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d River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27초

주야간 겸용 표면영상유속계 개발을 위한 원적외선 카메라의 적용성 검토 (A Test of a Far Infrared Camera for Development of New Surface Image Velocimeter for Day and Night Measurement)

  • 류권규;김서준;유병남;배인혁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8권8호
    • /
    • pp.659-672
    • /
    • 2015
  • 홍수시 하천의 유속 측정을 위한 표면영상유속계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단계는 적절한 영상을 취득하는 것이다. 하지만 영상 획득에 있어 야간에 발생하는 홍수 흐름을 촬영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표면영상 유속계의 야간 영상 획득 장치로 원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원적외선 카메라는 별도의 조명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주야간 모두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안개나 연기의 영향을 받지 않아서 고정식 표면영상유속계를 구성하는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원적외선 영상을 이용한 유속 산정의 결과를 비교하기 위해, 보통의 가시광 카메라와 근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동시 촬영을 하여 영상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소형 프로펠러 유속계에 의한 유속 측정 자료와 비교하였다. 정확도 분석 결과 원적외선의 주간 영상을 이용할 경우 최소-9%에서 최대 -19%의 오차를 나타냈고, 야간 영상을 이용할 경우 최소 -10%에서 최대 -23%의 오차를 나타냈다. 또한 일반캠코더를 이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최대 10% 이내의 차이를 보였기 때문에 주야간 유속 측정에 원적외선 카메라의 적용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다만 주간 영상에 비해 야간 영상이 약간 흐려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영상을 적절히 분석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Nitrogen and Phosphorus Runoff Loss during Summer Season in Sandy Loam Red Pepper Field as Affected by Different Surface Management Practices in Korea

  • Han, Kyung-Hwa;Ro, Hee-Myong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669-676
    • /
    • 2016
  • A field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runoff loss of N and P in small scale of red pepper field plots (10% slope), consisting of three different plots with black polyethylene vinyl mulching (mulching), ridge without mulching (ridge), and flat without ridge and mulching (flat). Composted manure and urea as a basal application were applied at rates of $20MT\;ha^{-1}$ and $93kg\;N\;ha^{-1}$, respectively. Urea at $189kg\;N\;ha^{-1}$ and fused phosphate at $67kg\;P_2O_5\;ha^{-1}$ were additionally applied on June 25 with different fertilization methods, broadcast application in flat plot and hole injection in ridge and mulching plots. Plant uptake of N and P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ir respective concentrations in surface soil: mulching > ridge > flat plots. The runoff loss by soil erosion was higher in flat plot than ridge and mulching plot with contour line. Nitrate loss by the runoff water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ree surface management practices, but the higher average value in ridge and mulching plots than flat plot. Especially, the flat plot had no phosphate loss during summer season. This is probably due to low labile P content in surface soil of flat plot. In the summation of soil and water loss, flat plot was higher in N and P loss than ridge and mulching plot with contour line. Nevertheless, the nitrate and phosphate loss by runoff water could be more important for non-point source management because the water could meet the river easier than eroded soil because of re-deposition around slope land.

Lemanea manipurensis sp. nov. (Batrachospermales), a freshwater red algal species from North-East India

  • Ganesan, E.K.;West, J.A.;Zuccarello, G.C.;de Goer, S. Loiseaux;Rout, J.
    • ALGAE
    • /
    • 제30권1호
    • /
    • pp.1-13
    • /
    • 2015
  • A new macroscopic riverine red algal species, Lemanea manipurensis sp. nov. (Batrachospermales) is described from Manipur in northeast India. It has a sparsely branched, pseudoparenchymatous thallus with a single, central axial filament that lacks cortical filaments. Spermatangia occur generally in isolated, low and indistinct patches or form an almost continuous ring around the axis. Carposporophytes project into the hollow thallus cavity without an ostiole. The most striking morphological feature is the carposporophyte with very short gonimoblast filaments having cylindrical, narrow and sparsely branched sterile filaments, the terminal cell of each branch with a single, large, elongate carpospore. The widely distributed L. fluviatilis has spherical carpospores in long branched chains. Phylogenetic analysis of rbcL sequence data and comparison with other Batrachospermales clearly show that our specimens do not align with other species of Lemanea and Paralemanea investigated thus far. Five specific names attributed in previous literature (1973-2014) to Lemanea from Manipur, L. australis, L. catenata, L. fluviatilis, L. mamillosa, and L. torulosa are rejected until critical anatomical and molecular evidence is available for specimens from the Manipur river systems. Taxa referable to Paralemanea were not confirmed for India in this study. In view of the high demand for food and medical uses of L. manipurensis in northeast India, conservation measures are needed for its long term survival. The present paper constitutes the first combined morphological / molecular study on a freshwater red alga from India.

피라미, Zacco platypus (Cyprinidae, Pisces)의 체색과 형태의 지리적 변이 (Geographic Variation of Body Color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le Chub, Zacco platypus (Cyprinidae, Pisces))

  • 윤희남;채병수;배양섭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67-176
    • /
    • 2012
  • 한국산 Z. platypus를 체색을 중심으로 개체간 및 개체군 간의 비교를 한 결과 상안부 붉은색의 유무, 주둥이 상단의 붉은색의 유무, 가슴지느러미 전단의 붉은 띠의 유무에서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상안부가 붉은 개체는 주둥이 상단도 붉은 색을 띠었으며 상안부가 검은색을 띠는 개체는 주둥이 상단에 붉은색을 띠지 않았는데, 이 형질은 암수의 차이가 없이 같은 개체군 내에서는 일정하게 발현되었다. 따라서 이형질에 의하여 전자는 R형, 후자는 B형으로서 두 가지 형으로 구분하였다. 가슴지느러미 전단의 붉은 띠는 R형과 B형의 혼인색이 발현된 수컷에서는 모두 나타나고 암컷에서는 B형에서만 나타나는 성적 이형의 형질이었다. Z. platypus의 두 형의 한반도 내 분포를 보면 R형은 거의 전국에 걸쳐 분포하였으나 B형은 동남부인 낙동강, 형산강, 태화강, 회야강, 수영강 및 진전천에서만 발견되어 분포역이 좁았다. 외부 형태적 분석에서는 Z. platypus B형과 R형, 일본산 Z. platypus 사이에 뚜렷한 차이는 없었으나 판별분석에서는 일부 중복되기는 하나 비교적 잘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암을 잔골재로 사용한 불포화 폴리에스터 모르터의 특성 (Properties of Unsaturated Polyester Mortar Using Shale as Fine Aggregates)

  • 박준철;배근철;최영준;서인식;김화중;김영수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29-134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operties of unsaturated polyester mortar using the shale as find aggregates. To evaluate properties of unsaturated polyester mortar using crushed sand from Black shale, Red shale, Gray shale, we peformed the experiment according the F/B ratio of 25, 30, 35% and the volume of fine aggregate of 50, 53, 56%.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strength of unsaturated polyester mortar is higher than those of river sand. The F/B ratio is higher and the volume of find aggregate is lower, the strength of unsaturated polyester mortar is higher

  • PDF

Persistent Organic Pollution and Arsenic Contamination in Asia Pacific Water: Case Study of Emerging Environmental Problems in Vietnam

  • Pham, Viet.H.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79-89
    • /
    • 2007
  • This paper provides a comprehensive overview of the present status of several environmental problems caused by emerging toxic substances such as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OPs),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EDCs), and arsenic in various environmental media in Vietnam. Monitoring data reported during the 1990s demonstrated elevated contamination of DDTs in most of these compartments in Vietnam. Studies in frame of the Asia-Pacific Mussel Watch Program revealed that fish, mussels and resident birds from Vietnam contained higher concentrations of DDTs as compared to other countries in region, suggesting the role of Vietnamese environment as a significant emission source of DDT in the Southeast Asian region. The estimated dietary intakes of PCBs and DDTs for Vietnamese were relatively high among Asian developing countries, suggesting potential risk for humans posed by thesechemicals. Widespread contamination of some endocrine active compounds such as alkylphenols and phthalates was observed at various sites along the coasts of northern and middle Vietnam. The presence of significant source of bisphenol-A along Red River estuary was revealed with the concentrations comparable to those reported for developed nations. A case study on seasonal variation of alkylphenols and phthalates in surface water of river delta and estuary of north and middle Vietnam indicated the differences in distribution of these compounds between dry and rainy seasons. Higher concentrations of alkylphenols and phthalates were found in dry season in estuary; while the contrasting pattern was observed in the river delta, showing elevated residues in rainy season. This result suggests the different behavior of alkylphenols and phthalates in river delta and coastal environment. From ecotoxicological perspectives, concentrations of bis-phenol A and di(2-ethylhexyl)phthalates [DEHP] in surface water from some locations in Vietnam exceeded the guideline values for Ecotoxicological Effects and the Environmental Risk Limit, respectively, suggesting potential for toxic implications on aquatic wildlife. Widespread and elevated arsenic contamination was discovered inour recent surveys in groundwater in a large area of suburban areas of Hanoi city, the capital of Vietnam. The most recent investigation in 4 villages showed about more than 50 % of groundwater samples contained As concentrations exceeding 50 g/L (the WHO and Vietnamese standard). In particular, in Son Dong villages, 58 % of samples analyzed contained As concentrations higher than 200 g/L. Good correlations were found in As concentrations in water and hair and urine of peoples in corresponding families, suggesting the chronic exposure to As by people living in As-contaminated ground water areas. In Son Dong village, As levels in hair (mean: 1.7 mg/kg dry wt) and urine (g/g creatinine) exceeding the reference values recommended by WHO, suggesting potential for human risk posed by long term accumulation of As in human body. Future studies should be focused on the time trends of POPs and EDCs in biota in Vietnam in order to predict future trend of contamination and to reveal new clues for understanding possible toxic impacts on aquatic organisms. The issues of arsenic contamination in groundwater and their chronic toxic implications on human health should be systematically investigated in the future.

  • PDF

봉화군 일대 낙동강변에 퇴적된 광미의 풍화에 따른 광물학적 변화 (Mineralogical Changes Caused by the Weathering of Tailings Deposited on the Riverside of the Nakdong River, Bonghwa, Korea)

  • 김민정;김영규;박경심;전상호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31-339
    • /
    • 2008
  • 경상북도 봉화군 일대 낙동강 상류에는 과거 십여 년전에 홍수로 이동되어 강변에 퇴적, 풍화된 광미퇴적층이 일부 장소에서 발견된다. 본 논문에서는 하천에서 심하게 풍화되어진 광미퇴적물에 대하여 광물학적 분석을 통하여 이차광물의 형성 및 특징, 그리고 이들과 연관된 중금속 유출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XRD를 통하여 일차광물로는 석영, 장석, 운모류, 녹니석, 각섬석류, 활석, 휘석(요한세나이트), 황철석, 방해석이 동정되었다. 규산염 광물인 캐올리나이트의 경우 광미가 풍화되면서 추가로 생성될 수도 있지만 퇴적된 기간을 고려하면 원래 광미에 있던 것이나 토양에 있던 것이 이동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광미가 풍화되면서 생성된 광물인 이차광물로 침철석, 석고, 바사나이트, 자로사이트가 XRD를 통하여 동정되었다. 이차광물의 형성은 일차광물의 종류 및 pH 환경 등에 주로 영향을 받으며 황철석의 풍화에 의하여 황산염인 석고, 바사나이트, 자로사이트가 형성이 되었으며 또한 침철석의 경우도 황철석의 풍화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Mn 산화물의 경우 SEM에 의하여 동정이 되었는데 침철석과 함께 석영 등 일차광물의 표면을 코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Mn 산화물의 경우 비정질에 가까우며 Mn을 함유하고 있는 요한세나이트의 풍화에 의하여 형성된 것으로 사료된다. 이 두 산화물들은 각각 검은색, 갈색 또는 붉은색의 광미 풍화물 색깔을 나타내는 주원인 광물로 추정된다. EDS 연구결과 침철석과 같은 Fe 산화물과, Mn 산화물의 경우 높은 농도의 Pb, Zn, As를 함유하고 있는데 이는 이들 산화물에 풍화에 의하여 유출된 중금속이 공침되거나 흡착된 결과로 실제하천에서 이들의 형성은 중금속의 거동을 어느 정도 제어하여 하천으로의 유출을 막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멸종위기어류 한강납줄개 Rhodeus pseudosericeus (Pisces: Cyprinidae)의 분포양상 및 멸종위협 평가 (Distribution Aspect and Extinction Threat Evaluation of the Endangered Species, Rhodeus pseudosericeus (Pisces: Cyprinidae) in Korea)

  • 고명훈;한미숙;권선만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00-106
    • /
    • 2018
  • 우리나라 멸종위기어류 한강납줄개 R. pseudosericeus의 분포양상 및 멸종위협 등급을 평가하기 위해 과거 문헌 기록을 정리하고 2012년부터 2017년까지 분포조사를 실시하였다. 과거에 출현한 지점 수는 26개였으며, 분포조사는 214지점을 조사하여 44개 지점(한강 35개, 삽교천 4개, 대천천 5개 지점)에서 서식을 확인하였다. 한강의 일리천과 삼산천, 반계천, 한포천은 처음으로 서식이 확인되었으나 섬강의 횡성댐 일대와 흑천 하류, 무한천, 대천천 등은 댐건설과 하천공사, 수질오염, 외래종 배스의 확산 등으로 심각한 서식지 및 개체수가 심각하게 감소하고 있었다. 한강납줄개의 주요 서식지는 물이 맑은 하천 중 상류 정수역의 모래와 자갈의 비율이 높고 수생식물이 많은 곳이었다. IUCN 적색목록 기준지침서에 따라 멸종위협 등급을 평가하면, 10년 이내 점유면적 30.2%의 감소와 서식지의 질적 하락, 관상용으로 남획 위험, 외래종 배스의 확산 등으로 멸종위기 등급인 취약(VU A2cde)으로 평가되었다.

금강하구의 물질수지: 1. 영양염의 계절적 분포 (Chemical Mass Balance of Materials in the Keum River Estuary: 1. Seasonal Distribution of Nutrients)

  • 양재삼;정주영;허진영;이상호;최진용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4권1호
    • /
    • pp.71-79
    • /
    • 1999
  • 금강에서 외해역으로 전달되는 물질의 수지를 이해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금강하구의 영양염의 계절적인 분포를 조사하였다. 1997년에서 1998년간 금강하구의 6개 정점에서 13~24시간동안 연속관측을 통하여 영양염, 부유현탁물질(SPM;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엽록소와 염분을 분석하였으며, 조석자료, 기상자료와 금강 하구언의 담수 방출량 자료도 보조자료로서 사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하구내 영양염의 계절적인 분포의 차이와 이런 현상을 주도하는 요인을 밝히는데 주목적이 있고, 부차적으로 금강하구언 조성 이전과 이후 영양염 분포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금강 배출수내 영양염들의 농도는 계절에 따라 확연히 구별된다. 인산염과 암모니움염은 갈수기에 농도가 높게 나타나는 반면, 풍수기에는 규산염이 높게 나타났고 이때 SPM의 농도도 높게 출현하였다. 그러나 질산염은 연중 일정한 농도를 유지하였다. 이러한 계절적인 차이를 결정하는 주원인은 일차적으로 담수의 유입량이다. 강우에 의한 담수의 희석효과가 이러한 영양염과 SPM의 계절적인 변화를 야기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증가하는 SPM의 농도가 2차적으로 영양염의 분포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조사된 모든 영양염의 주 공급원은 금강에서 유입하는 담수이며 조사된 영양염의 기본적인 분포는 이들이 보존적임을 보인다. 조사를 총괄하여 보면 질산염, 아질산염 그리고 규산염은 계절에 상관없이 거의 보존적인 성격을 나타냈다. 그러나 다른 영양염(인산염, 암모니움염)과 SPM은 계절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인산염과 암모니움염은 6월과 10월의 갈수기동안에는 거의 보존적인 성향을 보인 반면, 풍수기와 5월의 조사에서 첨가현상을 보였다. 이러한 첨가현상에 영향을 주는 주 요인은 봄철 대량 번식된 담수성 플랑크톤이 해수와 접촉함에 따라 사멸하고, 이와 동시에 유입된 유기물의 분해와 SPM에 흡착되어잇던 인산염이 용출되는 것으로 생각되며, 저층 플럭스(benthic flux)도 기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하구언 조성 이전과의 비교에서 SPM의 농도가 감소함에 따라 SPM이 하구내 영양염의 재생과정에 미치는 중요성은 현저히 약화되었다. 또한 하구내 영양염의 분포를 결정하는 염분의 분포가 갈수기에는 하구언에서 1~2 km 정도로 근접한 곳에서 염분의 구성이 5~15 psu로 나타나 영양염의 첨가현상등 화학적 변화가 이곳에 집중되고, 풍수기 동안에는 하구 전역에서 이러한 염분분포가 나타난다. 따라서 하구언 조성 이후에 갈수기 동안 하구언에 근접한 일부만이 진정한 하구의 역할을 하고 나머지는 만과 같은 특성을 보이고 있다. 하구언 갑문 폐쇄 이전과 이후의 비교 결과 조석의 차단으로 인한 조류속도의 감소로 인하여 부유현탁물질의 농도가 감소하였으며 영양염류의 농도가 증가하였고, 따라서 식물플랑크톤의 대량번식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 PDF

Landsat TM 영상(映像)을 이용한 충적평가(沖積平野) 미지형(微地形) 분류(分類) -금호강(琴湖江) 유역평야(流域平野)를 대상으로- (Classification of Micro-Landform on the Alluvial Plain Using Landsat TM Image: The Case of the Kum-ho River Basin Area)

  • 조명희;조화룡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97-204
    • /
    • 1996
  • 낙동강의 대지류중의 하나인 금호강 유역분지를 대상으로 하여 Landsat TM 영상의 false color composite를 육안분류하여 충적평야상의 자연제방, 후배습지, 합류선상지 등의 미지형 분류를 시도해 보고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1992년 11월 11일에 탐지된 Landsat TM 영상중의 band 2, 3, 4에 blue, green, red filter를 각각 씌워 조합한 false color 영상이 가장 효과적이었음이 규명되었는데, 시기(時期)적으로는 미지형 별로 녹색식물(綠色植物)의 밀도차가 가장 두드러지는 11월 중순(中旬)의 영상이 가장 효율적이었다. 즉 배후습지의 논은 벼가 막 수확된 때이므로 나지(裸地) 상태이었으나 자연제방 상에는 김장채소, 과수원의 하층(下層) 초본식물 등의 녹색식물이 상대적으로 많이 남아 있으며 합류선상지 부분은 논과 밭이 혼합되어 녹색식물의 밀도가 중간 정도로 분포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이 false color composite의 색조 차이를 이용한 미지형 분류결과에 대해 sample 지역에서 현지 지형 조사와 퇴적물 입도분석(粒度分析)을 실시하여 검증해 본 결과 충적평야 미지형 분류에 있어서 탐지시기와 band 조합의 대응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면 TM 영상이 매우 유용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