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corder

검색결과 515건 처리시간 0.034초

PDA를 활용한 홍수예보시스템의 효율적 관리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Effective Management Method of the Flood Forecast System using PDA)

  • 정승백;양승인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7A권4호
    • /
    • pp.197-202
    • /
    • 2010
  • 관측소의 기록저장 장치는 수위계와 우량계로부터 5분 간격으로 측정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관측소의 RTU(Remote Terminal Unit)는 VHF와 위성통신을 이용하여 10분 간격으로 홍수통제소의 TM(Telemetering)으로 측정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전송되는 데이터는 레코더에 저장된 전체 데이터가 아니라 10분 간격으로 측정된 데이터이다. 홍수 통제소에서는 수신된 데이터를 홍수예보를 위해 분석한다. 또한 중요한 점은 관측소의 유지보수이다. 본 논문에서는 홍수예보를 위한 효과적인 유지보수 시스템을 제안한다. 그것은 PDA의 CDMA와 Blutooth 기술을 사용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휴대용이며 관측소에 저장된 데이터를 RTU없이 쉽게 홍수통제소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홍수통제소로 부터 전송 받아서 다른 지역의 관측소 데이터를 원격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인력과 시간의 낭비를 줄여서 관측소의 유지 보수 업무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차량 번호판 검출을 위한 자동차 개인 저장 장치 이미지 향상 알고리즘 (An image enhancement algorithm for detecting the license plate region using the image of the car personal recorder)

  • 윤종호;최명렬;이상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1-8
    • /
    • 2016
  • 본 논문은 블랙박스 적용을 위한 적응형 히스토그램 스트레칭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본 알고리즘은 자동차 개인 저장장치 영상을 이용한 차량 번호판 검출을 위한 전처리 단계로 사용하였다. 제안 방식은 확률밀도함수(PDF: Probability Density Function)와 누적분포함수(CDF: Cumulative Density) 이용하여 영상의 밝기 분포도를 분석하였다. 이 두 함수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샘플링 한 영상을 사용하여 구하였다. 두 함수를 이용하여 영상의 특성을 분석하여, 특정 인자를 검출하였다. 검출된 인자를 분포도에 따라 각각 다른 스트레칭을 수행하였다. 알고리즘 검증은 촬영 된 자동차 개인 저장장치 영상을 사용하였다. 기존 알고리즘 비교는 시각적인 평가, 히스토그램 분포, 표준 및 표준 편차 값을 분석하였다. 또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자동차 번호판 인식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번호판 인식율을 분석하였다. 기존 알고리즘보다 열화 현상이 적게 나타났고, 향상된 콘트라스트 값을 통하여, 차량 번호판 검출에서 기존 알고리즘보다 정확한 위치가 나타났다.

택시 영상DB를 활용한 교통약자 보행자 사고의 심각도 분석 (Severity Analysis for Vulnerable Pedestrian Accident Utilizing Vehicle Recorder Database of Taxi)

  • 정재훈;설재훈;최성택;노정현;이지선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98-106
    • /
    • 2014
  • This study proposes severity analysis for pedestrian accidents by improving variables which were used for general severity analysis. The existing variables were collected based on the interviews with policeman or witnesses and evidence of accidents. Therefore, existing variables were subjective and had several measurement errors. In order to improve such problems, this study collected variables from vehicle recorder of taxi which recorded the moment of accidents. As a result, explanatory power of independent variables was enhanced and the complete objective variables could be collected. After collecting variables, ordered probit model was developed by utilizing vehicle recorder database. Fitness of ordered probit model was 0.23. Vehicle speed and pedestrian's eye direction variables were the most critical factors for severity of pedestrian accident. In addition, severity analysis for vulnerable pedestrian was carried out.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vehicle speed, pedestrian's eye direction and safety zone variables affected the severity of pedestrian accidents most. Particularly, vehicle speed variable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Consequently, driver's defensive driving and compliance to the regulations are the priority to reduce severity of pedestrian accidents and prevent pedestrian accident.

고속기록기의 제어운용 소프트웨어 분석 및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and Analysis of Control Operation Software of High-Speed Recorder)

  • 황철준;오세진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280-288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한국우주전파관측망(Korean VLBI Network; KVN)을 통하여 천체의 미약한 우주전파를 고속으로 기록하는 Mark5B 고속기록기 시스템의 제어운용 소프트웨어를 분석하고 VSI(VLBI Standard Interface) 형식의 시각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고속기록기 시스템의 제어운용 소프트웨어는 대용량 하드디스크를 제어할 수 있는 RAID 보드를 구동하는 소프트웨어와 네트워크를 통한 제어운용을 할 수 있다. 핵심 제어 소프트웨어가 시스템에서 구동하고 있으면 네트워크로 입력된 명령을 해석하고 실행 후 결과를 다시 네트워크를 통해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분석을 통하여 기록된 관측데이터를 상관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시각정보를 함께 기록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본 논문에서 개발하였다. 개발된 소프트웨어는 데이터를 기록할 때 입력되는 1PPS 신호의 인터럽트를 확인한 후 데이터 기록과 함께 기록시각정보도 함께 데이터 기록시간동안 기록한다. 개발한 소프트웨어의 정상동작을 확인하기 위해 실제 관측을 수행하였으며, 기록한 데이터의 분석을 통하여 그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 PDF

다중추돌사고의 재구성 해석: 경험적/해석적 방법과 영상사고기록장치 활용 (Reconstruction Analysis of Multi-Car Rear-End Collision Accidents: Empirical/Analytical Methods, and Application of Video Event Data Recorder)

  • 한인환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27-136
    • /
    • 2012
  • 다중추돌사고의 형태는 연쇄 추돌이라고 불리우는 뒤로부터의 순차적인 추돌과 앞으로부터의 순차적인 추돌, 그리고 순서가 섞여 있는 추돌형태로 구분된다. 다중추돌사고에 대하여 몇가지 효과적인 재구성 해석 방안을 제시한다. 브레이크 다이브 등으로 인한 차량 파손과 승객 부상을 활용하는 전통적인 경험적 수법과 강체역학 범주내에서의 이론적인 해석 결과를 구하여 당장에의 실용적인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국내에 보급이 확산되고 있는 영상사고기록장치를 활용하고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등을 병행 활용하여 다중추돌사고를 효과적으로 해석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저장 동영상에 대한 단순 직관적인 조사를 넘어설 수 있도록 동영상 분석 결과에 근거한 시뮬레이션 해석을 수행하여 다중추돌사고에 대한 구체적이고 다양한 정보의 획득을 가능하게 하여 원인 규명 및 책임 소재 등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군용항공기 내 비행 영상 및 데이터 녹화기 장착에 관한 안전성 검증 (Safety Verification of Mounting Flight Video and Data Recorder in the Military Aircraft)

  • 권정혁;김경남;황원화;이왕상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42-57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운영 중인 군용항공기 내에 비행 임무 및 정비사항의 연구 능력 증대를 위해서 비행 영상 및 데이터 녹화기 추가 장착에 대한 운영환경에 맞는 요구도 검토 및 안전성 검증 방안을 연구하였다. 군용규격 및 운영환경에 따른 요구도에 맞도록 녹화기 장비 자체의 검증, 항공기체계에서의 구조 안전성, 전원 및 전기 안전성, 전자기 적합성과 감항 영향성 검토 및 검증과정을 기술하였다. 또한, 지상/비행 시험을 통해 비행 영상 및 데이터 녹화기와 타 계통 간의 간섭 영향성 및 요구도에 적합한 기능 동작 결과도 함께 기술하였다.

크랩랜딩(Crab Landing) QAR(Quick Access Recorder) 비행 데이터 통계분석 모델 (Crab Landing QAR (Quick Access Recorder) Flight Data Statistical Analysis Model)

  • 전제형;김현덕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8권2호
    • /
    • pp.185-192
    • /
    • 2024
  • 항공산업은 기술적인 혁신을 통해 안전성을 향상했으며, 항공 당국의 안전 규제와 감독을 통해 비행안전을 강화해 왔다. 항공산업의 안전 접근 방식이 항공기 시스템 전체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방식으로 발전함으로써 항공사는 새로운 안전 관리시스템을 구축하게 되었다. 항공기의 기술적 결함이나 비정상적인 데이터는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전조 징후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징후를 조기에 식별하고 대처함으로써 사고 발생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비정상적인 전조 징후의 관리는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촉진하고, 항공사의 운영 효율성 및 안전수준을 강화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항공기 착륙 시에 활주로 이탈로 이어질 수 있는 크랩랜딩 이벤트의 패턴과 원인 분석을 위한 사전적 분석 단계에서 QAR (quick access recorder) 비행 데이터 통계 분석 모델을 제시하여 착륙 이벤트의 전조 징후와 원인을 식별 및 제거하는 안전관리의 효율성을 제고하고자 한다.

Histogram Recorder System에 의한 측정예

  • 한응교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1-27
    • /
    • 1985
  • 차량, 항공, 교량 및 기계구조물 등 랜덤한 실동하중을 받는 구조물의 응력 및 변위, 진동등의 피로 Data 또는 TRAFFIC 등에 의한 건축물의 변위 및 응력발생빈도를 집록하기 위한 Histogram Recorder System에 대한 내용과 측정예를 소개하고자 한다. 본 System은 8(4)챈 널의 스트레인 게이지 또는 스트레인 게이지식 각종변환기와 각종 Sensor로부터의 출력전압 등 Analog 입력을 수록하여, Digital 처리하여 micro computer를 사용, 미리 프로그램된 방식에 따라 측정과 동시에 실동시간으로 해석처리하여 빈도수로서 내부에 기억저장 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본 Histogtram Recorder 본체는 소형으로 견고하며 조금도 제어부분을 갖지 않고 소요의 해석방법의 프로그램백만을 셋트한 개별의 제어기만을 통해가지고 프로그램을 기입만 하며는 그다음은 손하나 안대고도, 그리고도 또 측정중에 제3자에 의한 제어조작 잘못이 발생할 위험도 없고 1 년이상에 걸친 장기간의 .+-. 32 Slices의 각 레벨당 각각 40 억을 넘는 대량의 빈도수를 자동적으로 집록 할 수가 있다. 집록된 Data는 제어장치에 의해 정리된 Datam는 제어장치에 의해 정리된 Histogram의 형태로 읽어나갈 수가 있어 관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프린터기록 또는 기록장치에 이송시켜서 Data 만 따로 가져올 수가 있어 필요에 따라서는 one line으로 Host computer에 접속시킬 수가 있어 더욱 고도의 처리를 할 수가 있다. 빈도해석프로그램으로서는 극대, 극소, 최대, 최소, 진폭, 시간 등을 pack으로서 준비되어 있어 이에 대한 시스템의 고성 동작 및 성능등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무인항공기용 비행자료 기록장치 소프트웨어 설계 및 검증 방안 (Software Design and Verification Method of Flight Data Recorder for Unmanned Aerial Vehicle)

  • 양서희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163-172
    • /
    • 2020
  • 무인항공기 사고 발생 시 사후 조사를 위한 비행자료 기록장치는 항공기 추락에 따른 극한환경에 노출된 후 비행자료를 정상 복원할 수 있도록 EUROCAE(European Organization for Civil Aviation Equipment)의 ED-112 규격을 준수하여야 한다. ED-112 규격은 유인항공기를 포함한 모든 항공기의 일반적인 요구사항을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특정 플랫폼의 형상 및 운용개념에 따라 적합한 설계 요구사항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여야 하므로 소프트웨어에 대한 세부 요구사항 분석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무인항공기에 적합한 소프트웨어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이를 고려한 비행자료 기록장치 소프트웨어의 설계 방안을 제안한다. 또한 구현된 소프트웨어가 모든 요구사항을 고려하여 설계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한 각 요구사항에 대한 소프트웨어 검증 방안을 제시한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와 연동한 DTV의 양방향 콘텐츠 관리에 대한 연구 (A Study on management of interactive contents for digital television cooperated with digital video recorder)

  • 오종서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6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09-311
    • /
    • 2006
  • 본 논문은 셋톱박스내의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를 활용하여 디지털 텔레비전의 양방향성 구현하기 위한 해법을 다루고 있다. 지금까지는 디지털방송 중에 시청자가 요구하는 방대한 양의 다양한 인터랙티브 콘텐츠들을, 그것들이 데이터방송이건 HD급 방송이건 간에, 소화해 내기란 힘든 일이었으며, 더군다나 IPTV가 출현하기 전까지는 상상도 못할 일이었다. 비록 초고속 인터넷을 통한 IPTV가 양방향 서비스를 가능하도록 하고는 있지만, 셋톱박스를 통해서 한 번에 방대한 양의 콘텐츠를 수신하기란 그리 쉬운 일은 아니다. 이 논문에서 본인은 디지털방송에서 대용량의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제공받는데 장애가 되는 콘텐츠 다운로드 딜레마에 대한 효율적인 해법을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가 장착된 셋톱박스를 통해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