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d yellow soil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32초

$^{40}K$을 이용(利用)한 답토양(畓土壤)의 가리(加里) 공급력(供給力) 측정법 연구(測定法 硏究) (A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the potassium supplying power of paddy soils by $^{40}K$ application)

  • 김태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5권2호
    • /
    • pp.143-162
    • /
    • 1972
  • Based on the concentration of $^{40}K$ naturally occurring radioisotope of potassium, a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total potassium in soils and plants was developed. The method was extended to evaluate the potassium supplying power of soils by taking the ratio of exchangeable potassium to total potassium $(K_{ex}/K_t)$, termed the potassium buffering capacity. Using this as index, it was observed that the release of potassium from soil fellows the from order reaction. A linear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potassium buffering capacity and the release constant of potassium or mica content of the clay. Similarly the potassium buffering capacity was also closely correlated with total uptake of potassium by rice plant. Hence it is concluded that the method for determining of the potassium buffering capacity could be veil applied to characterize the potassium availability of soils. The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potassium is characterized by (1) The efficient measurement of the weak beta activity emissions from the samples, (2) identification of $^{40}K$, (3) calculation of total potassium content using the proportional constant of $^{40}K$ of samples to that of the standard. Difference in the potassium supplying power of soils due to soil types was also evaluated with the use of this technique. The degree of the potassium supplying power was in the order of soil types as red-yellow podzolic and lateric soils, basaltic materials(Rvd)> low-humic gley and alluvial soils, alluvial plains and food plains(Apa)> low-humic gley soils, nearly level to sloping local alluvial plains and slopes(Afb)> low-humic gley and alluvial soils, fluvio-marine plains (Fma).

  • PDF

한국(韓國)의 대표적(代表的)인 산림토양통(山林土壤統)에 대(對)한 중요(重要) 조림수종(造林樹種)의 시비효과(施肥効果) 분석(分析)에 관(關)한 연구(硏究) (I) (Analysis of Fertilizer Effect to the Main Tree Species with Typical Korean Forest Soil Series)

  • 정인구;김창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41-56
    • /
    • 1978
  • 우리나라 임지(林地)에 주(主)로 분포(分布)되어 있는 9개(個)의 대표토양통(代表土壤統)을 공시토양(供試土壤)으로하여 pot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하였다. 공시수종(供試樹種)으로는 우리나라의 대표수종(代表樹種)인 강원도산(江原道産) 소나무(강송)와 속성수(速成樹)의 대표적(代表的)인 수종(樹種)인 은수원사시나무 그리고 황폐임지복구(荒廢林地復舊) 및 지방증진(地方增進)을 위(爲)하여 많이 식재(植栽)되고 있는 아까시아나무를 공시목(供試木)으로 하였다. 본(本) 시험(試驗)의 목적(目的)은 산림토양통별(山林土壤統別) 임목생장(林木生長) 특성(特性)과 수종별(樹種別) 시비효과(施肥効果)를 구명(究明)하고 토양통별(土壤統別) 임목생장(林木生長)의 제한인자(制限因子)를 구명(究明)하여 임지비배(林地肥培)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자 하는데 그 목적(目的)이 있다. 1. 토양통별(土壤統別) 공시수종(供試樹種)의 생장특성(生長特性)은 침식토(浸蝕土)에서 가장 생육(生育)이 불량(不良)하고 다음 적색토(赤色土) 및 적황색토양(赤黃色土壤)에서 불량(不良)하여 갈색산임토양(褐色山林土壤)에서는 일반적(一般的)으로 임목생육(林木生育)이 양호(良好)한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2. 시비수준(施肥水準)에 따른 시비효과(施肥効果)의 불량(不良)한 척박토양(瘠薄土壤)일수록 시비효과(施肥効果)가 크게 나타났으나 전체(全體)의 물질생장량(物質生長量)의 절대시비지수(絶對施肥指數)는 비옥임지(肥沃林地) 토양(土壤)에서 많았다. 3. 아가씨나무에 있어서 생육제한(生育制限) 인자(因子)는 토양중(土壤中) $P_2O_5$ 함량(含量)으로서 $P_2O_5$ 함량(含量)이 적을수록 생육(生育)이 불량(不良)하였으며 중점토(重粘土)의 토양(土壤)에서도 불량(不良)한것 같다. 4. 소나무 생장(生長)은 토양중(土壤中)의 $K_2O$ 함량(含量)과 밀접(密接)한 관계(關係)가 있으며 pH는 중성내지(中性乃至) 알카리성(性) 토양(土壤)에서는 생육(生育)이 불량(不良)하고 약산성토양(弱酸性土壤)에서 생육(生育)이 불량(不良)하였다. 또한 OM이나 FN의 함량(含量)이 상장생장(上長生長)을 크게 좌우(左右)하고 있다. 5. 은수원사시나무는 속성수(速成樹)인만큼 비옥도(肥沃度)를 많이 요구(要求)하는 것으로서 토양중(土壤中)의 OMN, $P_2O_5$, $K_2O$ 함량(含量)과 생장량(生長量)과는 밀접(密接)한 관계(關係)가 있다. 6. 토성(土性)은 일반적(一般的)으로 사양토(砂壤土) 내지(乃至) 양토(壤土)에서 생육(生育)이 좋고 점질양토(粘質壤土)에서는 아카시나무, 소나무, 은수윈사시나무 공(供)히 생육(生育)이 불량(不良)하였다. 7. 수종별(樹種別) 시비수준간(施肥水準間)의 종합비효(綜合肥効)는 다음과 같다.

  • PDF

제주도토양의 무기태인산(無機態燐酸) 조성(組成)과 유효인산의 정량법(定量法) 비교(比較) (A Study on Composition of Inorganic phosphorus Forms and Methods of Determining Available Phosphorus in Volcanic Ash)

  • 신철우;류인수;윤정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93-97
    • /
    • 1981
  • 4종(種)의 제주도 토양에 인산질비료(燐酸質肥料)를 시용(施用)한후 무기태인산(無機態燐酸)의 형태별(形態別) 함량변화와 수종 침출액(浸出液)에 의한 유효인산(有效燐酸) 침출량(浸出量)을 실내실험으로 조사(調査)하여 비교(比較) 검토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총인산에 대한 무기태인산(無機態燐酸)의 비율(比率)은 토양종류에 따라 달라 Al-P는 6.9-28.8%, Fe-P는 24.1~26.9%, Ca-P는 7.4~11.9% 범위이며 유효인산(有效燐酸)은 0.7-8.0%로 매우 낮았다. 2. 토양종류별로 인산(燐酸)을 시용(施用)한 후(後) 60일후(日後)에 조사(調査)한 토양인산의 형태별(形態別) 조성(組成)을 본 결과(結果) 흑색토(黑色土)에서는 Al-P>Fe-P> Ca-P, 농암갈색토(濃暗褐色土)에서는 Fe-P> Al-P> Ca-P, 암갈색토(暗褐色土)에서는 Fe-P> Ca-P> Al-P. 적황색토(赤黃色土)에서는 Fe-P> Al-P> Ca-P의 순(順)으로 나타나 토양별 차이(差異)가 있었다. 3. 5종(種)의 침출액(浸出液)으로 토양별 유효인산(有效燐酸)을 검정한 결과(結果) Bray No.2법(法)은 토양종류에 관계없이 어느 토양에서나 침출능(浸出能)이 컸으나 그 외의 방법(方法)들은 토양의 종류별(種類別)로 침출능(浸出能)이 상이(相異)하게 나타났다. 4. 유효인산(有效燐酸) 침출방법(浸出方法)과 무기태인산(無機態燐酸) 함량(含量)과의 관계에서 Bray No.2법(法)은 Ca-P와 5%수준에서, Olsen법(法)은 Al-P, Fe-P, Ca-P 및 Total-P와 각각 1%수준에서 유의(有意)한 관계를 보였다.

  • PDF

유아(幼兒)의 놀이복 디자인 개발 연구 (Design Development for Toddler's Playwear)

  • 이연희;박혜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1227-1240
    • /
    • 2009
  • This study examines the actual conditions of toddler playwear preference survey for design and function. The study develops proper indoor and outdoor playwear for toddlers based on the analysis. A survey of 200 parents with toddlers between 2 and 6 years old and 120 teachers was conducted to find the conditions and needs for playwear along with the necessary design elements. Second, 6 designs including 3 designs for indoor playwear and 3 designs for outdoor playwear were made. These designs emphasized on soil contamination part, color, pattern, form, material, detail, and fasteners. Art play and cooking play are considered for indoor playwear and ways to decrease contamination on sleeve hem, elbow, chest, and knee were determined through the use of yellow, green, and blue colors. Applying a character and separate top with sleeves were determined. Light with breathable and waterproof fabric was determined. The correct amount of Velcro fasteners or buttons was determined for front fastening in addition a pocket was considered necessary as a detail part. The common design for both boys and girls along with a proper design for diverse play were determined. For outdoor playwear, water play, sand play, movement play, and ecology experience are considered and ways to decease contamination on hip, sleeve hem, and knee should be applied to the design as determined through the use of yellow, green, blue, and red colors. The demands for pattern, form, material, and details were similar to indoor playwear. Zipper and buttons for front fastening were determined. These final 6 playwear designs are presented using CAD WALK DESIGNWARE.

전라남도 나주시 동강면 일대 황토(풍화잔류토)의 토양학적 및 광물학적 특성 연구 (Pedological and Mineralogical Characterizations of Hwangto (Yellow Residual Soils), Naju, Jeollanam-do, Korea)

  • 김유미;배조리;김정빈;노열
    • 자원환경지질
    • /
    • 제47권2호
    • /
    • pp.87-96
    • /
    • 2014
  • 본 연구는 전라남도 나주지역 황토의 토양학적 및 광물학적 특성을 확인하고 주변 모암과의 상관관계를 통해 그 기원 및 형성과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지역은 전라남도 나주시 동강면 장동리이며, 토양단면(약 150 cm 깊이)의 황토를 깊이별로 상부, 중부, 하부층으로 나누어 토양학적 특성(색, pH, 입도분리)과 광물학적 특성(광물조성, 입자의 크기, 모양, 화학조성)을 연구하였다. 모암시료는 박편제작 및 현미경관찰을 통해 구성광물을 기재하고 황토의 구성광물과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황토는 pH 4.3~5.1 범위를 갖는 산성토이며 미사와 점토가 주로 구성된(약 95%) 미사질양토와 미사질식양토였다. 모래와 미사의 주 구성광물은 석영, 운모, 장석이며 점토는 침철석, 수산화층간 버미큘라이트, 일라이트, 카올리나이트, 할로이사이트, 질석과 소량의 석영이 포함되어 있었다. 모래와 미사의 SEM-EDX 분석을 통해 구성광물의 형태를 확인한 결과, 풍화작용으로 인해 부식되어 표면이 거칠고 산화철로 피복되어 있는 장석이 관찰되었고 하부층으로 갈수록 그 양은 증가했다. 점토는 TEM 분석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층상규산염광물이 확인되었으며, 상부에서 하부층으로 갈수록 침철석의 양이 증가했는데 이는 상부 층에서 용탈된 산화철이 하부층으로 이동되어 집적된 것으로 사료된다. 황토의 모암으로 사료되는 주변의 암석은 석영, 사장석, 흑운모, 녹니석 등으로 이루어진 화강반암이었다. 즉, 화강암류의 모암에서 장석과 운모 등이 풍화작용을 받아 일라이트, 질석, 수산화층간버미큘라이트 및 카올리나이트로 변하였으며 침철석은 흑운모 풍화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서, 본 연구지역의 황토는 오랜 기간 풍화작용에 의해 형성된 풍화잔류토로 판단된다.

주요 잔디류와 화본과 식량 밭작물의 황색마름병원균 및 설부소립균핵병원균에 대한 저항성 평가 (Resistance Evaluation of Several Turfgrass Species and Graminious Crop Species against Rhizoctonia cerealis and Typhula incarnata under Controlled Conditions)

  • 장석원;장태현;양근모;최준수;노용택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9-15
    • /
    • 2010
  • 2008~2009 겨울 동안 강원도와 전라북도 소재 골프장에서 분리한 황색마름병원균(Rhizoctonia cerealis Van der Hoeven)과 설부갈색소립균핵병원균(이하 설부병원균)(Typhlua incarnata Lasch ex Fr.)에 대한 화본과 식물과 잔디 종(품종)의 저항성이 실내에서 평가되었다. 분리균주의 병원성 검정결과 대부분의 잔디와 화본과 식물에 병을 일으켰지만 균주간의 병원력 차이도 발견되었다. 황색마름 병균은 잔디의 지제부위를 통해 감염하여 연한 갈색의 원형 반점 증상을 보이다가 진전되면 적색을 띄다가 결국 진한 갈색의 증상으로 나타났다. 설부병 증상은 수침형 반점으로 시작해서 전체 식물체를 갈색으로 고사시켰는데, 대부분 감염부위에서 흰색의 균사체가 식물체와 토양을 뒤덮었고 진전되면 다양한 크기의 갈색과 검은색의 독특한 균핵을 형성하였다. 병 발생은 습실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화본과 작물과 잔디의 종(품종)간에는 병원균의 병원력에 차이도 나타났으며 두 병원균에 대해 양적인 차이를 보였다.

Molecular identification of dye degrading bacterial isolates and FT-IR analysis of degraded products

  • Khan, Shellina;Joshi, Navneet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5권4호
    • /
    • pp.561-570
    • /
    • 2020
  • In the present study, dye decolorizing bacteria were isolated from water and soil samples, collected from textile industries in Jodhpur province, India. Two bacterial species namely, Bacillus pumilis and Paenibacillus thiaminolyticus were screened and identified based on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The degradation efficiency of these two microorganisms was compared through optimization of pH, incubation time, initial dye concentration and inoculum size. B. pumilis and P. thiominolyticus were able to degrade 61% and 67% Red HE3B, 81% and 75% Orange F2R, 49.7% and 44.2% Yellow ME4GL and 61.6% and 59.5% Blue RC CT dyes of 800mg/l concentration respectively. The optimum pH and time were found to be 8 within 24 hours. The FT-IR analysis confirmed that microorganisms were able to degrade toxic azo dyes into a non-toxic product as proved through structural modifications to analyze chemical functions in materials by detecting the vibrations that characterize chemical bonds. It is based on the absorption of infrared radiation by the microbial product. Therefore, Bacillus pumilis and Paenibacillus thiaminolyticus are a promising tool for decolorization of dyes due to its potential to effectively decolorize higher azo dye concentrations (10-800 mg/L) and can be exploited for bioremediation.

Streptomyces sp. M-20 균의 대사물에 의한 Streptococcus mutans의 Glucosyltransferase 활성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Metabolites isolated from Streptococcus mutas sp. M-20 on Glucosyltransferase Activity from Streptococcus mutans)

  • 김경자
    • 약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22-127
    • /
    • 2005
  • Dental caries is one of the most common oral diseases in the world. Glucosyltransferase (Gtase) of Streptococcus mutans (S. mutans)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 pment of dental caries. For the purpose to develop anti- caries, we examined the effect of metabolites isolated from Streptomyces sp. M-20 on Gtase and the growth of S. mutans. Streptomyces sp. M-20 isolated from Mongolian soil showed 95~96% sequence homology with that of Streptomyces lin- colnensis. The metabolites of Streptomyces sp. M-20 were partially purified by extraction with ethyl acetate,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and preparative TLC. Partially purified metabolite, red colored component (MR-20) in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potent antibacterial activitiy against S. mutans and inhibitory activity against Gtase purified from S. mutans, while another isolated yellow component (MY-20) showed no activity against S. mutans. The inhibitory activity of MR-20 against Gtase was confirmed by activity staining on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The concentration of MR-20 for 50% inhibition $(IC_{50})$ against Gtase activity was $60{\mu}g/ml$. These results suggest that MR-20 can be developed for antibacterial agent and anticaries.

간척지 사료작물 재배에 있어서 모래를 이용한 토양 mulching의 효과 II. 간척지 재배목초의 생육 및 건물축적형태와 사료가치에 관한 연구 (effects of Sand Mulching on Forage Production in Newly Reclaimed Tidal Lands II. Studies on growth , dry matter accumulation and nutrient quality of selected forage crops grown on saline soils)

  • 김정갑;한민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77-83
    • /
    • 1990
  • A three year's field experiment was carried out on newly reclaimed tidal saline soils to evaluate the salt tolerance and growht characteristics, and their relationship to dry matter production and nutrient quality of main selected pasture species. Nine temperate grasses (14 varieties) and two forage crops (sorghum and pearl millet) were grown under different mulching treatments with medium sand and red-yellow soils (fine loamy materials of Typic Hapludults) from 1986 to 1988. Tall wheatgrass, tall fescue, reed canarygrass and alfalfa showed a good tolerance to soil salinity, especially tall wheatgrass (cv. Alkar) produced 19.6 ton/ha dry matter yield annualy under mulching treatment with medium sand depth in lcm. Pearl millet (cv. Gahi-3) was also evaluated as a salt tolerable forage species. Under salt stress in newly reclaimed tidal lands, plant showed a decrease in the assimirable leaf area (LA) as well as specific leaf area (SP. LA) and a low leaf weight ratio(LWR), and it resulted in a low concentration of crude protein and low digestible dry matter contents. Absorption of macro and micro elements in the plant on tidal lands was increased markedly.

  • PDF

홍적층(洪積層) Catena에서 토양(土壤)의 발달(發達)과 특성(特性)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Diluvial Soils on the Catena)

  • 임상규;최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00-206
    • /
    • 1984
  • 연쇄(連鎖)된 홍적층(洪積層)에 기인(基因)된 반천(盤泉), 고평(高平), 화동(華東) 및 덕평통(德坪統)에 대(對)하여 형태적(形態的) 특성(特性)과 토양(土壤)의 이화학성(理化學性)을 조사(調査) 연구(硏究)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반천(盤泉), 고평(高平), 화동(華東) 및 덕평통(德坪統)의 순(順)으로 토양(土壤) 연쇄성(連鎖性)이 인정(認定)되며 반천(盤泉)과 고평통(高平統)은 배수(排水)가 양호(良好)하고 화동(華東)과 덕평통(德坪統)은 지형(地形)과 관개수(灌漑水)의 영향(影響)으로 배수(排水)가 약간(若干) 양호(良好)하였다. 2. 반천(盤泉)과 고평통(高平統)의 표토(表土)는 황적색(黃赤色), 암황갈색(暗黃褐色)의 미사식양질(微砂埴壤質)이고 심토(心土)는 황적색(黃赤色), 적색(赤色) 및 진갈색(眞褐色)의 중용(中庸) 내지 강(强)한 각주상(角柱狀) 혹은 각괴상(角塊狀) 구조(構造)로서 점토피막(粘土皮膜)이 있는 식질(埴質)이며, 화동(華東)과 덕평통(德坪統)의 표토(表土)는 암회갈색(暗灰褐色), 회갈색(灰褐色)의 미사식양질(微砂埴壤質)이고 심토(心土)는 진갈색(眞褐色), 명(明)오리브갈색(褐色), 적색(赤色)의 중용(中庸) 내지 강(强)한 각주상(角柱狀), 각괴상(角塊狀) 혹은 반각괴상(半角塊狀) 구조(構造)로서 점토피막(粘土皮膜)이 있는 미사식양질(微砂埴壤質)이나 식질(埴質)이었다. 또한 이들 심토층(心土層)은 매우 치밀(緻密)하고 단단하며 습(濕)할 때 점착성(粘着性)과 가소성(可塑性)이 매우 강(强)하였다. 3. 미사(微砂)/점토율(粘土率), 토양산도(土壤酸度), 유기물(有機物), 유효수분(有效水分) 및 인산함량(燐酸含量)은 지형(地形)이 낮은데 위치(位置)한 토양(土壤)일수록 그 함량(含量)이 많았으나 활성철(活性鐵)은 그 반대(反對)인 경향(傾向)이었다. 4. 공시토양(供試土壤)들을 미국(美國)의 신(新) 분류법(分類法)에 따라 Hapludalfs로 분류(分類)할 수 있었다. 5. 이들 토양(土壤)들의 생산성(生産性)을 제고(提高)하기 위(爲)하여는 석회(石灰), 인산질비료(燐酸質肥料) 및 퇴비(堆肥) 등(等)의 증시(增施)가 요구(要求)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