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ciprocity Perception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6초

성인자녀가 지각하는 노부모와의 관계유형에 관한 연구 (Adult Children's Perception of Types of Relationships with Elderly Parents)

  • 안정신;문정희;정여진;정영숙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9-38
    • /
    • 2015
  • This study explores the types of relationships between 410 adult children and their elderly parents based of exchange theory and the Konstanz model. In terms of the exchange of emotional, instrumental, and economic support based on exchange theory, the types of relationships identified included "support offers," "reciprocity," and "support benefits." In terms of conflict, intimacy, support offers, support benefits, and support obligations for adult children based on the Konstanz model, the type of relationships with the father included "an intimate exchange," "conflictual distance," "a conflictual sense of duty," and "a flexible exchange." The type of relationships with the mother included "an intimate exchange," "conflictual distance," "separate distance," and "a conflictual offer." There were no distinct characteristics of relationship types based on exchange theory.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of relation types based on the Konstanz model by gender. These result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with respect to the Western model.

손자녀 돌봄이 조부모의 노후부양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노후의 자녀동거 기대를 중심으로 - (A Study of Providing Care to Grandchildren Effects on Grandparents' Perception on Old-Age Support: Focusing on Expectations for Residence with Adult Children)

  • 하석철;홍경준
    • 사회복지연구
    • /
    • 제45권2호
    • /
    • pp.99-122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손자녀 돌봄의 행위와 그것이 지속되는 유형이 조부모의 노후부양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돌봄이 지속되는 유형을 미 돌봄, 일시 돌봄, 지속 돌봄의 세 가지로 구분하여 분석에 투입함으로써 그 논의의 심도를 더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손자녀를 돌보는 조부모가 그렇지 않은 조부모에 비해 노후에 자신의 성인 자녀와의 동거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돌봄 지속 유형에 대한 결과에서도 두 시기 동안 한 번도 손자녀 돌봄을 수행하지 않은 조부모에 비해 한 시기의 일시 돌봄을 행한 조부모와 두 시기 모두 돌봄을 제공한 지속 돌봄의 조부모 모두 자녀와의 동거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 중 흥미로운 점은 지속 돌봄을 행한 조부모가 일시 돌봄을 수행한 조부모보다 자녀와의 동거를 더 선호한다는 것이다. 이는 손자녀 돌봄을 행하고 있는 조부모가 그들이 제공하는 돌봄 서비스를 이후 자신의 부양을 위한 보험적 성격의 자원으로 인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또한 공적 영역의 역할이 미흡한 한국 사회에서 가족이 그 구성원들의 욕구 충족을 위해 상호 호혜적인 관계를 통해 효율적이고 유연하게 대응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소비자의 공감반응을 끌어낼 수 있는 사회적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에 관한연구 - 친숙성과 진정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of Social Enterprises which can bring out Customer's Empathic Response -Focusing on Familiarity and Authenticity-)

  • 윤대홍;엄성원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3권5호
    • /
    • pp.131-153
    • /
    • 2014
  •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에 대한 소비자의 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사회적기업에 대한 기업 측면과 제품 측면으로 접근해보았다. 기업측면의 경우 소비자의 친숙성과 진정성 지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해 보았다. 연구결과 사회공헌활동 공성성은 친숙성과 진정성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가설 1, 가설 2). 사회공헌활동 호혜성의 경우 친숙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가설 3)으로 나타났으나 진정성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가설 4). 제품측면에 대한 친숙성과 진정성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매력성과 친숙성(가설 5), 독특성과 진정성(가설 8)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매력성과 진정성(가설 6), 독특성과 친숙성(가설7)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친숙성과 진정성 그리고 공감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친숙성의 경우 진정성(가설 9)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소비자 공감(가설 10)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진정성의 경우 소비자 공감(가설 11)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기업에 대한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해 소비자구매를 촉진하고 공감을 높여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관계를 이어갈 수 있는 통합적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의 역할을 통한 소비자의 공감을 끌어낼 수 있는 사회적기업의 마케팅 전략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 PDF

영아마사지가 유희적 모아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Infant Massage on Mother-Infant Play Interaction)

  • 최소영;김영혜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823-831
    • /
    • 2002
  • This study is attempts to clarify the effect of infant massage for the promotion of primipara's mother-infant interaction Method: The term for collecting data for experimental group ranged from April 25, 2001 to June 5, 2001. The infants for this group were sampled among normal mother-infant from one postpartum care center located in J city. The term for collecting data for control group ranged from June 10, 2001 to August 3, 2001. The infants for this group were sampled among normal mothers infant from 1 general hospital, 1 university hospital and 1 postpartum care center located in J city. The experiment was implemented giving primipara education about massage based on protocol for infant massage provided by Johnson & Johnson Korea and they received 10 days of education, 10 minutes a day (from 10 to 11 a.m) In the post test, we videotaped both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visiting their homes 4 weeks after delivery to observe mother-infant play interaction.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SAS and the homogeneity between general properties owned by both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and mother's perception scale for children was verified through -test. Mother-infant play interaction with both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was analyzed through t-test in the experiment. And analysis of mother-infant interaction points based on general properties was made using ANOVA and t-test. Result: Hypothesis that mother-infant play interaction with primipara who gave her infant a massage will be more active than that of the primipara who didn't was verified (t= -4.27, p=.0001). And the points in each item, points in each item were estimated as follows. Mother behavioral items (t=-4.96, p=.0001), infant behavioral item (t=-0.36, p=.71), mother-infant interaction reciprocity (t=-2.64, p=.01). Conclusion: An infant massage program can contribute to promoting the Mother-Infant Play Interaction positively.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인식 및 실천에 관한 연구: 중요도-실행도분석(IPA)의 적용 (A Study on Social Worker's Perception and Practice of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for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pplication of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 이남정;이동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624-635
    • /
    • 2020
  • 본 연구는 다른 장애유형에 비해 권리보장 취약성이 높은 발달장애인에 대해 다른 권리유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권리침해 가능성이 높은 자기결정권에 초점을 맞추어 이의 학문적 논의토대와 실제적 실천전략의 시사점을 얻고자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한 인식 및 실천의 실증분석을 시행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 및 강원지역 사회복지사 302명을 대상으로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 구성요소에 대한 중요도 및 실행도 인식을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중요도 및 실행도의 기술적 분석, 차이분석, 매트릭스 분석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중요도와 실행도는 긍정적 수준보다 낮은 절대적 수준으로 평가되고, 전체 평균기준 실행도는 상대적으로 보다 늦게 적용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 간의 수준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중요도와 실행도 간 불균형적 사항인 과소 실천요소로서 목표설정 및 성취, 자기관리 및 조절, 가지인식 및 지각 등이 확인되었다. 이에 인권보장의 상호성을 감안한 사회복지사와 발달장애인의 균형적 긍정성 향상을 위해 사람중심프로그램과 자기결정향상프로그램의 적용이라는 큰 기반 위에 응용행동분석, 긍정적 행동지원, 목표성취척도의 적용 하 개별화서비스계확 등 세부전략에 대해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