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commender System

검색결과 435건 처리시간 0.03초

음악추천시스템의 수용성에 개인감정과 상황이 미치는 영향 (Impact of Sentimental and Contextual Factors on the Acceptance of Music Recommender Systems)

  • 박경수;문남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104-116
    • /
    • 2011
  • 추천시스템은 정보기술의 발달에 따른 정보의 홍수 속에서 사용자의 요구 사항과 선호를 바탕으로 사용자와 공급자 양측의 이익을 위해 사용자가 합당한 제품을 선택하기 위한 개인화된 의사결정 지원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추천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주로 공급자의 입장에서 추천시스템의 개선에 관한 연구들이거나 추천시스템 평가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어서 본 논문에서는 수요자의 입장에서 개인감정과 상황이 음악추천시스템의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수정된 TAM을 기반으로 하여 관련 선행연구를 통해 검증된 변수를 기반으로 도출된 잠재변수와 측정치를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측정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층구조 (High-Order Construct)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인감정 중에서 내적흥미와 즐거움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개인상황에 있어서는 사회적영향과 시간적합성은 유의한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장소적합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자 감정 예측을 통한 상황인지 추천시스템의 개선 (Improvement of a Context-aware Recommender System through User's Emotional State Prediction)

  • 안현철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1권4호
    • /
    • pp.203-223
    • /
    • 2014
  • This study proposes a novel context-aware recommender system, which is designed to recommend the items according to the customer's responses to the previously recommended item. In specific, our proposed system predicts the user's emotional state from his or her responses (such as facial expressions and movements) to the previous recommended item, and then it recommends the items that are similar to the previous one when his or her emotional state is estimated as positive. If the customer's emotional state on the previously recommended item is regarded as negative, the system recommends the items that have characteristics opposite to the previous item. Our proposed system consists of two sub modules-(1) emotion prediction module, and (2) responsive recommendation module. Emotion prediction module contains the emotion prediction model that predicts a customer's arousal level-a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state of being awake or reactive to stimuli-using the customer's reaction data including facial expressions and body movements, which can be measured using Microsoft's Kinect Sensor. Responsive recommendation module generates a recommendation list by using the results from the first module-emotion prediction module. If a customer shows a high level of arousal on the previously recommended item, the module recommends the items that are most similar to the previous item. Otherwise, it recommends the items that are most dissimilar to the previous one. In order to validate the performance and usefulness of the proposed recommender system, we conducted empirical validation. In total, 30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We used 100 trailers of Korean movies that had been released from 2009 to 2012 as the items for recommendation. For the experiment, we manually constructed Korean movie trailer DB which contains the fields such as release date, genre, director, writer, and actors. In order to check if the recommendation using customers' responses outperforms the recommendation using their demographic information, we compared them. The performance of the recommendation was measured using two metrics-satisfaction and arousal levels.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recommendation using customers' responses (i.e. our proposed system) outperformed the recommendation using their demographic information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신용카드 추천을 위한 다중 프로파일 기반 협업필터링 (Collaborative Filtering for Credit Card Recommendation based on Multiple User Profiles)

  • 이원철;윤협상;정석봉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154-163
    • /
    • 2017
  • Collaborative filtering, one of the most widely used techniques to build recommender systems, is based on the idea that users with similar preferences can help one another find useful items. Credit card user behavior analytics show that most customers hold three or less credit cards without duplicates. This behavior i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to data sparsity. The 'cold-start' problem caused by data sparsity prevents recommender system from providing recommendation properly in the personalized credit card recommendation scenario. We propose a personalized credit card recommender system to address the cold-start problem, using multiple user profiles. The proposed system consists of a training process and an application process using five user profiles. In the training process, the five user profiles are transformed to five user networks based on the cosine similarity, and an integrated user network is derived by weighted sum of each user network. The application process selects k-nearest neighbors (users) from the integrated user network derived in the training process, and recommends three of the most frequently used credit card by the k-nearest neighbors. In order to demonstr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ystem, we conducted experiments with real credit card user data and calculated the F1 Values. The F1 value of the proposed system was compared with that of the existing recommendation techniques.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ystem provides better recommendation than the existing techniques. This paper not only contributes to solving the cold start problem that may occur in the personalized credit card recommendation scenario, but also is expected for financial companies to improve customer satisfactions and increase corporate profits by providing recommendation properly.

검색 키워드를 활용한 하이브리드 협업필터링 기반 상품 추천 시스템 (A Hybrid Collaborative Filtering-based Product Recommender System using Search Keywords)

  • 이윤주;원하람;심재승;안현철
    • 지능정보연구
    • /
    • 제26권1호
    • /
    • pp.151-166
    • /
    • 2020
  • 추천시스템(recommender system)은 고객의 선호도를 예측하여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법으로, 현재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에 활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많은 선행 연구들은 협업필터링(collaborative filtering)에 기반한 추천시스템을 제안하였는데, 대부분의 경우 고객의 구매 내역 또는 평점 데이터만 사용하여 진행되었다. 오늘날 소비자들은 제품을 구매하는 과정에서 온라인 검색 행동을 하여 관심있는 제품을 찾는다. 그렇기 때문에 검색 키워드 데이터는 고객의 선호도를 파악하는데 매우 유용한 정보일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추천시스템 연구에서 사용되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고객의 검색 행동에 주목하여 온라인 쇼핑몰 고객의 검색 키워드 데이터와 구매 데이터를 고려한 하이브리드 협업 필터링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제안된 모델의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제 온라인 쇼핑몰 데이터를 사용하여 성능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추천 상품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고객의 검색 키워드를 기반으로 구축된 협업필터링의 추천 성능이 향상되는 반면 일반적인 협업필터링의 성능은 추천된 상품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점차 감소함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검색 키워드 데이터를 활용한 하이브리드 협업필터링이 고객의 선호도를 반영한 추천할 수 있으며, 구매이력 데이터의 정보부족을 해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기존의 정량 데이터만을 활용한 추천 시스템이 아닌, 비정형 데이터인 텍스트를 사용함으로써 새로운 하이브리드 협업필터링 구축 방법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Utilizing Fuzzy Logic for Recommender Systems

  • Lee, Sooj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8호
    • /
    • pp.45-50
    • /
    • 2018
  • Many of the current successful commercial recommender systems utilize collaborative filtering techniques. This technique recommends products to the active user based on product preference history of the neighbor users. Those users with similar preferences to the active user are typically named his/her neighbors. Hence, finding neighbors is critical to performance of the system. Although much effort for developing similarity measures has been devoted in the literature, there leaves a lot to be improved, especially in the aspect of handling subjectivity or vagueness in user preference ratings. This paper addresses this problem and presents a novel similarity measure using fuzzy logic for selecting neighbors. Experimental studies are conducted to reveal that the proposed measure achieved significant performance improvement.

개인화 된 추천시스템을 위한 사용자-상품 매트릭스 축약기법 (User-Item Matrix Reduction Technique for Personalized Recommender Systems)

  • 김경재;안현철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16권1호
    • /
    • pp.97-113
    • /
    • 2009
  • Collaborative filtering(CF) has been a very successful approach for building recommender system, but its widespread use has exposed to some well-known problems including sparsity and scalability problems. In order to mitigate these problems, we propose two novel models for improving the typical CF algorithm, whose names are ISCF(Item-Selected CF) and USCF(User-Selected CF). The modified models of the conventional CF method that condense the original dataset by reducing a dimension of items or users in the user-item matrix may improve the prediction accuracy as well as the efficiency of the conventional CF algorithm. As a tool to optimize the reduction of a user-item matrix, our study proposes genetic algorithms. We believe that our approach may relieve the sparsity and scalability problems. To validate the applicability of ISCF and USCF, we applied them to the MovieLens dataset.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both the efficiency and the accuracy were enhanced in our proposed models.

  • PDF

Dynamic Fuzzy Cluster 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 Min, Sung-Hwan;Han, Ingoo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03-210
    • /
    • 2004
  • Due to the explosion of e-commerce, recommender systems are rapidly becoming a core tool to accelerate cross-selling and strengthen customer loyalty. There are two prevalent approaches for building recommender systems - content-based recommending and collaborative filtering. Collaborative filtering recommender systems have been very successful in both information filtering domains and e-commerce domains, and many researchers have presented variations of collaborative filtering to increase its performance. However, the current research on recommendation has paid little attention to the use of time related data in the recommendation process. Up to now there has not been any study on collaborative filtering to reflect changes in user interest. This paper proposes dynamic fuzzy clustering algorithm and apply it to collaborative filtering algorithm for dynamic recommendations. The proposed methodology detects changes in customer behavior using the customer data at different periods of time and improves the performance of recommendations using information on changes.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experiment show the proposed model's improvement in making recommendations.

  • PDF

모바일 전자상거래 환경에 적합한 개인화된 추천시스템 (A Personalized Recommender System for Mobile Commerce Applications)

  • 김재경;조윤호;김승태;김혜경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15권3호
    • /
    • pp.223-241
    • /
    • 2005
  • In spite of the rapid growth of mobile multimedia contents market, most of the customers experience inconvenience, lengthy search processes and frustration in searching for the specific multimedia contents they want. These difficulties are attributable to the current mobile Internet service method based on inefficient sequential search.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this paper proposes a MOBIIe COntents Recommender System for Movie(MOBICORS-Movie), which is designed to reduce customers' search efforts in finding desired movies on the mobile Internet. MOBICORS-Movie consists of three agents: CF(Collaborative Filtering), CBIR(Content-Based Information Retrieval) and RF(Relevance Feedback). These agents collaborate each other to support a customer in finding a desired movie by generating personalized recommendations of movies.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MOBICORS-Movie, the simulation-based experiments were conducted. The results from this experiments show that MOBICORS-Movie significantly reduces the customer's search effort and can be a realistic solution for movie recommendation in the mobile Internet environment.

상황 정보를 이용한 개인화 추천 방법 개발 (A personalized recommendation procedure with contextual information)

  • 문현실;최일영;김재경
    • 지능정보연구
    • /
    • 제21권1호
    • /
    • pp.15-28
    • /
    • 2015
  • 최근 개인 단말기의 보급과 객체간의 네트워크 연결이 확산됨에 따라 방대한 양의 상황 정보들이 수집되고 있지만 역설적으로 사용자들과 서비스 제공자들은 정보의 홍수 속에서 종종 잘못된 의사결정을 내리고 있다. 이러한 정보 과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추천 시스템은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지만 전통적인 추천 시스템은 다양한 형태의 상황 정보 사용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또한 획득 가능한 상황 정보가 다양해지고 방대해짐에 따라 이를 활용한 추천 시스템은 복잡성의 문제를 해결해야 하며 지속적으로 변화되는 사용자 선호 및 상황에 부합할 수 있도록 실시간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황 영역의 개념을 기반으로 한 상황 인식 추천 서비스 방법론을 제안하여 추천 시스템에서 상황정보를 활용하는 한편 복잡성 및 실시간 서비스 제공의 문제를 해결하려 한다. 먼저 적절한 해석과 구조로 상황 데이터를 사용자 프로필에 반영할 수 있도록 상황 영역 개념에 기반한 프로파일링을 제안함에 따라 기존의 상황 인식 추천 시스템이 가지고 있던 복잡성의 한계를 해결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목표 사용자의 상황 영역에 기반한 이웃 집단 탐색으로 추천 시스템의 희박성과 신규 사용자 문제를 해결하는 한편 현재의 상황 정보에 대한 해석으로 도출되는 상황 지지 점수를 기반으로 한 추천 목록을 생성하여 실시간 서비스가 가능한 방법론을 제안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법론은 추천 시스템의 적용 영역을 확장하는 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되며 새로운 기술 출현을 고려한 유연한 모델을 제안함에 따라 마케팅 담당자나 서비스 제공자들이 쉽게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법론을 적용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순차적 추천에서의 RNN, CNN 및 GAN 모델 비교 연구 (A Comparison Study of RNN, CNN, and GAN Models in Sequential Recommendation)

  • 윤지형;정재원;장백철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21-33
    • /
    • 2022
  • 최근 추천 시스템은 영화, 음악, 온라인 쇼핑 및 SNS 등 다양한 분야들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추천 시스템 분야에서 1세대 모델이라고 할수 있는 Apriori 모델을 통한 연관분석부터 최근 많은 주목을 받는 딥러닝 기반 모델들까지 많은 모델들이 제안되어왔다. 추천 시스템에서 기본 모델들은 협업 필터링(Collaborative filtering) 방법, 콘텐츠 기반 필터링(Content-based filtering) 방법, 그리고 이 두 방법을 통합적으로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필터링(Hybrid filtering) 방법으로 분류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모델들은 최근 점점 빠르게 변화하는 사용자-아이템 간의 상호관계와 빅데이터의 발전과 같은 내외 변화 요인들에 적응하지 못하면서 점점 분야 내 방법론으로써의 지위를 잃어가고 있다. 반면, 추천 시스템 내에서 딥러닝 기반 모델들은 비선형 변환, 표현학습, 순차적 모델링, 그리고 유연성과 같은 장점들 때문에 그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 기반 추천 모델들 중에서도 사용자-아이템 간의 상호작용에 대해 보다 정확하고, 유연성 있게 분석이 가능한 순차적 모델링에 적합한 순환 신경망, 합성곱 신경망, 그리고 생성적 적대 신경망 중심 기반 모델로 분류하여 비교 및 분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