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duction of Major Industrial Accidents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18초

Bow-Tie 분석을 통한 저장탱크 방지대책 효율성 분석 (Efficiency Analysis of Storage Tank Prevention Measures by Bow-Tie)

  • 이현진;정수민;강석민;채승빈;강승균;고재욱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73-83
    • /
    • 2020
  • 본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문제점은 공정 사고 감소는 산업 안전 감소보다 덜 감소하고 있으며, 석유 및 가스 공정산업의 주요 사고로 인한 손실은 지난 몇 년 동안 감소하지 않고 있는 상태이다. 특히 저장탱크에서 현재의 위험 접근 방식은 안전운전을 유지하는 것에 비해 설계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더 중점을 두고 있다. 이에 Bow-Tie 방법을 활용하여 적절하게 사용한다면 공정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Bow-Tie 방법은 운영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모든 중요한 안전 배리어를 명확하게 강조하고 배리어 효율성을 분석하여 적합성을 평가 할 수 있다.

산악관광도로 위험구간의 교통사고 요인분석 및 감소방안 -제주도의 지방도를 중심으로- (The traffic accident factors and reduction method in the hazard zone of mountain sightseeing roads -focused on Jeju local roads-)

  • 오재환;황경수;김경범;양정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374-388
    • /
    • 2016
  • 본 제주도 산악관광도로를 대표하는 교통사고가 잦은 지방도 1100도로, 516도로, 비자림로를 중심으로 교통사고를 유형별로 구분하여 사고특성을 분석하고, 통행 AHP 분석을 통해 주요 사고요인을 분석하고 지점속도의 분포와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도로특성상 관광객이 통행이 많고, 렌트카의 혼합율이 1100도로 및 비자림로는 36.70%~71.60%로 분석되었으며, 현재 조사대상 지방도는 60km/h의 제한속도로 규제하고 있으나, 도로선형 및 기후, 경관 등의 운전자 시거를 고려할 경우 제한속도를 40km/h로 규제할 필요성이 있으며, 조사대상 지방도의 40km/h이상 과속비율이 516도로는 87.0%, 1100도로는 88.57%, 비자림로는 93.1%로 분석되어 과속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과속에 따른 사고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516도로, 1100도로, 비자림로의 과속비율이 87.0%~93.1%로 무인과속단속시스템은 한 지점의 속도만으로 과속을 단속하는 시스템으로 단속지점에서만 속도를 줄이는 캥거루효과가 발생하고 있어 연속적인 속도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제주도의 도로특성상 연속적인 위험이 존재하는 도로구간에서는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위험구간의 평균속도로 과속차량을 단속하는 무인구간속도 위반단속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

Maxillofacial Trauma Trends at a Tertiary Care Hospital: A Retrospective Study

  • Jeon, Eun-Gyu;Jung, Dong-Young;Lee, Jong-Sung;Seol, Guk-Jin;Choi, So-Young;Paeng, Jung-Young;Kim, Jin-Wook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6권6호
    • /
    • pp.253-258
    • /
    • 2014
  • Purpose: Maxillofacial fractures are rapidly increasing from car accidents, industrial accidents, teenaged criminal activity, and sports injuries. Accurate assessment, appropriate diagnosis, and preparing individual treatment plans are necessary to reduce surgical complications. We investigated recent trends of facial bone fracture by period, cause, and type, with the objective of reducing surgical complications. Methods: To investigate time trends of maxillofacial fractures, we reviewed medical records from 2,196 patients with maxillofacial fractures in 1981~1987 (Group A), 1995~1999 (Group B), and 2008~2012 (Group C). We analyzed each group, comparing the number of patients, sex ratio, age, fracture site, and etiology. Results: The number of patients in each period was 418, 516, and 1,262 in Groups A to C. Of note is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atients from Group A to C. The sex ratios were 5.6:1, 3.5:1, and 3.8:1 in Groups A, B, and C. The most affected age group for fracture is 20~29 in all three groups. Traffic accidents are the most common cause in Groups A and B, while there were somewhat different causes of fracture in Group C. Sports-induced facial trauma was twice as high in Group C compared with Group A and B. Mandible fracture accounts for a large portion of facial bone fractures overall. Conclusion: We observed an increase in facial bone fracture patients a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over the years. Although facial injury caused by traffic accidents was still a major cause of facial bone fracture in all periods, the percentage decreased. In recent years, isolated mandible fracture increased but mandible and mid-facial complex fracture decreased, possibly because of a reduction in traffic accidents.

한국형 자율협력주행차량의 도입 방향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rection of the Introduction of Korean Autonomous Co-operation Driving Vehicle)

  • 이승필;김환성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61-162
    • /
    • 2020
  • 전 세계 주요 선진 항만에서는 AI, 빅데이터, 자율주행자동차, 커넥티드카 등 4차 산업기술과 ICT 기술을 활용하여 항만의 효율성 증가, 항만 내 오염물질 배출 저간 등 환경규제에 대비하고 있다. 그리고 3D 업종 기피 등으로 인한 인력 감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완전무인자동화 터미널 개발에 투자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항만에서는 선진 기술 도입이 늦어지고 있으며 그로 인한 항만 효율성이 떨어지고 있다. 또한 항만 안전사고 문제도 빈번하게 발생하여 항만 마케팅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각 우리나라 컨테이너 터미널 별 특성과 유형을 분석하고 그에 맞는 자율협력주행 도입요인을 5개의 대분류 요인과 15개의 중분류 요인으로 분류하였다. 계층적으로 분류된 도입요인은 선사, 항만공사, 컨테이너 터미널, 관계 부처 등에 근무하는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 PDF

사상체질과 작업특성간의 실증적 상관관계 연구 (An Empirical Correlation Study Between Sasang Constitutions and Job Characteristic)

  • 윤상원;갈원모
    • 사상체질면역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7-47
    • /
    • 2000
  • 작업자의 기질적 특성, 능력 등을 고려하지 않고 이루어진 작업들은 제조현장의 많은 문제점들이 되고 있으며 이런 결과들은 산업재해 및 직업병의 원인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제조경영 관점에서 품질 및 생산성 저하의 결과들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중소기업의 작업특성과 사상체질간의 구명을 시도한다. 체질의 기존의 이론인 사상체질(태양인, 태음인, 소양인, 소음인)을 QSCC II와 한의사의 도움으로 실질적인 구분을 실시하고, 체질이론의 공학적 응용의 기존문헌을 고찰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농기계 전문생산 업체를 중심으로 특정 사상체질의 작업자 중심으로 주요 작업특성을 해석하고 그 결과 작업자의 체질에 따라 작업특성이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한편, 실증적 연구로서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한 작업현장의 장면을 가상현실 장비 및 EEGs를 사용하여 체질변화에 따른 작업자의 뇌파효과를 조사한다. 조사된 뇌파 데이터를 통계분석 처리하여 그 다양한 뇌파 변화의 관계성을 보여준다. 최종 연구결과들은 추후 작업특성간의 비교 연구과정을 통해 기업의 생산성 향상과 품질 증진에 크게 공헌할 것으로 추측된다.

  • PDF

전두부 골절 환자의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OF FRONTAL BONE FRACTURE)

  • 민승기;한대희;장관식;오승환;이동근;조용민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2권1호
    • /
    • pp.56-62
    • /
    • 2000
  • Fracture of frontal bone is infrequent, but may have serious complications because of their proximity to the brain, eyes and noses. Fractures of the frontal area range from 5% to 15% of all facial bone fracture and include supraorbital rim and frontal sinus. As frontal bone fractures most frequently occur in the multiply injured patient, a thorough clinical and radiological examination of the patient is required before diagnosis and treatment plans are established. Sometimes coorperative treatment with other department is required. It is specially considered that incision for access to frontal region and surgical methods for open reduction, cranialization, cannulization, sinus obliteration. After surgical or conservative treatment, it may have complication. Complication of frontal bone injury vary in severity and may occur at several years after the incidents. The major types of complications are those that occur directly at the time of injury, infection and chronic problems. This is clinical study on 31 patients with frontal bone fracture, at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in dental hospital of Wonkwang university during past ten yea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ex ratio of all patients is 29 (94%) male to 2 (6%) female, the average age is 33 and the prominent groups are 2nd, 3rd decade age. 2. The causative factors are mostly traffic accident 22 cases (70%) and fall dawn, industrial accidents, so on. 3. The 17 cases has shown alert mental status, but neurologic problems is in 14 (45%) cases in initial accessment. 4. Associated facial bone fractures are prominent in the maxilla (42%) and panfacial fracture (39%). 5. Involved general problems are in department of neurologic surgery problems (65%), orthopaedic problems (23%) and ophthalmologic problems (19%) in order. 6. Open reduction has done in 15 cases and 16 cases with conservative management. 7.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re chronic headache (42%), esthetic problems (39%) and ophthalmologic problems (35%)in ord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