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d pine forests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7초

산청군 고령토(백토) 노천 광산 채굴지와 인접 소나무 임분의 토양 물리·화학적 성질 (Soil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Kaolinite Opencast Mines and Adjacent Red Pine Forests in Sancheong-gun)

  • 김경태;백경원;최병길;하지석;김춘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9권4호
    • /
    • pp.382-389
    • /
    • 2020
  • 노천 광산 채굴지의 토양 물리·화학적 성질은 광산지 식생 복원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본 연구는 경상남도 산청군 고령토 광산의 고령토 폐석지와 식생 복원지 및 인접한 소나무 임분의 토양 성질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고령토 채굴이 진행되고 있는 6개 지역을 선정하고 고령토 폐석지, 식생 복원지, 소나무 임분의 토양 10 cm 깊이에 물리·화학적 성질을 조사하였다. 토양 용적밀도는 고령토 폐석지가 1.51 g·cm-3로 식생 복원지 1.19 g·cm-3나 소나무 임분 0.93 g·cm-3에 비해 유의적으로(P < 0.05) 높게 나타났으며, 기상은 고령토 폐석지가 14.2%로 소나무 임분 32.6%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점토함량은 소나무 임분이 33.6%로서 고령토 폐석지 14.8%나 식생 복원지 18.7%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토양구조 안정지수는 고령토 폐석지가 0.87%, 식생 복원지가 1.61%로 소나무 임분 7.75%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토양 pH는 고령토 폐석지 pH 6.68, 식생 복원지 pH 6.27로 소나무 임분 pH 5.31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그러나 토양 유기탄소 농도는 고령토 폐석지 2.12 mg·g-1, 식생 복원지 5.00 mg·g-1, 소나무 임분 36.03 mg·g-1, 전질소 농도는 고령토 폐석지 0.07 mg·g-1, 식생 복원지 0.31 mg·g-1, 소나무 임분 2.08 mg·g-1로 고령토 폐석지와 식생 복원지는 소나무 임분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보였다. 토양 내 유효 인 농도는 고령토 폐석지, 식생 복원지, 소나무 임분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토양 포타슘 농도는 고령토 폐석지 0.08 cmolc·kg-1과 식생 복원지 0.21 cmolc·kg-1로 소나무 임분 0.30 cmolc·kg-1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고령토 노천 채굴지의 고령토 폐석지나 식생 복원지는 토양 용적밀도가 높고, 토양 유기탄소, 전질소, 유효 인, 교환성 포타슘 농도가 낮았으며 식생 복원지의 경우 토양 비옥도로 향상할 수 있는 관리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생형을 고려한 소나무 임분의 조림적 고찰 (Consideration of Silvicultural Practice by Taking Community Type of Pinus densiflora Stand)

  • 이광수;이중효;김석권;배상원;정문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6-65
    • /
    • 2009
  • 한국에서 소나무는 문화적, 역사적, 정서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으며, 목재자원 생산이 가능한 수종이다. 소나무의 점유면적은 점차 줄어드는 반면, 참나무류를 비롯한 활엽수림이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소나무림 유지를 위한 갱신과 시업법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중부지역을 대상으로 소나무에 대한 임분유형 및 구조분석을 통하여 생육환경과 천이과정을 파악함으로서, 안정적이며 지속적인 경영림으로서의 발달과 천연갱신 유도에 그 목적이 있다. 중부지역 소나무림은 당단풍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 비목군락, 전형군락으로 분류되었으며, 지역에 따라 유형별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었다. 상층에는 소나무가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중층에서는 참나무류 등 활엽 교목성 수종의 중요치가 높았으며, 하층에서 소나무 출현은 빈약하였다. 따라서 상관적으로 소나무가 생태적 영향력이 높은 것처럼 나타나고 있지만, 차후 자연 상태에서 교목층의 소나무가 고사하면 아교목층 이하 신갈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 등 참나무류가 우점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소나무림의 형질과 생장패턴은 임분유형에 따라 지역별 차이를 보이고 있어 소나무림에 대한 시업도 차별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Phosphorus and Base Cation Inputs through Litterfall Components in Pine Forests after Tree Removal Due to Pine Wilt Disease Disturbance

  • Baek, Gyeongwon;Kim, Seongjun;Kim, Choonsig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3호
    • /
    • pp.296-301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litterfall and nutrient (P, K, Ca, Mg) inputs under varying degrees of disturbance by pine wilt disease in pine forests in southern Korea. Litterfall was collected to evaluate nutrient responses at different intensities of disturbance (various levels of basal area) by pine wilt disease across 2 years. Phosphorus, Ca, and Mg concentrations in needle litterfall were positively correlated (p < 0.05) with decreased disturbance intensities (increased basal area) depending on the time of sampling, whereas the nutrient concentrations in other litterfall components (branches, bark, reproductive organs, and miscellaneous litterfall)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p > 0.05) with the intensity of pine wilt disease disturbance. Dry weight and nutrient inputs through litterfall components decreased linearly with increasing intensity of disturbance by pine wilt disease (p < 0.05), except for the nutrient inputs of branch (K, Ca, Mg) and reproductive organ (K, Ca) litterfal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ecreased litterfall across different levels of disturbance may be related to the reduced soil nutrients in pine wilt disease forests.

Classification of Forest Cover Types in the Baekdudaegan, South Korea

  • Chung, Sang Hoon;Lee, Sang Tae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7권4호
    • /
    • pp.269-279
    • /
    • 202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troduce the forest cover types of the Baekdudaegan inhabiting the number of native tree speci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vegetation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Baekdudaegan, a vegetation survey was conducted on the major 20 mountains of the Baekdudaegan. The veget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3,959 sample points by the point-centered quarter method. Each mountain was classified into 4-7 forests by using various multivariate statistical methods such as cluster analysis, indicator species analysis, multiple discriminant analysis, and species composition analysis. The forests were classified mainly according to the relative abundance of Quercus mongolica. There was a total of 111 classified forests and these forests were integrated into the following nine forest cover types using the percentage similarity index and by clustering according to vegetation type: 1) Mongolian oak, 2) Mongolian oak and other deciduous, 3) Oaks (Mixed Quercus spp.), 4) Korean red pine, 5) Korean red pine and oaks, 6) ash, 7) mixed mesophytic, 8) subalpine zone coniferous, and 9) miscellaneous forest. Forests grouped within the subalpine zone coniferous and miscellaneous classifications were characterized by similar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those forests that did not fit in any other category, respectively.

솔잎흑파리 피해림의 소나무 생장에 관하여 (On the Growth of Pine Tree in the Damaged Forest by the Needle Gall Midge)

  • 임경빈;임웅규;황종서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권2호
    • /
    • pp.66-71
    • /
    • 1977
  • The growth of red and black pines in Muan, Seochen, Gapyeong and Kochang areas was compared by means of the growth of annual ring width and stem analysis to study the process of damages caused by pine needle gall midge. Red pine forest of Seocheon area began to suffer by pine needle gall midge from 1961 and the damage was to becoming severe from 1967. The damage became so intense tha tmany forests are withering to death from spring of 1975. Black pine forest also began to suffer from 1973. Red pine forest of Muan area was supposed to be suffered from 1973. Red pine forest of Kochang area suffered by pine needle gall midge from 1967. It seems that the damage became severe from 1973 and that black pine forest was also badly damaged from that time. Red pine forest of the control plot, Gapyeong area, began to suffer from 1967 and it also became intense from 1973. Although the areas of Seocheon, Muan, Kochang, and Gapyeong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erms of locality and the infitration period of pine needle gall equally from 1967 due to mass development of population or other factors and the damage became more intense from 1973. Black pine forest was also badly damaged from that time. Black pine seems to be stronger in insect resistant than red pine. This can be justified by the fact that it began to suffer belatedly in each area and the degree of damage is moderate. The damage of Seocheon area is the severest following Kochang. Muan area is relatively moderate but the forest becoming decrease in growth.

  • PDF

A Comparison of Litterfall Dynamics in Three Coniferous Plantations of Identical Age under Similar Site Conditions

  • Jeong, Jae-Yeob;Kim, Choon-Sig;An, Hyun-Chul;Cho, Hyun-Seo;Choo, Gap-Chul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2권2호
    • /
    • pp.97-102
    • /
    • 200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litterfall dynamics in three adjacent coniferous tree plantations (larch: Larix leptolepis; red pine: Pinus densiflora; rigitaeda pine: P. rigitaeda) planted in the same year (1963), and growing under similar environmental conditions in the Sambong Exhibition Forests, Hamyang-gun, Gyeongsangnam-do. Litter was collected monthly between July 2006 and June 2008. Needle, broad leaf and total litter inputs followed a similar monthly pattern in the three coniferous plantations. The amounts of needles, flowers, and miscellaneous litter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larch than in the two pine plantations, while branch litte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larch than in the two pine plantations. Average total litterfall for two years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pine (5,475 kg $ha^{-1}\;yr^{-1}$ for red pine and 5,290 kg $ha^{-1}\;yr^{-1}$ for rigitaeda pine) plantations than for the larch (3,953 kg $ha^{-1}\;yr^{-1}$ plantation. Needle litter comprised about 73.1% of total litterfall for the rigitaeda pine, 70.8% for the red pine and 62.9% for the larch plantations.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litterfall inputs can be affected by tree species.

전남 사찰림에서의 소나무 생육과 입지환경간의 상관관계 연구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the Growth of Korean Red Pine and Location Environment in Temple Forests in Jeollanam-do, Korea)

  • 박석곤;홍석환;오찬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09-419
    • /
    • 2017
  • 사찰인근 소나무림은 문화경관림으로서 가치가 높으나 식생천이와 기후변화로 쇠퇴할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사찰인근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식생구조와 소나무 활력도, 입지환경 특성을 조사해 소나무 생육과 입지환경간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했다. 소나무림이 양호하게 남아 있는 전남지역의 천은사, 원효사, 증심사, 태안사 4개소를 연구대상지로 선정했다. 이 대상지의 교목층에는 모두 소나무가 우점하고 하층에는 낙엽활엽수종이 주로 출현했다. 소나무의 수령이 많은 천은사 지역보다 증심사 원효사의 소나무 생육상태가 전반적으로 좋지 않았다. 토양의 총질소량은 증심사가 다른 지역보다 높은 편이었는데 하층식생 발달로 총질소량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이로 인해 낙엽활엽수종과의 질소양분 경합에서 밀려 소나무의 생육이 악화된 것으로 추정된다. 해발고와 가지길이는 부(-)의 상관관계를, 경사도와 소나무 평균상대우점치도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해발고 경사도가 상승할수록 토양환경을 포함한 생육환경이 열악해지면서 소나무의 생장량 우점도가 저조해지는 것으로 보인다. 경사도는 소나무 가지길이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소나무림이 주로 분포하는 입지환경 범위 내라면, 급경사지일수록 낙엽활엽수종과의 경쟁을 회피해 소나무 생육이 양호해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토양의 전기전도도가 증가할수록 소나무 생육이 더 악화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토양양분 증가는 낙엽활엽수종의 식생 발달을 촉진해 소나무의 생육환경을 악화시켜 소나무림의 건전성 유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근세조선의 왕목-사직수, 문화사회적 임업, 그리고 문화적 지속가능성 (The Royal and Sajik Tree of Joseon Dynasty, the Culturo-social Forestry, and Cultural Sustainability)

  • 이정호;전영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1호
    • /
    • pp.66-81
    • /
    • 2009
  • '환경을 조성하고 보전하는 인간과 문화'의 새로운 시각에서 지속가능한 숲 관리는 '문화적 지속가능성' 개념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 문화적 지속가능성은 환경을 조성하고 보전하는 문화의 높은 기여도를 강조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근세조선의 '문화사회적 임업'의 역사적 사례를 통해서 현대의 문화적 지속가능성에 필요한 함의들을 추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조선의 첫 번째 왕이었던 태조와 관련하여 소나무(Pinus densiflora)는 조선의 왕목이었고 왕도정치의 이념을 지지하는 성리학적 신앙과 예제 체제 속에서도 가장 상위에 속하는 사직제례와 관련 있는 사직수(社稷樹)였다. 사직 제례의 숭배대상은 토지신(社)과 곡식신(稷)인데 고대 사회의 수목신앙을 이으면서 유교적 신앙 및 예제에 편입된 것이 토지신이며 토지신의 구체적 모습이 사직수이다. 왕목과 사직수로서의 소나무는 조선 왕실 통치의 종교-정치적 정통성을 지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소나무의 종교-정치적 상징성은 여러 측면으로 표현되었다. 소나무는 조선 조정이 주관하는 예제가 봉행되는 신전과 사당을 위해서도 물적 기반으로도 쓰였다. 소나무의 이런 역할은 왕실 능원림, 왕실 관곽재를 위한 황장봉산의 소나무 숲, 왕의 거처 도성 내외사산 소나무 숲의 조성, 방제, 보전, 관료적 관리로 확대 표현되었다. 문화사회적 임업의 역사적 사례인 이러한 소나무 숲의 종교-정치적 관리 체계는 조선의 경제적인 숲 관리 체계인 송정이나 조선 전기의 의송처와 금산의 소나무 숲 및 조선 후기의 봉산 체계의 소나무 숲의 경영과도 비교가 가능하고 공통성과 고유성을 함께 보여준다. 왕실의 소나무 문화는 대중적 의식에도 영향을 끼쳐 백성들이 금표가 있는 능원림, 금산, 봉산에서 시행된 금양(禁養)된 토지 또는 숲과 바꾸어 쓸 수도 있는 '말림갓'이라는 순한국어 단어를 형성하게 만든 것으로 보인다. 근세조선은 사직단, 능원림, 황장금산 및 황장봉산, 도성내외 사산의 소나무숲을 대상으로 하는 문화사회적 임업을 실행하였다. 조선 시대 소나무 숲의 보전과 경영에는 풍수지리, 민속신앙, 불교적 요소가 통합된 조선의 성리학적 신앙과 예제가 경제적 목적보다도 더욱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이 여러 세대를 걸쳐 장기적인 문화-자연적 평형이나 균형을 이루는 것이 문화적 지속가능성인데, 숲과 환경을 조성하고 보전하는 현대인이 문화-자연 유산을 발굴하고 여러 세대에 걸친 보전으로 변환하며, 문화적, 사회적, 정신적 필요를 충족하는 환경과 인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초학제적 지식인 지속가능성 과학 지식을 생산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 근세조선의 사례 연구의 함의로 추출되었다.

石灰岩地域 소나무림에서 지렁이 Casts 와 上層土 性質의 比較 (Comparisons of Soil Properties between Earthworm Casts and Top Soil of Red Pine Forests in a Limestone Area)

  • Mun, Hyeong-Tae;Joon-Ho K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4권1호
    • /
    • pp.113-117
    • /
    • 1991
  • Comparisons of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arthworm(Lumbricus terrestris) soil casts and top soil of red pine forests in a limestone area were carried out. The casts production durign August and September in 1990 amounted to 6∼7t/ha. The particle of top soil and casts ranged 40∼50% and 10∼20% for sand , 25∼30% and 30∼35% for silt, and 20∼25% and 55∼65% clay, respective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H value was not observed between casts and top soil. The casts had 1.4times of organic matter, 1.5times of N, 1.8times of available P, 2times of exchangeable K, 1.3times of exchangeable Ca, and 1.6times of exchangeable Mg than the top 10cm of soil did. Earthworms have altered the soil texture and increased nutrient availability through production of the soil casts in this limestone area.

  • PDF

Pine Forest Soil Characteristics and Major Soil Impact Factors for Natural Regeneration

  • Kim, Min-Suk;Kim, Yong-Suk;Min, Hyun-Gi;Kim, Jeong-Gyu;Koo, Nami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179-186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domestic pine forest soils and to elucidate major soil influencing factors for natural regeneration. We analyzed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soil samples collected from 23 pine forests and confirmed the similar results with the forest soil characteristics. Soil pH, organic matter content, total nitrogen, exchangeable Ca, silt content, and exchangeable Al were selected as the major soil factors among the exposed soils through 10 days of pine seedlings exposure and cultivation experiments and statistical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oil pH had a positive effect on specific root length (SRL) of red pine seedlings and exchangeable Al was a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negative change in SRL. Taken together, the reduction of exchangeable Al by soil pH adjustment would be helpful for natural regeneration by restoring the forest and improving the fine root and root integrity of pine seedlings. Therefore, soil pH and exchangeable Al could be recommended as a major soil factor to be carefully considered in the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soil in pine forests that need to be renewed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