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d OLED

검색결과 120건 처리시간 0.026초

OLED 내구성에 미치는 무기/에폭시층 보호막의 영향 (The Effect of Passivation Film with Inorganic/Epoxy Layers on Life Time Characteristics of OLED Device)

  • 임정아;주성후;양재웅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287-293
    • /
    • 2009
  • The passivation films with epoxy layer on LiF, $SiN_x$ and LiF/$SiN_x$ inorganic layer were fabricated on OLED to protect device from the direct damage of $O_2$ and $H_2O$ and to apply for a buffer layer between OLED device and passivation multi-layer with organic/inorganic hybrid structure as to diminish the thermal stress and expansion. Red OLED doped with 1 vol.% Rubrene in $Alq_3$ was used as a basic device. The device structure was multi-layer of ITO(150 nm) / ELM200_HIL(50 nm) / ELM002_HTL(30 nm) / $Alq_3$: 1 vol.% Rubrene(30 nm) / $Alq_3$(30 nm) / LiF(0.7 nm) / Al(100 nm). LiF/epoxy applied as a protective layer didn't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life time. While in case of $SiN_x$/epoxy, damage was done in the passivation process because of difference in heat expansion between films which could occur during the formation of epoxy film. Using LiF/$SiN_x$/epoxy improved lifetime significantly without suffering damage in the process of forming films, therefore, the best structure of passivation film with inorganic/epoxy layers was LiF/$SiN_x$/E1.

형광염료 도핑이 적색 유기 발광 소자의 효율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Fluorescent Dye Doping on Efficiency of R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 이정구;임기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18-24
    • /
    • 2008
  •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는 저전력 구동, 자체발광, 넓은 시야각, 우수한 고해상도, 풀 칼라, 높은 재현성, 빠른 응답속도, 간편한 제조 공정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고성능 디스플레이로서 실용화하기 위해서는 아직도 해결되어야 할 과제가 많다. 소자의 저소비전력, 제조공정의 안정성, 대형 기판기술, 봉지 기술, 소자의 수명, 풀 컬러화를 위한 적색, 청색, 발광 소자의 고휘도등이 시급하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유기 발광 소자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상용화를 위한 키(key)이다. 이를 위해서 유기 발광 소자의 구조 개선과 새로운 유기 물질 적용을 통해 구동전압을 낮춤으로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기 발광 소자의 효율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ITO/TPD/Znq2+DCJTB/Znq2/Al의 구조와 ITO/CuPc/NPB/Alq3+DCJTB/Alq3/Al의 구조를 가지는소자의 발광 층에 형광염료를 도포한 적색 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그 전기적 및 광학적인 특성을 평가하였다.

이중 도핑을 이용한 고효율 적색 인광 유기발광소자 (High Efficiency Red Phosphorescent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Using the Double Dopant System)

  • 장지근;신현관;김원기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Vol.21
    • /
    • pp.351-352
    • /
    • 2008
  • A new high efficient red PhOLED using a host of $Bebq_2$ and double dopants of $(pq)_2$Ir(acac) and SEC-R411 have been fabricated and evaluated. The device doubly doped with $(pq)_2$Ir(acac) and SFC-R411 showed the current efficiency improvement of 22% under a luminance of 10000 cd/$m^2$ in comparision with the device singly doped with SFC-R411. The luminance, current efficiency and central wavelength of the doubly doped device were 9300 cd/$m^2$ at 7V, 11.1 cd/A under a luminance of 10000 cd/$m^2$ and 625 nm, respectively.

  • PDF

OLED 소자의 열화현상에 따른 휘도 효율 특성평가

  • 최성호;이경수;최병덕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2년도 제43회 하계 정기 학술대회 초록집
    • /
    • pp.246-246
    • /
    • 2012
  • 최근의 디스플레이 시장에서는 고효율 저전력, 자발광 소자인 OLED가 차세대 디스플레이 시장의 블루칩으로써 연구되고 개선되어 왔다. 고효율, 고휘도 구현이 가능한 OLED 소자는 초기 발광 시 수명감소, 저전류 구동 효율 개선 및 소자의 유기 재료 개선의 문제점에 직면해 있기 때문에 많은 가능성을 아직 현실화 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적 스트레스를 가한 OLED 소자의 전기적, 광학적 성질을 측정함으로써 열화에 따른 소자의 특성 변화를 확인하여 문제점을 개선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2{\times}2$ inch Glass에 $2{\times}2$ mm 크기의 발광면적을 갖는 Red OLED 소자를 제작한 후 Source Measure Unit을 이용, 8 V의 과전압을 72시간 동안 인가하여 소자의 열화현상을 가속시켰다. 이후 I-V-L 장비를 이용하여 전기적 특성 및 휘도 특성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휘도가 8 V에서 10,620 cd/$m^2$ > 9,849 cd/$m^2$ (약 7.2% 감소)로 변화한 것을 확인 하였으며, 휘도 효율과 전력 효율을 측정해본 결과 8 V 에서의 소비전력 효율 역시 16%에서 > 15%로(약 1%감소) 변화하였으나 안정적으로 발광이 유지되는 3 V~6 V 구간에서는 효율이 약 13%가 감소하였다. 또한 휘도 효율은 8 V 기준으로 1% , 3 V~6 V 구간에서는 약 8% 감소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OLED 소자의 열화 현상은 소자의 휘도 감소뿐만 아니라 소비전력증가, 열화현상의 촉진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 PDF

Alg3:Rubrene-GDI4234 형광 시스템을 이용한 적색 OLED의 제작과 특성 평가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Red Emitting OLEDs using the Alg3:Rubrene-GDI4234 Phosphor System)

  • 장지근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437-441
    • /
    • 2006
  • The red emitting OLEDs using $Alq_3$:Rubrene-GDI4234 phosphors have been fabricated and characterized . In the device fabrication, 2- TNATA [4,4',4' - tris (2- naphthylphenyl - phenylamino ) - tripheny lamine] as the hole injection material and NPB [N,N'-bis (1-naphthyl)-N,N'-diphenyl-1,1'-biphenyl-4,4'-diamine] as the hole transport material were deposited on the ITO(indium tin oxide)/glass substrate by vacuum evaporation. And then, red color emissive layer was deposited using $Alq_3$ as the host material and Rubrene(5,6,11,12-tetraphenylnaphthacene)-GDI4234 as the dopants. finally, small molecule OLEDs with structure of ITO/2-TNATA/NPB/$Alq_3$:Rubrene-GDI4234/$Alq_3$/LiF/Al were obtained by in-situ deposition of $Alq_3$, LiF and Al as the electron transport material, electron injection material and cathode, respectively. Red OLEDs fabricated in our experiments showed the color coordinate of CIE(0.65, 0.35) and the maximum power efficiency of 2.1 lm/W at 7 V with the peak emission wavelength of 632 nm.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Photobiomodulation 기반 스킨케어 효과 (Photobiomodulation-based Skin-care Effect of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 김홍빈;정혜정;진석근;이병일;안재성
    • 한국광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235-243
    • /
    • 2021
  • Photobiomodulation (PBM) 치료법은 특정 파장대역의 광원이 미토콘드리아에서 ATP 생성을 촉진하는 현상을 이용하는 치료법으로서 상처 치유, 염증 감소, 통증 완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생물 및 의학 분야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PBM 치료법에 대한 연구는 주로 레이저, 발광다이오드(LED)를 광원으로 사용하였고, 유기발광다이오드(OLED)가 가지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PBM 치료법에 사용된 사례는 제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적색(λ = 620 nm), 녹색(λ = 525 nm), 청색(λ = 455 nm) OLED 조명모듈을 사용하여 PBM에 의한 피부관리 효과를 분석하고 LED에 의한 PBM 효과와 비교하였다. OLED 조명모듈의 PBM에 의한 피부미용효과는 적색 OLED 조명모듈에 의한 collagen type 1 합성량 증가, 녹색 OLED 조명모듈에 의한 melanin 합성 억제, 청색 OLED 조명모듈에 의한 nitric oxide 생성 억제를 각각 측정하여 입증되었다.

The prospects of highly power efficient OLEDs using molecular dopants for display and lighting applications

  • Werner, Ansgar;Blochwitz-Nimoth, Jan;Birnstock, Jan;Wellmann, Philipp;Romainczyk, Tilmann;Lux, Andrea;Limmert, Michael;Zeika, Olaf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6년도 6th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1692-1696
    • /
    • 2006
  • Dopant and host molecules for charge transport layer in OLED have been developed. They enable implementation of the PIN OLED technology in mass production. We review the status of PIN OLED with main focus on top-emission structures and operation stability at elevated temperatures. A green phosphorescent top-emission device with 2.5 V operating voltage and 90 lm/W at 1000 $cd/m^2$ is presented. For a red top-emission device, lifetime exceeding 100,000 h at 500 $cd/m^2$ initial brightness is reported. Operational stability at $80^{\circ}C$ has been investigated. A lifetime of 17,000 h at 500 $cd/m^2$ has been achieved. Finally, we comment on further reduction of the operating voltage in OL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