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construction of condyle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2초

근위 경골 골육종의 부분 절제술 - 증례 보고 - (Partial Resection of Osteosarcoma in Proximal Tibia - A Case Report -)

  • 송원석;이승준;원호현;전대근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40-145
    • /
    • 2008
  • 사지 구제술이 보편화된 후 슬 관절 주위 골육종 환자의 재건 방법은 술자의 선호도에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비교적 표준화 되어 있다. 현재 주로 시행되는 사지 구제술 방법으로는 크게 인공관절 치환술, 동종골 이식술이 있다. 인공관절 치환술의 경우 매우 안정적이며 술후 기능적으로도 양호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나, 궁극적으로 파손에 의한 제거술 시행이 필수적인 단점이 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볼때 이식골을 이용한 재건술은 큰 장점을 갖고 있다. 하지만, 동종골의 사용은 요구되는 크기와 모양을 쉽게 구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며, 자가골 이식술은 수술 절제연이 안전하고, 그 적응증이 확립된 경우에만 사용해야 한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사지 구제술에 있어 분절 절제법은 골간의 병변에 있어 그 유용성이 확립되어 있으나, 골간단의 병변에 있어서는 시행 적응증이 널리 알려져 있지 않다. 저자들은 17세 환자의 근위 경골 내측과에 국한적으로 발생한 골육종의 증례에서 내측과 절제만으로도 안전한 절제연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내측과 절제술 및 저온 열처리 자가골 이식술을 시행하였다. 본 술식은 추가적인 성장이 예상되는 소아환자에게 시행하였을 경우, 추후 파손 발생시에도 반측 치환술로 치환 가능한 방법으로 생각되어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악관절 강직증 치료에 있어 측두근 및 근막의 이용 (THE USE OF A PEDICLED TEMPORAL MUSCLE AND FASCIA FOR TREATMENT OF THE TMJ ANKYLOSIS)

  • 이철우;여환호;김영균;이효빈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5권1호
    • /
    • pp.11-20
    • /
    • 1993
  • Bony ankylosis is an intraarticular condition where there is fusion of the bony surfaces of the joint : The condyle and the glenoid fossa. It occurs in both children and adults, unfortunately more frequently in the former, in whom early recognition and correction is particularly critical. Trauma is well proven to be the predominant cause of TMJ ankylosis. Infection, rheumatoid arthritis and neoplasm are another, significant cases of TMJ ankylosis. The necessity for using an interpositional material to prevent TMJ reankylosis has been widely discussed and many interpositional materials have been used, including temporal muscle and fascia, dermis, auricular cartilage, fascia lata, fat, Lyo-dura, Silastic and various metals. The temporal muscle and fascia have been widely used pedicled flap for head and neck reconstruction. The use of a temporal muscle and fascia for reconstruction of the TMJ, particularly in cases of ankylosis is a very reasonable option. Its principle advantages are its autogenous nature, resilience, and proximity to the joint, allowing for a pedicled transfer of vascularized tissue into the joint area. However, the viability of temporal muscle and fascia is a critical question. We treated 2 cases of TMJ ankylosis with temporal muscle and fascia transfer and one case with temporal fascia. We obtained satisfactory results as to functional aspects.

  • PDF

하악과두에서 발생한 악성 골육종 환자에서 외과적 절제 후 유리장골이식을 이용한 재건 (RECONSTRUCTION WITH A VASCULARIZED FREE ILIAC OSTEOMUSCULAR FLAP AFTER HEMIMANDIBULECTOMY FOR OSTEOSARCOMA OF THE MANDIBULAR CONDYLE REGION : A CASE REPORT)

  • 박홍주;유민기;국민석;오희균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0권4호
    • /
    • pp.386-394
    • /
    • 2008
  • 하악골에서 고분화 골육종은 매우 드물게 보고되고 있으며 조직검사상 전형적인 골육종과는 달리 다형성(pleomorphism)을 보이지 않기 때문에 양성종양으로 오진(under-diagnosis) 되기 쉽다. 그러나 정확한 환자의 진단은 적절한 치료와 환자의 예후에 영향을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조기에 정확한 진단을 위하여는 의심되는 여러 부위에서 조직검사를 시행하고 임상소견과 방사선소견 등을 병리의사와 공유하여야 한다. 이에 초기에 진단이 어려웠던 하악골에 발생된 고분화 골육종을 경험하여 환자의 사회적 기능적 회복을 위한 수술을 시행하여 바람직한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다중검출기 컴퓨터 단층 영상 분석을 이용한 Resident's ridge의 형태학적 연구 (Geometry of Resident's ridge with Multidetector-Row Computed Tomograph Image)

  • 노정호;민병현;박정욱;안병문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0-44
    • /
    • 2008
  • 목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시 흔히 관찰하게 되는 Resident's ridge의 실제 형태학적 위치 및 모양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1월부터 2007년 8월까지 본원에서 시행한 48례의 정상 대퇴골 원위부를 촬영한 MD CT(Multidetector-Row Computed Tomography) 영상을 분석하였다. 과간절흔의 외측벽에서 1 mm 이상의 높이 변화를 보이는 경우를 Resident's ridge로 정의 하였다. $Lucion^{(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3차원 재구성한 영상을 통해 과간절흔의 전후방 길이, resident's ridge의 길이, 높이, 과간절흔의 후방 피질골로부터의 거리를 측정하였다. 결과: 환자의 평균 연령은 $59{\pm}16$세였으며 남성이 16례, 여성이 32례 이었다. Resident's ridge가 존재 하지 않았던 경우는 9례 이었으며 과간 절흔의 전후방 길이는 $25.4{\pm}3.5$ mm, Resident's ridge 의 길이와 높이의 평균값은 각각 $8.2{\pm}2.6,\;3.5{\pm}1.5$ mm 이었으며 Resident's ridge의 후방 피질골로부터의 거리는 $7.6{\pm}2.6$ mm 이었다. 결론: Resident's ridge는 많은 예에서 존재하며 뚜렷한 길이와 높이가 있기 때문에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시 주요한 landmark로 사용할 수 있다.

  • PDF

일절개법을 이용한 관절경적 후 십자 인대 복원술 - 이절개법과의 비교 - (Comparison of the Results of One-Incision Technique Versus Two-Incision Technique of the Arthroscopic Pos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using Bone-Patellar Tendon-Bone Graft)

  • 김성재;김현곤;김현정;김한식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3-39
    • /
    • 1998
  • This study was done to compare the results of the one-incision technique and the conventional two incision technique for the arthroscopic treatment of th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Fifty-five patients with th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underwent the arthroscopic pos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using bone-patellar tendon-bone(BTB) graft. Patients with combined ligament injuries requiring concomitant operative treatment were excluded in this study. The conventional two-incision technique was performed in ten patients(Group I) and the one-incision technique in forty-five patients(Group II). The average duration of follow-up was 45 months in Group I(range, 40 to 50 months) and 36 months in Group II(range, 24 to 68 months). Auto BTB grafts were utilized for all patients in Group I. In Group II, 34 BTB autografts and 11 BTB allografts were utilized. The functional result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Lysholm Knee Scoring scale and the Hospital for Special Surgery(HSS) knee ligament rating form. The postoperative posterior laxity was measured with a KT 1000 or 2000 arthrometer. Lysholm postoperative mean values were 90.0 in Group I and 90.6 in Group II. HSS mean values were 87.7 in Group I and 92.6 in Group II. HSS postoperative mean value showed better results in Group II(p=0.037). The average side-to-side difference of the posterior translation measured by the KT 2000 arthrometer were 2.10 mm(range, 1 to 4 mm) in Group I and 2.38 mm(range, 0 to 5 mm) in Group II.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up II, the results of the autograft and allograf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arthroscopic pos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using one-incision technique showed good results comparable to the conventional two-incision technique. This technique minimizes potential injury to the extensor mechanism, especially vastus medialis obliquus, and scar formation over the medial femoral condyle. The operation can be finished within one tourniquet time by using only one-incision.

  • PDF

Alloplastic total temporomandibular joint replacement using stock prosthesis: a one-year follow-up report of two cases

  • Lee, Sang-Hoon;Ryu, Da-Jung;Kim, Hye-Sun;Kim, Hyung-Gon;Huh, Jong-Ki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9권6호
    • /
    • pp.297-303
    • /
    • 2013
  • Alloplastic total replac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was developed in recent decades. In some conditions, previous studies suggested the rationale behind alloplastic TMJ replacement rather than reconstruction with autogenous grafts. Currently, three prosthetic products are available and approved by th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mong these products, customized prostheses are manufactured, via computer aided design/computer aided manufacturing (CAD/CAM) system for customized design; stock-type prostheses are provided in various sizes and shapes. In this report, two patients (a 50-year-old female who had undergone condylectomy for the treatment of osteochondroma extending to the cranial base on the left condyle, and a 21-year-old male diagnosed with left temporomandibular ankylosis) were treated using the alloplastic total replacement of TMJ using stock prosthesis. The follow-up results of a favorable one-year, short-term therapeutic outcome were obtained for the alloplastic total TMJ replacement using a stock-type prosthesis.

Temporomandibular joint chondrosarcoma: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 Lee, Kyungjin;Kim, Seong Hwan;Kim, Soung-Min;Myoung, H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2권5호
    • /
    • pp.288-294
    • /
    • 2016
  • Chondrosarcoma is a malignant tumor that originates from cartilaginous cells and is characterized by cartilage formation. Only 5% to 10% of chondrosarcoma occurs in the head and neck area, and it is uncommon i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area. This report describes an unusual case with a rare, large chondrosarcoma in a 47-year-old woman who presented with painless swelling and trismus. Computed tomography showed a large mass approximately $8.5{\times}6.0$ cm in size arising adjacent to the lateral pterygoid plate and condyle. There were features suggestive of bone resorption. The tumor was resected in a single block with perilesional tissues, and a great auricular nerve graft was performed because of facial nerve sacrifice. Microscopic examination of sections stained with H&E revealed chondrocytes with irregular nuclei and heterogeneous hyper chromatic tumor cells embedded in the chondrocyte lacuna. The diagnosis was a grade I chondrosarcoma. There was no evidence of recurrence at the 8-month follow-up, and a reconstruction surgery with fibular osteocutaneous free flap was performed. We report this unusual entity and a review of the literature.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시 동반된 반월상 연골 파열에 대한 meniscus arrow를 이용한 봉합 (Meniscus Repair using Meniscus Arrow with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 조성도;박태우;황수연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56-160
    • /
    • 2002
  • 목적 :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시 동반된 반월상 연골의 파열에 대해 meniscus $arrow^{\circledR}$(BIONX, Tampere, Finland)를 이용한 봉합술의 치험예를 통하여 그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1997년 5월부터 2000년 7월까지 전방십자인대 재건술과 함께 meniscus arrow를 이용하여 반월상 연골의 봉합술을 시행하고 추시가 가능하였던 17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추시 기간은 평균 18.5개월이었다. 손상 부위는 내측 12례, 외측 5례였고, 손상 형태는 전례에서 종 파열이었으며 red-rd 지역이 13례, red-white 지역이 4례였다. 술후 결과는 반월상 연골에 의한 증상(동통, 관절선 압통, 잠김, McMurray 검사)의 유무에 대해 알아보고 Marshall knee score를 이용하여 술전후 슬관절의 기능적 평가를 시행하였고 합병증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결과 : 술후 2례에서 경도의 관절선 압통을 보였으나 관절 운동이나 체중 부하시 특별한 동통을 호소하지 않았으며 전례에서 잠김 증상이나 McMurray 검사는 음성이었다. 최종 추시점에서 Marshall knee scoring scale을 이용한 결과는 15례$(88\%)$에서 good 이상의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다. 합병증으로는 1례에서 술후 능동적 관절운동시 슬관절의 내측에 걸리는 느낌의 날카로운 통증을 호소하였으나 술후 6주에 소실되었다. 다른 1례에서 반월상 연골 밖으로 돌출된 arrow의 T-Head에 의한 대퇴골 연골 손상이 있었다. 결론 :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시 동반된 반월상 연골 손상, 특히 내측 반월상 연골의 후각부 파열에 대해 meniscus arrow를 이용한 봉합술도 하나의 치료방법이 될 수 있으나 연부조직 자극으로 인한 통증과 대퇴골 연골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Open versus closed treatment for extracapsular fracture of the mandibular condyle

  • Lee, Junyeong;Jung, Hee-Yeoung;Ryu, Jaeyoung;Jung, Seunggon;Kook, Min-Suk;Park, Hong-Ju;Oh, Hee-Ky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8권5호
    • /
    • pp.303-308
    • /
    • 2022
  • Objectives: Selection of treatment methods for mandibular condylar fractures remains controversial.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reatment methods for condylar fractures to determine the indications for open or closed reduction. Patients and Methods: Patients >12 years of age treated for mandibular condylar fractures with a follow-up period of ≥3 month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medical records of enrolled patients were reviewed for sex, age, fracture site, treatment method (open or closed reconstruction), postoperative intermaxillary fixation period, operation time, and complications. Radiological analysis of fracture fragment displacement and changes in ramal height difference was performed using computed tomography and panoramic radiography. Results: A total of 198 patients was investigated, 48.0% (n=95) of whom underwent closed reduction and 52.0% (n=103) underwent open reduc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reduction method and patient sex, age, or follow-up perio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incidence of complications and treatment method was observed. None of the patients underwent open reduction of condylar head fracture.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open reduction was significantly more frequent in patients with subcondylar fracture compared to in those with a fracture in the condylar head area.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groups and fracture fragment displacement.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reatment groups in amount of change in ramal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fractured and the non-fractured sides during treatment. Conclusion: No significant clinical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open and closed reduction methods in patients with mandibular condylar fractures. According to fracture site, closed reduction was preferred for condyle head fractures.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fracture fragment displacement and treatment method.

전방 십자 인대 파열시 손상된 대퇴골 외과 연골의 병리조직학적 연구 (Histopathological Study of Cartilage in the Bone Bruise of the Lateral Femoral Condyle Associated with Anterior Cruciate Ligament Rupture)

  • 배대경;윤경호;김희선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54-161
    • /
    • 2005
  • 목적: 급성 전방십자인대 파열 시 동반된 제 3형의 골멍의 조직학적 소견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5례의 급성 전방십자인대 파열 환자에서 MRI상 대퇴골 외과에 제 3형의 골멍이 동반된 14례와 골멍이 동반되지 않은 11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22례, 여자가 3례였으며 평균 나이는 25세였다. 수상 후부터 MRI 검사까지의 기간은 최소 1일에서 최대 30일이였고 수상 후부터 전방십자인대 재건술까지의 기간은 평균 45일이었다.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시 연골과 연골하 골에 trephine biopsy를 시행하여 조직학적 및 면역조직학적 소견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hematoxylin-eosin 염색시 세포에 대한 변화는 발견할 수 없었고, Masson's trichrome 염색에서 콜라겐의 분포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또한 면역화학염색으로 관찰된 제 1형 콜라겐과 제 2형 콜라겐의 분포에서 아무런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p>0.05). 그러나 Safranin-O를 이용한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 염색에서 골멍군의 표층과 중간층의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 염색 분포가 정상 대조군보다 떨어졌다(p<0.05). 또한 골멍군에서 석회화층에 지방세포들이 같이 발견되는 빈도가 높았다. 결론: 전방십자인대 파열시 동반되는 제 3형의 골임은 슬관절의 불안정성과 함께 추후 관절 연골의 손상을 유발하는 중요한 요인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