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eality TV

Search Result 147,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Study on the TV Audition Show's Distortion of Reality with Sartre's Existentialism which shows Media Subjectivity and Ethicality (오디션 프로그램의 리얼리티 왜곡이 보여주는 미디어의 주관성과 윤리성)

  • Tu, Lingyao
    • Trans-
    • /
    • v.11
    • /
    • pp.1-35
    • /
    • 2021
  • This study looks to explore situations in which the authenticity of reality audition programs is inherently distorted by subjective intervention through a theoretical model of existentialism and case study of how it was practiced in an actual program. In detail, we examine the impact on the essence of human subjective intervention and the behavior by free will and use Sartre's existentialism a theoretical model and a Korean audition program series as the case for the study. We believe that the producers intended to narrow the audiences choices by creating a favorable environments for certain participants (trainees as they were called) to be recognized and liked by the voting audiences. We look to "subjectivity," the first principle of existentialism, people determine their essence through free will, and all actions in the production process are aimed at achieving that goal, which keeps the position balance of final debut group by creating the character image and personality through character making, storytelling and increasing or decrease the assigned air-time of each individuals.

Genre Oriented Characteristics of Virtual Reality Programs (가상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장르적 특성)

  • Hong, Sook-Ye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1
    • /
    • pp.202-212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t clarifying what the genre oriented characteristics of virtual reality programs are. For this, the tests of 'We Are Married' being broadcasted in 'Sunday, Sunday Night' Part 1 of MBC from episode 1 to 8. As a result of analysis, this program was mixing together virtuality and reality by placing the image of virtual couple's life and presentness of entertainers existing in reality appearing at the studio. Also, it was forming sympathy with users as it satisfies fantasy and sense of reality toward marriage by the entertainer couples showing love and conflict that may happen between real couples after setting various categories of couple types. Also, through the device for the public space to confess private feelings through television, it shows the boundary between public domain and private domain breaking up. Along with this, it has implemented amusement characteristics by inspiring enjoyment of users by a substituted satisfaction through various forms of impressions presented to spouse such as materials, effort, gesture or language, etc. Accordingly, the virtual reality program shows authenticity, fiction and amusement by being mixed together and we can see that such genre oriented characteristics act as important strategy appealing to users based on breakup of boundary and genre oriented ambiguity.

Interactive Broadcasting Service using Smart-phone with Emotional Recognition (감정인식 기능의 스마트폰을 통한 양방향 방송서비스)

  • Cho, Myeon-Gyun
    • Journal of Satellit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 /
    • v.8 no.4
    • /
    • pp.117-123
    • /
    • 2013
  • The development of the latest emotional recognition and multimedia technology has changed the traditional broadcasting system. The previous broadcasting system, which was operated by the terrestrial broadcasters, is now transformed to the viewer-centered and bidirectional broadcasting through the convergence of internet, mobile and smart TV. In this paper, smart-phone application for estimating human emotion(sadness, anger, depression) has been developed and emerged with smart TV, thereby we can present broadcasting service for enhancing the sense of common humanity among people of same group. If there is friend in the depression, we can bring comfort to him by inviting one for TV program what I watch and having a honest talk with facial avatar or emoticon. The proposed emotional broadcasting service inter-working with smart-phone application can give feeling of belonging and happiness to the people suffering from the blues, and it can prevent him from attempting suicide. In addition, smart-phone based emotional broadcasting service can be expended to program recommendation service customized to user's emotion, emotional LED lighting service to maximize the sense of reality and home shopping service taking advantage of the mood of customer.

A Study on the Visualization of Data in Virtual Space utilizing Realistic Exhibition Contents - Focusing on the application of the Tamed Cloud clustering algorithm in 70mK project (전시콘텐츠에 구현된 가상공간 내 데이터 시각화 연구 - 70mK의 Tamed Cloud 군집형 알고리즘 적용을 중심으로)

  • Sungmin Kang;Daniel H. Byun
    • Trans-
    • /
    • v.15
    • /
    • pp.1-24
    • /
    • 2023
  • This study examines the application of data visualization technology using a clustered data algorithm called 'Tamed Cloud' to virtual spaces and seeks the possibility of implementing it in various types of realistic exhibition contents. To this end, we first attempt to classify virtual reality (VR) exhibition contents starting with COVID-19, and summarize technologies applied. Also, various realistic exhibition contents provide visitors with an opportunity to appreciate the artworks through online and virtual exhibitions. In this trend,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ies have been introduced, allowing visitors to enjoy the artwork more immersively, and the possibility of realistic exhibition content with interaction between the artwork and the user is also being demonstrated. Based on this background,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y of exhibition contents by dividing them before and after the advent of virtual reality technology, and examines how the clustered algorithm technology called Tamed Cloud was applied to virtual space and implemented as a realistic exhibition content in <70mK> project. By synthesizing all of this, we propose a convergence method of data visualization, virtual reality, and realistic content, and propose it as a new alternative to realistic exhibition content in virtual space.

Implementation of Application Server for User's Targeting Augmented Broadcasting Service (이용자 타깃팅 증강방송 서비스를 위한 응용서버 구현)

  • Kim, Soonchoul;Choi, Bumsuck;Jeong, Youngho;Hong, Jin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4.06a
    • /
    • pp.194-196
    • /
    • 2014
  • 증강방송(Augmented Broadcasting) 서비스 기술은 모바일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서비스를 TV 방송 환경에 접목하여 스마트미디어 시대의 새로운 방송통신 융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기술로서, TV 시청자에게 기존 방송프로그램을 시청함에 있어서 좀 더 현실감과 몰입감을 높이기 위한 환경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증강방송 시스템을 기반으로 이용자가 상대방에게 작성한 타깃팅 메시지를 수신자가 실시간 방송 시청 중에 소비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응용 서비스 기술에 대한 소개와 관련 응용 서버의 설계 및 구현에 관해 설명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e-Multiplexer for Augmented Broadcasting System based on DTV (DTV 기반 증강방송 재다중화기 설계 및 구현)

  • Kim, Soonchoul;Jeong, Youngho;Hong, Jin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3.06a
    • /
    • pp.93-96
    • /
    • 2013
  • 증강방송(Augmented Broadcasting)은 최근 스마트 기기의 보급으로 인해 대중적으로 알려진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서비스를 스마트 TV 와 같은 하이브리드 방송 환경에 접목하여, 시청자에게 기존에 느낄 수 없었던 TV 시청에 대한 몰입감과 콘텐츠 조작의 양방향성을 제공하고자 하는 새로운 방송통신 융합 서비스 개념이다. 증강방송에 대한 개념과 PC 기반의 테스트베드 시스템은 이미 다수 발표되었으며,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지상파 방송 환경에서의 증강방송 시스템 실현을 위해 DTV 기반의 증강방송 시그널링과 콘텐츠 동기화 방안을 적용한 재다중화기(Re-multiplexer)의 설계 및 구현에 관해 설명한다.

  • PDF

Success Factors of the Chinese Reality TV Show (중국 리얼리티 TV 프로그램의 성공 요인에 관한 조사연구)

  • Liu, lixun;Lee, d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75-376
    • /
    • 2015
  • 최근 들어 스타와 그의 자녀가 함께 출연하는 대형 야외 리얼리티 프로그램인 <아빠 어디가>가 중국에서 높은 시청률을 내고 있다. 2013년 첫 방송이후 많은 팬들의 사랑을 받으며, 대중들이 가장 좋아하는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판 <아빠 어디가>의 사례를 중심으로 프로그램의 내용 및 현황을 소개하고 이를 사회현실, 경제발전, 문화 창의성 및 프로그램 자체의 구성적 특징을 토대로 그 성공요인에 대해 조사하였다. <아빠 어디가>의 성공요인 분석은 중국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현지화와 창의성에 참고할 수 있도록 기초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이러한 프로그램의 발전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Implementation of VR User Environment for UHD TV (UHD 가상현실 사용자 환경 구현)

  • Yang, Ki-Sun;Lee, Yong-Gun;Suh, Young-Woo;Kim, Cha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7.11a
    • /
    • pp.8-10
    • /
    • 2017
  • 지상파 UHD 방송은 시청자에게 기존 HD 방송화면보다 4배 더 선명한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며, 광대역 통신망과 결합한 홈포탈(Home Portal) 서비스를 통해서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지상파 방송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상파 UHD TV 방송과 연계된 360도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부가서비스 시스템과 이를 효과적으로 시청하기 위한 사용자환경을 제안한다. 방송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를 통해 시청자는 VR 부가서비스임을 확인하고 스마트 단말기 또는 HMD(Head Mount Display) 등을 이용하여 마치 현장에 있는 듯한 체험을 즐길 수 있다. 제안한 부가서비스는 앱 형태로 스마트 단말기에 설치하여 실행하며 지상파 UHD TV의 ESG 정보로부터 프로그램 편성과 VR 지원여부를 확인한다. 이를 통해, 실시간 방송 뿐 아니라 VOD 형태로 제공되는 다양한 비디오 및 오디오 콘텐츠를 극장에서 보는 것과 같은 빅스크린 모드, 360도 VR 모드, 오디오 청취모드 등 다양한 시청환경에서 감상할 수 있다. 제안한 사용자 환경은 게임엔진을 기반으로 개발되어 가상의 시청 공간에서 장소를 이동하며 영상, 음향 등 미디어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다. 전용컨트롤러를 이용하면 다양한 인터액티브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운용하여 감상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VR 기기 제어 모드도 지원하여 HMD나 일반 스마트 단말기 어느 것을 이용해서도 용이하게 사용자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제안된 시스템의 시제품은 IBC 2017 및 평창 ICT 체험관을 통해 발표되었다.

  • PDF

Interactive Super Multi-view Content Technology (인터랙티브 초다시점 콘텐츠 제작 기술)

  • Cheong, J.S.;Ghyme, S.;Heo, G.S.;Jeong, I.K.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2 no.5
    • /
    • pp.39-48
    • /
    • 2017
  • Since the world's first 3D commercial film with red-blue glasses was introduced in 1922, remarkable progress has been made in the field of 3D video. 3D video content gained enormous popularity with the movie "Avatar," which greatly increased the sale of 3D TVs. This momentum has weakened owing to lack of 3D content. However, the recent trend of virtual reality (VR) and augmented reality (AR) made 360 VR video and 3D games using a head mounted display wide spread. All these experiences mentioned above require wearing glasses to enjoy 3D content. Super multi-view content technology, on the other hand, enables viewers to enjoy 3D content without glasses on a super multi-view display. In this article, we introduce the technologies used to make super multi-view content, interact with it, and author content, which are developed by ETRI.

A Real-time Virtual Screen System (실시간 가상스크린 시스템)

  • 박성춘;남승진;오주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1.11b
    • /
    • pp.51-56
    • /
    • 2001
  • 최근에 TV 방송에서 가상스튜디오나 가상캐릭터와 같은 가상현실(VR:Vinual Reality) 기술이 자주 사용되고 있으며, 증강현실(Ah: Augmented Reality) 기술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증강현실 기술을 방송에 응용한 가상스크린 시스템에 대해 소개한다. 가상스크린 시스템은 움직이는 색상패턴 패널을 추적하여 실시간으로 그 위에 동영상을 합성하는 증강 영상 시스템이다. KBS 기술연구소에서는 가상스크린 시스템을 개발하고 'K-비전'이라 이름지었다. 이 시스템은 사용자가 들고 움직이는 패널에 동영상이나 그래픽 영상 등을 보여줄 수 있는데, 보여지는 모든 영상은 카메라의 움직임과 패널의 움직임에 따라 정확하게 입혀진다. 패널 추적을 위하여 블럽분석(blob analysis)이나 특징추적(feature tracking)과 같은 영상처리 기술을 이용한다. K-비전은 모든 타입의 카메라와 사용 가능하며, 특별한 부가장치가 필요하지 않다. 센서를 부착하지 않아도 되고,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과정 또한 필요하지 않다. K-비전은 선거개표방송, 다큐멘터리, 오락 프로그램 등 생방송 프로그램에서 활용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