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creation forest

검색결과 239건 처리시간 0.023초

휴양지역(休養地域)에서 이용자(利用者)의 개인규범(個人規範)과 규칙위반(規則違反) 행위(行爲)에 미치는 정보(情報)의 효과(效果) (Effects of Information on User's Personal Norm and Rule-Violating Behavior in a Recreation Setting)

  • 김상오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2호
    • /
    • pp.251-259
    • /
    • 1996
  • 본 연구는 1994년 지리산 국립공원의 제2야영장에서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규범 활성화 이론을 토대로 한 정보가 휴양지에서 어떻게 개인적 규범과 규칙위반 행위에 영향을 마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배부된 총 280부 설문지 중 253부(90.4%)가 본 연구의 분석에 이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정보는 각 개인이 본인 행위의 결과에 대한 자각의 정도 또는 본인에게 본인의 행위와 결과에 대한 책임을 전가시키는 정도를 증가시키지 않았으며 직접적으로 소음 금지시간 규칙 위반행위를 감소시키지 않았다. 하지만, 행위의 결과에 대한 자각과 책임전가의 정도가 높은 응답자나 높은 정도의 개인적 규범을 가진 사람들은 소음 금지시간 규칙을 덜 위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한 관리방안에 대해 토의한다.

  • PDF

A Study on Riparian Forests of Idle Land to Build Design Using the IPA Strategy

  • Choi, Sang Hyun;Woo, Jong Choo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2권2호
    • /
    • pp.182-188
    • /
    • 2016
  • In this study 'forest design in waterside unused land' of 'waterside area' in the specificity that multilateral, including landscape, recreation, social and environmental aspects in the space, taking into account by multiple factors :Raise 'practicality' than a functional management and police to hang out with, each element is usually way to improve the beauty. There is currently carried out waterside green area creation, which is artificial plantation and open spaces only emphasizing 'landscape' with lacking multi-function purpose, as a 'forest design in waterside unused land' strategy but it should be lowered by performance in this strategy. And the study suggested a strategy which prepared cultural and social infrastructure to be able to attract different fund and build local character as an alternative demand plan considered environmental character as a top priority.

경상남도 유역단위 산림기능평가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for Evaluating Forest Functions by Watershed Unit: Gyeongsangnam-do)

  • 김형호;박영규;노혜정;전준헌;황진영;강현득;박준형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63-173
    • /
    • 2011
  • 본 연구는 전국단위의 산림기능평가를 위한 사례연구로 경상남도 전역을 대상으로 국 공 사 유림 기능평가의 통합방안, GIS 자료의 문제점 및 구축방안을 검토하였으며, 경상남도의 산림기능의 분포 및 특성을 살펴보았다. 먼저 산림기능평가의 통합방안으로 평가단위를 유역단위로 일원화할 것을 제안하였으며, 유역구분도 상에서 나타나는 몇몇 오류의 형태 및 이를 수정하기 위한 GIS 기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산림기능평가에 이용되는 GIS 자료 중 갱신이 필요한 제재소위치도, 고속도로 나들목 위치도, 인구분포도를 전국단위로 구축하였다. 유역단위로 경상남도 20개 시 군을 대상으로 산림기능평가를 실시한 결과 목재생산기능, 산림휴양기능은 잠재력 '고' 가 높게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기능에 있어서 잠재력 '저' 가 낮게 나타났다. 각 시 군별 우선순위를 적용한 산림기능도에서는 산림휴양기능이 가장 큰 면적을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 목재생산, 자연환경보전, 수자원함양, 생활환경보전, 산지재해방지기능의 순으로 나타났다. 대면적을 대상으로 수행된 사례분석 결과는 전국단위 산림기능평가를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삼림(森林)의 공익기능(公益機能)의 계량화(計量化)와 그 평가방법(評價方法)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Estimation and the Evaluation Methods of Public Function of Forest)

  • 호을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6권1호
    • /
    • pp.68-73
    • /
    • 1984
  • 현대사회(現代社會)는 국민경제(國民經濟)의 고도성장(高度成長)에 수반(隨伴)되는 산업활동(産業活動)의 고도화(高度化), 도시집밀화사회(都市集密化社會)의 형성(形成), 생활수준(生活水準)의 향상(向上)에 따르는 여가선용(餘暇善用) 있어서, 삼림(森林)에 대(對)한 공익기능(公益機能)의 발휘(發揮)를 최대한(最大限)으로 요청(要請)하고 있다. 즉(卽), 삼림(森林)이 잠재적(潛在的)으로 보유(保有)하고 있는 야외(野外) recreation 자원(資源), 수자원(水資源), 야생조수(野生鳥獸), 어류(魚類), 목재(木材), 목초(牧草) 등(等)의 천연자원(天然資源)은 공익적(公益的), 경제적(經濟的) 양기능면(兩機能面)에서 복합적(複合的)으로 이용(利用)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특(特)히, 삼림(森林)의 공익기능(公益機能)의 수량화(數量化)가 필수부가결(必須不可缺)의 위치(位置)를 점(占)하게 됨으로 이에 대(對)한 연구개발(硏究開發)이 활성화(活性化)되어야 한다.

  • PDF

자연휴양림(自然休養林) 매력물(魅力物)의 기대불일치(期待不一致)가 이용만족도(利用滿足度)에 미치는 영향(影響) - 자연휴양림의 휴양자원과 시설을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Expectancy-Disconfirmation of Attraction Affecting Visitor's Satisfaction in Natural Recreation Forests - Focused on Recreational Resources and Facilities -)

  • 이주희;배민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4호
    • /
    • pp.459-467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자연휴양림 매력물의 기대불일치가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자연휴양림의 자원과 시설, 기대불일치, 이용만족도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자연휴양림의 매력물을 도출하고 개념적 틀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04년 여름철에 3개의 자연휴양림 이용자 415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되었다. 분석결과, 1) 각 매력물 중 이용자 흥미자원의 기대도와 성취도 수준이 가장 높았다. 2) 자연휴양림 매력물에 대한 기대도와 성취도간에는 1% 유의 수준에서 통계적 차이가 있었다. 3) 기대불일치가 가장 심한 매력물은 안전시설이었으며, 기대불일치가 적은 매력물은 생물적 자원(식물)으로 나타났다 4) 이용만족도는 매력물의 기대불일치가 클수록 낮아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5) 다변량 분석결과, 물리적 자원, 사회문화적 자원, 숙박시설, 기반시설, 안전시설, 위생시설, 교육시설의 기대불일치가 1% 유의수준에서 이용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규명되었으며, 매력물 중 이용만족도의 값의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기반시설의 기대불일치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Semi-Variogram을 이용한 소규모 자연휴양림 내기상조건의 정밀 시공간 분포 추정 (Estimating Precis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Weather Condition Using Semi-Variogram in Small Scale Recreation Forest)

  • 임철희;유동훈;송철호;주용언;이우균;김민선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63-75
    • /
    • 2015
  • 최근 각광받고 있는 산림치유를 위해서는 산림 내 기상조건의 시공간분포를 기초로 활동시간 및 공간을 계획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립용현자연휴양림에 기상관측 장비를 설치하여 장기 기상모니터링을 실시하고, 해당 자료를 통해 기상자료의 정밀 시공간 분포를 파악하여 산림휴양 치유 활동을 지원하고자 하였다. 먼저, Semi-Variogram을 추정하는 네 가지 모형을 통계적으로 비교한 결과, 모두 유사한 결과를 보이나, Circular 모형을 활용하는 것이 보다 정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본 연구에서는 Circular 모형의 결과를 제시하였다. Circular 모형으로 추정된 총 128개의 Semi-Variogram을 통해 계절 및 시간대에 따른 온 습도의 공간분포를 확인할 수 있었다. Partial Sill 값으로 표출한 Boxplot을 통해 보다 확연한 계절 및 시간대별 분포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그 결과 봄철과 이른 오전 시간대에는 온 습도가 모두 균일한 미기상 공간분포를 보였고, 여름과 이른 오후에는 온 습도 모두 불균일한 결과를 보였다. 봄철과 이른 오전 시간대에는 산림활동 시 공간의 이동에 따른 기상조건 변화가 적으므로, 휴양과 치유에 보다 긍정적일 수 있는 반면 상대적으로 불균일한 여름철과 이른 오후 시간에는 기상조건에 따른 위험이 따를 수 있으므로 별도의 준비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한 곳의 자연휴양림을 대상으로 사계절 기상조건의 정밀 시공간분포를 추정하여 계절별, 시간대별 세부적인 결과를 제시한 것에 큰 의미가 있다.

치유의 숲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활동 내용 분석 (Analysis on Activities of Forest Healing Program in Healing Forests)

  • 홍재윤;이정희
    • 한국산림휴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9
    • /
    • 2018
  • 본 연구는 2015년 8월부터 2016년 4월까지 산림청이 조사한 국유치유의 숲에서 진행된 프로그램 활동내용을 분석하여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조사된 치유의 숲에서 진행된 프로그램 활동내용 DB자료 99개를 수집하여 활동내용을 확인하고, 조사 양식에 따라 대상자, 6대 요법(인자), 장소, 계절, 시간대, 운영시간, 다면평가에 따라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산림치유 프로그램 활동을 구성할 때 대상자는 대체로 일반적인 대상을 상대로 구성하며, 6대 요법 중 가장 많이 고려된 인자는 정신건강인자였다. 장소는 치유숲길을 가장 많이 활용하였으며, 계절은 봄 여름 가을, 시간대는 오전 오후 모두 가능한 활동이 대부분이었다. 또한, 1개 활동의 운영시간은 60분이, 다면평가에서는 동적인 활동이 프로그램 개발 시 가장 선호되었다. 개발된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활동내용을 분석한 결과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산림치유지도사의 세분화된 전문성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질환별 산림치유 효과에 대한 연구가 먼저 선행되어야 입증된 연구를 바탕으로 전문성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근거이론을 이용한 산림복지서비스 이용권 제도 도입 방안 분석 (A study on the Direction of Forest Welfare Service Voucher System by Grounded Theory)

  • 조한솔;서정원;김성학
    • 농촌계획
    • /
    • 제20권4호
    • /
    • pp.113-125
    • /
    • 2014
  • After Forest Service formed a forest welfare service system by life cycle in 2008, they established a variety of policy for promoting welfare of the people. In Forest welfare service plan(2013~2017) which recently the forest service department established to along with government's welfare policy, they introduce forest welfare service voucher linked to National welfare system to provide forest welfare actively to disadvantaged citiz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tup a direction of forest voucher system, and to make strategies of forest welfare service voucher by research existing voucher system of government. A study conducts a qualitative research by use grounded theory without a quantitative research, because there is not a lot of similar cases with forest welfare service voucher.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experts of National Park Authority 's voucher management, forest service's Nature recreation management and relevant researcher institution. The research is conducted by interviewing the subject and by using grounded theory analysis. After processing an opening coding, categorization of opening coding, and axis coding, induce a direction of the forest welfare service voucher system.

야외휴양(野外休養)을 위한 산림풍치(山林風致)의 영향인자(影響因子) 구명(究明) (Identification of Influencing Factors of Forest Scenic Beauty for Outdoor Recreation)

  • 송형섭;김성일;조응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1권3호
    • /
    • pp.287-298
    • /
    • 1992
  • 본 연구는 산림(山林) 휴양지(休養地)의 풍치(風致) 조성(造成) 및 관리(管理)에 기본이 되는 산림(山林) 시업(施業)에 따른 산림환경의 풍치(風致) 영향(影響) 인자(因子)를 구명하였다. 평가 대상 임분은 62매의 슬라이드를 이용하였으며 피험자(被驗者)는 신뢰성 검정을 통한 충남대학교 10개 학과 264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점(評點) 자료(資料)의 분석(分析)은 Brown & Daniel(1990)이 개발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분석(分析) 결과(結果) 시각(視覺) 선호도(選好度)는 전공별(專攻別), 성별(性別), 유년기(幼年期) 성장지(成長地), 산행(山行) 빈도(頻度)의 사회 경제적 변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피험자(被驗者)의 평점(評點) 값과 산림(山林) 경관(景觀)의 산림(山林) 속성(屬性) 인자(因子)와의 관련 여부를 조사 분석한 결과 산림(山林) 경관(景觀)의 시각(視覺) 선호도(選好度)에 영향하는 산림(山林) 속성(屬性) 인자(因子)중 나지(裸地) 면적(面積), 폐잔재(廢殘材) 면적(面積)의 인자(因子)는 산림(山林) 경관(景觀)의 시각(視覺) 선호도(選好度)에 부(負)(-)의 관계가 있었으며 흉고(胸高) 직경(直徑), ha당(當) 임목(林木) 본수(本數), 하늘 면적(面積), 산림(山林) 내(內)의 소로(小路)의 존재(存在)의 인자(因子)는 정(正)(+)의 관계(關係)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6개(個) 인자(因子)가 산림(山林) 경관(景觀)의 시각(視覺) 선호도(選好度) 변량(變量)의 74% 정도(程度)를 설명(說明)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 산림(山林) 경관(景觀)의 산림(山林) 속성(屬性) 인자(因子)는 산림(山林) 근경(近景)의 시각(視覺) 선호도(選好度)에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산림 휴양 활동의 변화 요인 (Factors Affecting Changes in Forest Recreational Activiti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장주연;박소희;설아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4호
    • /
    • pp.711-723
    • /
    • 2021
  • 코로나19 발생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 등 제재로 인해 일상과 여가생활이 변화되면서 산림 휴양 활동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이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국내 산림 휴양 활동의 참여가 어떻게 달라졌는지 파악하고 그 변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국 성인 남녀 1,000명을 표본 추출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상호작용항을 포함하는 이항 로짓 모형을 이용하여 코로나19에 따른 산림 휴양 활동 참여의 변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코로나19 이후 산림 휴양 활동으로서 녹지공간 방문, 숲 야외활동, 산촌 여행에의 참여가 모두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세 유형의 산림 휴양 활동에서 20대보다 40~60대의 참여가 더 크게 감소하여 코로나19 이후 산림 휴양 활동 변화에서 연령이 가장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또한 소득이 높을수록 코로나19 이후 숲 야외활동 참여가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수도권 거주자들은 비수도권 거주자보다 산촌 여행 참여가 덜 감소하였다. 이것으로 볼 때 코로나19 이후 산림 정책은 2030세대의 새로운 산림 휴양 수요에 대응하고 안전한 야외 활동의 공간으로서의 산림과 산촌의 기능을 확대시키기 위한 정보의 제공과 공간관리가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