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스마트폰은 GPS와 가속도계를 비롯한 센서를 이용하여 인간 행동 자료를 인간의 행동을 간섭하지 않으며 비용을 절감해서 수집할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기반 설문 조사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평가하였다.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수집한 자료와 가구통행실태조사를 기본으로 구성된 전통적인 종이 설문을 이용한 자료를 비교하였다. 46명의 학생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7일간 통행 기록을 수집하였고, 같은 기간 동안 종이 설문을 수행하였다. 참여자들은 웹페이지를 통해 스마트폰으로 수집된 자신의 통행 기록을 검증하였다. 검증된 스마트폰 자료는 같은 날에 수집된 종이 설문자료와 매칭되었다. 스마트폰 기반 자료는 종이 설문자료보다 짧은 통행을 기록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통행 자료의 통행시간이 종이 자료의 통행시간보다 짧은 경향이 나타났다. 이는 기존의 종이 설문 참여자가 통행시간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는 스마트폰 기반의 통행 자료 수집 시스템을 발전시키는 데 이바지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ametropias such as myopia and hyperopia from the community based population study. Another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ametropia and nutrient intake. The study subjects was 492 residents over 20 years of age residing in Kuri City. Ametropia was tested based on re(rector error using auto referactor. Nutrient intake was estimated from the dietary survey using 24 hour recall method. As a result of data analysis, the prevalence of myopia was 57% and that of hyperopia was 11%. Such a high rate of ametropia prevalence may suggest the increasing risk of eye health in a Korean society. Nutrient intake of myopia group was 5∼15% higher than that of normal group in most of the nutrients. Whereas intake of most nutrient except calcium, retinal, fiber for the hyperopia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normal group. The result may suggest that inbalance of nutrient intake has been related with ametropia.
The purpose of this survey was to investigate the nutrient and food intake and haematology of the latter half of pregnant women in Nam Hae Do. The nutrient intake study was performed by Twenty-four hour dietary recall method. As Haematology, RBC, Hb. and Hct were measured. 1. The results of nutritional survey were, 1) The mean nutrient intakes that were below the RDA were Protein, Calorie, Calcium and Iron. 2) The mean nutrient intakes that were above the RDA were Vitamin A, Thiamin, Riboflavin, Ascorbic acid. 3) Most of calorie and other nutrients were obtained from vegetable food sources. 4) Animal protein intake was 33% of total protein intake and most of this value was obtained from fish and shell fishes. 2. The extent of malnutrition was explained in terms of the amount of calorie, protein, calcium and iron. The results were, The predicted percentage of deficiency, in case of Calorie, 53.3% of total subjects. in case of Protein, 52% of total subjects. in case of Calcium, 78.7% of total subjects. in case of Iron, 54.7% of total subjects. 3. The results of Haematology were, 1) The mean level of RBC, Hb and Hct were 3.76$\times$106cm/㎣, 10.47gm%, and 32.56% 2)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alorie intake and Hct level, protein intake and RBC level, Iron intake and MCHC level.
Cancer is a major health problem in the Arab region including Iraq. An adequate database is essential for effective cancer control strategies. Such a database may be provided through cancer registration but supportive household surveys may be useful. This article reports selected results on the feasibility of household surveys to support and validate cancer registration in Basrah governorate - southern Iraq. A large scale multi-stage cluster sample household survey was carried out in Basrah during 2013. It covered 6,999 households and involved gathering data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both incident cancer cases and cancer-related deaths among members of these households during a three-year recall period (2010-2012). The data obtained yielded an average annual incidence rate of 91 per 100,000 population (age-standardized incidence rate of 148.8 /100,000) and cancer specific mortality rate of 68 per 100,000 population (age-standardized mortality rate of 126.3/100,000). The results showed an overall pattern of cancer similar to that reported according to cancer registration but the household survey results were consiste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ancer registration by a margin of approximately 20- 30% with respect to incident cancer and about 70 % with respect to cancer-specific mortality. Household surveys on cancer, while costly and time consuming, are a very useful additional source of information on cancer at the population level. They can be performed for specific purposes with effective resource mobiliz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food and nutrient consumption patterns was studied in 7,370 Koreans aged 20 years and older in the 1995 Korean Health and Nutrition Surve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apid economic growth on food and nutrient consumption for Korean adults in the last 30 years.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individual's educational level and occupation were chosen as variables of socio-economic status for individuals. A one day 24 hour recall method was used for the dietary survey. One way analysis of varience was adopted to test tole association between socio-economic variables and food and nutrient consumption patterns. Individuals who had a high socio-economic status had significantly higher daily intake of most of the nutrients including calcium, vitamin A, vitamin B$_2$which reached above the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RDA) and a higher percentage energy consumption from fat. In addition, individual who belonged to a low socio-economic status consumed less animal foods, including meat, egg, milk and consumed low proportion of energy from fat. The results suggest that in spite of rapid economic growth during the last 30 years in Korea, individuals who belonged to low sorio-economic status categories are still nutritionally vulnerable. Among the sorio-economic variables, income and education except occupation were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food and nutrient consumption of Koreans. Therefore, nutrition policy should focus on influencing the dietary patterns of lower social class individuals to improve the health status of the population as a whol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nutrient intake and diet quality of college students in Seoul. Dietary survery data were obtained by 24-hour recall method from 774 students, 553 males and 191 females. Mean daily intake of energy was 2,480kcal with 56.4% of energy intake from carbohydrate, 14.6% from protein, and 25.5% from fat. Percentage of fat was higher than mean values of National Nutrition Survey(NNS), adults in rural area or younger students in previous studies. Mean daily intakes of calcium and vitamin A did not meet RDA levels in both sexes and intake of iron in females was insufficient to meet RDA level. The percentage of animal food to total food intake was 25% and consumption of meat, beverage and milk group was higher than those of National Nutrition Survey(NNS). When the consumption of 5 major food groups(grain, meat, milk, fruit, vegetable) were evaluated, 22% of students consumed all 5 groups and 47% consumed 4 groups, which show more balanced food group intake than adults in rural area. Food groups which were omitted frequently were milk and fruit. These results show that college students in Seoul consume better diet than subjects of National Nutrition Survey(NNS) or adults in rural area. However, high fat intake, low calcium and vitamin A intake and low iron level in women were observed. Majority(78%) of students had at least one food group omitted in their diet. Appropriate nutrition education may help to improve the quality of diet in these studen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sleep duration on food and nutrient intake among adult Koreans. The effects of sleep duration on dietary patterns was studied in 7,370 Korean adults, aged 20 and older, who participated in the 1998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in which the 24 hour recall method was used to estimate dietary intake. Sleep duration data from individual subject were collected by interview as a part of a behavior survey. Analysis of variance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were used to test the differences in food and nutrition intake and sleep duration. Food intakes of the male subjec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ree groups.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bserved in intakes of beverage and alcohol among female subjects among the three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bserved for nutrient intake by sleep duration for either gender. Unlike the observation from European and American studies, food and nutrient intake of Korean subjects, in general, were not greatly affected by duration of sleep. This result may suggest that dietary habits of Koreans, as affected by sleep, are quite different from those of Europeans & Americans.
BACKGROUND/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dietary omega-3 fatty acid intake and depression in postmenopausal women using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 SUBJECTS/METHODS: The KNHANES is a cross-sectional nationwide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ietary data, including omega-3 fatty acids, were assessed using the 24-h recall method. Depression was evaluated using a survey questionnaire. The association between dietary omega-3 fatty acids and depression was evaluated using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Depression, according to the dietary omega-3 fatty acid intake, was expressed as the odds ratio (OR) with a 95% confidence interval (CI). A total of 4,150 postmenopausal women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RESULTS: In the fully-adjusted model, the group with the highest dietary omega-3 fatty acid intake significantly showed lower prevalence of depression than the group with the lowest intake (OR, 0.52; 95% CI, 0.33-0.83); a significant linear trend was detected (P for trend = 0.04). According to the dose-response analysis using cubic restricted spline regression, this association was linear and monotonic (P for non-linearity = 0.32). CONCLUSIONS: In this study, the dietary omega-3 fatty acid intake in postmenopausal women was inversely proportional to depression in a dose-response manner. Large cohort studies are needed to verify the causality between omega-3 fatty acids and depression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본 연구는 시간일지 방식의 생활시간조사와 서베이문항 방식의 노동패널 자료를 대상으로 하여 탐색적 수준에서 측정방식의 차이가 성별 가사노동시간 추정에서 어떤 차이를 낳는지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의 경우 서베이문항 방식에서 남성은 자신의 가사노동시간을 과다보고하고 여성은 과소보고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보고차이에 관한 기존연구에 비추어 볼 때 남성의 과다보고는 일치하지만 여성의 과소보고는 매우 독특하다. 하위집단별 가사노동시간 분포를 살펴보면, 남성의 경우 사별/이혼자 집단에서 과다보고의 경향이 뚜렷이 나타난 반면 여성의 경우 유급노동, 돌봄 및 가사노동 부담이 큰 집단에서 과소보고의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보고차이는 가사노동과 관련된 젠더화된 사회규범과 시간부족 인식에 비추어 설명될 수 있었다. 기존연구에서는 과소보고에 대한 이론이 제대로 발달되지 않았는데, 본 연구는 시간부족 인식이 여성의 과소보고를 설명하는 중요한 이론적 가설이 될 수 있음을 제언하였다.
Objectives: The aim of the study was to assess the intake of dietary cholesterol and its major food sources i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Methods: A total of 20,671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who had 24-hour recall data from the KNHANES VI (2013-2015) was included in this study. Mean cholesterol intake and the prevalence of subjects with cholesterol intake over the Intake Goal of the Dietary Reference Intakes (DRIs) for Koreans were analyzed. Intakes of cholesterol by food groups or each food were calculated to find out the major food sources for cholesterol intake in Koreans. Results: The mean dietary cholesterol intake was 261.3 mg, which was higher in men (303.5 mg) compared to women (219.1 mg). Dietary cholesterol intake and the prevalence of subjects with cholesterol intake over the Intake Goal of DRIs were the highest in the 19-29 year old group. The eggs was the first major food group source for cholesterol intake in all age groups. Major food sources for cholesterol intake among Korean were egg, chicken, pork, squid and beef, which contributed 66.9% to total cholesterol intake. Conclusions: Although the mean dietary cholesterol intake was under 300 mg, the prevalence of subjects with cholesterol intake over the Intake Goal of DRIs was about 30% in adults. Because both the mean intake and the prevalence of subjects with cholesterol intake over the Intake Goal of DRIs were higher in young adult groups, the dietary cholesterol intake was expected to be increased.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