로써 전체적인 안테나의 제작 단가를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Ka-대역에서 설계된 본 안테나는 앙각 방향 $+45^{\circ}$를 기준으로 ${\pm}3^{\circ}$ 범위에서 빔 패턴을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부엽 레벨을 포함한 안테나 빔 패턴에 대해서는 ITU-R S.465-5에 만족하도록 설계되었다.

오프셋 반사경 안테나의 빔 스캔 특성 해석 (Analysis of Beam Scan Characteristics of Offset Reflector Antennas)

  • 최학근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207-217
    • /
    • 1999
  • 오프셋 반사경 안테나에서 1차복사기가 초점에 위치 하지 않을 경우 개구면 상의 전계분포에 위상왜곡이 생기게 되어 최대 빔 방향이 바뀌고 이득이 감소하며 사이드로브가 증가한다. 이런 스캔특성을 고찰하기 위 하여 1차복사기가 초점에서 벗어나 있는 오프셋 반사경 안테나의 복사패턴을 짧은 시간에 정확하게 계산할 수 었도록 Zernike 다항식을 이용하여 해석하고 이로부터 반사경의 구조에 따른 스캔로스에 관한 데이터를 나타냈다. 또한 오프셋 반사경 안테나에서 구조에 따른 BDF를 계산할 수 있도록 이론을 전개하고 계산 결과 를 제시하여 빔 편향 특성을 알아볼 수 있게 하였으며 간단한 BDF 근사식도 제시하였다.

  • PDF

CRTS 반사판의 구조적 인자가 형상오차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Structural Parameters on the Shape Errors of CRTS Reflector)

  • 송원근;김승덕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87-94
    • /
    • 2003
  •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제작ㆍ조립 단계에서 변위하중을 받는 CRTS 반사판의 초기 정적평형상태론 결정하기 위하여 변위증분법을 사용하여 기하학적 비선형 유한요소 해석기법을 제시하고 반사반의 이상적인 형상파 실 제자 형상과의 차이, 즉 형상오차에 케이블 및 구조적 인자가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다. 본 연구 결과는 Galerkin method 와 NASS 98 Program을 사용하여 해석한 결과와 비교ㆍ검증하여 그 타당성을 입증한다.

반사 배광과 램프에 의한 반사광 흡수를 고려한 경면반사판 설계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Specular Reflector Design Algorithm Considering Reflected Light Distribution and Light Absorption by Lamp)

  • 황재산;이정욱;김기훈;김훈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7-12
    • /
    • 2001
  • 기구 배광이 전체적인 조명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크며, 기구배광은 반사판, 프리즘 설계 등으로 구현된다. 램프의 물리적 크기는 기구설계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램프에 의한 배광의 변화와 램프로 흡수되는 빛을 고려하여 기구를 설계하여야 한다. 기존의 반사파 설계 알고리즘의 경우 램프의 물리적인 크기를 고려하지 않았으며, 기구배광의 출력값도 몇몇의 경우에서는 오차가 발생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램프의 크기를 고려한 반사판설계 알고리즘을 개발, 구현하여 이전의 기구설계 알고리즘이 가지고 있던 오차를 줄였으며 좋은 성과를 얻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