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l Estate Development Financing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32초

부동산 개발사업 평가기준 및 지표 개발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for Real Estate Development Projects)

  • 김성일;배유진;장철기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86-96
    • /
    • 2015
  • 2000년대 PF(Project Financing)의 적극 활용을 통해 부동산개발 및 PF 시장이 급성장하였지만, 이후 세계금융위기의 여파로 부동산 경기 침체로 인해 상당수의 개발사업이 정상적으로 추진되지 못하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철저한 사업성 분석 없이 무리하게 사업을 추진한 것이 근본적인 원인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동산개발사업의 무분별한 추진을 억제하고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하도록 기존 부동산개발사업 평가체계의 문제점을 짚어보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부동산개발사업의 평가항목 및 평가기준 등을 평가수요 및 사업유형 등 사업의 성격에 맞게 적용할 수 있는 전반적인 평가체계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부동산 평가체계 및 운영방안을 통해 부동산 평가체계를 제도화하여 표준화함으로써, 보다 일관성 있는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아울러 평가자료의 통일적 축적이 가능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1920년대 근대적 디벨로퍼의 등장과 그 배경 (The Advent of Korean Developers during the 1920s)

  • 구경하;김경민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675-687
    • /
    • 2014
  • 일제하 경성부의 근대식 한옥 개발은 조선인 디벨로퍼의 주도로 1920년대에 본격화되었다. 이들이 등장한 배경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인의 이주와 조선인의 이농으로 인구가 급증했다. 특히 일본인의 근거지가 청계천 이북으로 확장되면서, 지가가 상승하고 기존 필지를 분할하는 압축적인 개발이 나타났다. 둘째, 식민지 당국의 주거대책 부재로, 조선인의 주택난이 극심하였다. 셋째, 조선인 건설업자들은 토목공사 입찰에서 배제되어 조선인 대상 주택을 주로 건설하였다. 정세권 선생의 건양사와 같은 근대적 디벨로퍼들은 토지 매입, 분필, 주택 설계와 개발, 분양 등 근대적 부동산 개발 방식을 통해 조선인에게 근대식 한옥을 공급했다. 이들의 활동으로 1920~30년대 경성부에 10~40평형대의 근대식 한옥 단지가 형성되었다.

  • PDF

지역개발사업을 위한 개발금융 활성화 방안 (Alternatives for Activating Development Finance in the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 박원석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권1_2호
    • /
    • pp.63-81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우리 나라 현 개발금융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지역개발사업의 확대를 위한 개발금융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지방자치제 이후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기 지역개발사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지역개발사업의 확대를 위해서는 개발금융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그런데 현 개발금융의 실태를 보면, 개발기능이 영세하고 미분화되어 있으며, 제조업 위주의 금융작원 배분으로 제도권 금융시장에의 접근성이 낮으며, 기업금융 방식이 지배적이어서 사업금융이 발달하지 못하였으며, 자본시장의 활용이 미비한 등의 문제점이 나타난다. 이러한 맥락에서 개발금융의 활성화하기 방안으로, 격려로 부동산 지분투자펀드의 활용 방안, 둘째로 프로젝트 파이낸싱의 활용 방안, 자산담보부증권의 활용 방안, 넷째로 메자닌 캐피탈의 활용방안을 도출하였다.

  • PDF

리츠와 건설경기, 부동산경기, 주식시장과의 관계 분석 (Relation Analysis Between REITs and Construction Business, Real Estate Business, and Stock Market)

  • 이치주;이강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1권5호
    • /
    • pp.41-52
    • /
    • 2010
  • 리츠는 주식시장에 상장되어 있으면서 부동산 개발을 위한 자금조달의 성격과 부동산에 투자하는 특징도 있으므로, 주식 시장과 건설 및 부동산시장과 관계가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리츠와 주식시장, 건설 및 부동산 경기와 관계된 지표들을 시계열 분석하여, 리츠와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시계열 분석은 백터자기회귀모형과 백터오차수정모형을 사용하였으며, 다음의 세 부분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리츠와 건설 코스피 지수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건설 코스피 지수가 리츠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리츠와 건설경기 동행지수인 건축착공면적, 부동산 경기 지수인 오피스 임대지수와 주택매매가격지수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각 지표들은 서로 인과관계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지만, 리츠와 주택매매가격지수는 서로에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리츠와 건설경기 선행지수인 건축허가면적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두 지표는 서로 인과관계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지만, 건축허가면적이 리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리츠는 주식시장과 주택경기, 건설경기 선행지표인 건축허가 면적에 영향을 받지만, 건설경기 동행지표인 건축착공면적과 오피스 임대지수에는 상대적으로 영향을 작게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PF대출 분석기법을 활용한 부동산개발사업 사업성 평가 개선 연구 (A Study on the Feasibility Improvement of the Real Estate Development by Using Project Financing Analytical Method in Korea)

  • 서정진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4권2호
    • /
    • pp.209-230
    • /
    • 2014
  • 2002년 최초 도입된 한국의 부동산투자회사(이하, 리츠)는 크게 3가지 형태가 있다. 한국거래소에 상장된 각각의 리츠는 그 특성이 다르지만 모두 부동산투자회사 종목으로 분류된다. 현행 "부동산투자회사법"은 그 개별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일률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일부 리츠는 입법취지와는 달리 상장폐지되어 투자자의 투자손실을 야기하는 등 개별 리츠에 따라서는 법제도 운영이 적절하게 이뤄진다고 보기 어려운 일이 발생하였다. 본 연구는 부동산투자회사의 사업타당성 측면에서 동제도의 활발한 운용지원 방안 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부동산 개발 관련 부동산금융기법으로서 PF 평가분석시스템을 개선하여 리츠사업 타당성을 제고시킴으로써 리츠부문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을 제시한다. 리츠 관련 정책은 리츠회사 종류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지 않은 일괄적인 제도 운영으로 부동산 시장을 주도하지 못하고 시장상황에 따라 대응하는 대증처리방식으로 운용되어 왔다고 할 수 있겠다. 리츠를 활용한 부동산금융의 고도화를 통하여 건설자금의 원활한 흐름과 상장된 리츠종목에 대한 일반투자자의 적정한 투자를 위한 정책이 실현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시중부동자금의 투자흐름을 적절하게 유도하고 간접금융투자의 활성화를 위한 부동산 관련 정책에 반영하기 위한 정책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The Impact of COVID-19 Pandemic on Firm Performance: Empirical Evidence from Vietnam

  • BUI, Trung Huy;NGUYEN, Huong Thu;PHAM, Yen Nhu;NGUYEN, Trang Thu Thi;LE, Linh Thao;LE, Giang Thu Tra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7호
    • /
    • pp.101-108
    • /
    • 2022
  • The outbreak of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has caused serious impacts not only on human health but also on the economies around the world. Enterprise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every country but it is also one of the most affected sectors during the pandemic. Drawing on panel data of 131 enterprises listed on the Vietnamese stock exchange from 2016Q1 to 2021Q3,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on firm performance. Enterprises are classified into seven industries including Agriculture, Material, Industry, Real estate and Construction, Energy, Consumer, and Service. The paper also analyzes the variation of the effects among companies, focusing on differences in revenue and capital structure. The results show that the COVID-19 pandemic negatively affects business performance. In addition, the empirical findings indicate that revenue and debt decreasing can cause deterioration of firm performance during the pandemic period. The decrease in revenue has a direct impact on firm profitability. The reduction of debt levels affects the corporate leverage leading to adverse effects on firm performance. The negative effect is more pronounced for companies in some specific sectors including industry, real estate, construction, consumption, and services.

사회주의 국가와의 협력적 개발: 싱가포르 사례와 남북경협에 주는 시사점 (Cooperative Development with Socialist Countries: Singapore Story and Implications for South-North Korea Economic Cooperation)

  • 이관옥
    • 토지주택연구
    • /
    • 제10권4호
    • /
    • pp.31-39
    • /
    • 2019
  • Singapore, a city state with less than 6 million population, has continued successful cooperative development and become one of the most successful Asian countries in exporting expertise in urban and real estate development.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Singapore's cooperative development with socialist countries including China and Vietnam from Singapore's perspective as an investor. For cooperative development projects in China, Singapore adopted Singapore-style physical urban planning concepts as well as its own institutional and administrative systems. Singapore-Vietnam cooperative development managed to acquire profitable land and diversify its portfolio in terms of industry types and rents. This made Singapore's industrial parks more competitive than other parks in Vietnam. By showcasing successful project implementation in China and Vietnam, Singapore has proved that its model for industrial park and urban development is transferable. Singapore's success in cooperative development with socialist countries provides important implications for future cooperative development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For example, phased development approaches starting from individual industrial parks expanding to mixed-use townships will be very useful to realize sustainable urban planning in North Korea and reduce financial risks. Singapore dominated development opportunities in advance when socialist countries opened their economy. To pattern ourselves after Singapore, we should not only improve our relationship with North Korea but also prepare with practical components such as financing and organizational structure.

건설 프로젝트 파이낸스(PF) 사업의 성공영향요인(KSF) 분석을 통한 사업성과 예측 모델 (Predicting Project Performance by Analyzing Key Success Factors on Project Fiancing(PF) Development)

  • 이동건;차희성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5권5호
    • /
    • pp.127-137
    • /
    • 2014
  • 프로젝트 파이낸싱(PF) 개발사업은 다수의 차명자와 대규모의 금융조달을 통하여 공사를 수행함으로 국가경제개발과 건축 산업의 발전에 큰 영향을 끼치는 프로젝트의 형태이다. 그러나 국내 PF 개발사업의 경우 프로젝트에 대한 충분한 검토보다는 개발이익의 극대화의 측면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함으로 인하여 현재 글로벌 금융위기와 부동산 침체에 의하여 사업의 중단이 속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F사업의 리스크 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요인분석을 통하여 PF사업의 성공영향요인을 도출하였고, 이를 Fuzzy-AHP기법을 활용하여 영향요인에 대한 정량화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PF 성공영향요인의 실제 사례 평가를 통하여 PF성공평가 점수와 프로젝트의 수익률에 대한 상관관계를 도출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PF사업의 평가를 통하여 프로젝트 의사결정자의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상호저축은행 부실PF사업장 정상화 방안 (Research on the Normalization Schemes for Insolvent Development Site on Mutual Savings Banks)

  • 신종칠;백민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95-204
    • /
    • 2015
  • 본 연구는 상호저축은행의 부실PF사업장의 정상화 사례분석을 통한 문제점 도출 및 개선방안 제시에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성과를 도출하였다. 먼저, 캠코를 통한 상호저축은행의 부실PF사업장 정상화 방안은 당초 계획과 달리 활발하게 정상화되지 못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관련주체들의 복잡한 이해관계와 더불어 급격하게 위축된 부동산시장의 상황으로 인한 것이지만, 캠코가 주도적으로 정상화사업을 추진할 수 없었던 것은 관련 규정과 근거의 미비, 공기업의 미온적인 사업추진 등이 부수적인 원인으로 판단되었다. 향후 현재까지도 남아 있는 다수의 부실PF사업장의 정상화를 위하여 이와 관련한 제도적인 적극적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으로 캠코가 우선적으로 정상화를 도모한 32개 부실PF사업장의 관련 자료들을 분석하여 입찰을 통하여 정상화가 가능할 것으로 인정받은 사업장과 타 사업장들을 비교하였다. 이 과정에서 상관분석, 로짓분석 등을 시행하였으나, 표본 사례수가 적은 이유 등으로 상관분석에서의 사업장이 위치한 지역 변수만이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부실PF사업장 정상화 과정을 통하여 도출된 문제점과 관련하여 캠코의 PFV에 대한 직접출자, PF채권 유동화 방식의 다양화, 개발리츠의 활성화를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CONSTRUCTION FINANCING AND INDUSTRY DEVELOPMENT

  • Yat-Hung, Chiang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962-969
    • /
    • 2009
  • The market of building construction has been competitive in Hong Kong, perhaps as anywhere else in the world. The barrier to entry is low because there are relatively low requirements on the three factors of production - technology, manpower and finance. The prevailing building technology is traditional and labour-intensive. There is also not much need of capital because clients' periodic payments have been the main source of project finance. Further, capitalizing on trade sub-contracting, contractors have been able to keep their direct labour-force small and to transfer much of their business risk to the sub-contractors. Based on interviews to solicit the perception of a sample of building contractors on the particular issues of construction finance, we present the findings in this paper and discuss the various implications. We believe that the current practice of construction financing is both the cause and effect of the competition within, and the competitiveness of, the building construction sector in Hong Kong. We conclude that the building construction sector is "locked or stuck" in this "equilibrium" of traditional technology, reliance on clients' finance and exploitation of sub-contracting. In this "equilibrium" state, there is hardly any motivation for contractors to engage themselves in product or process innovation. Consequently, any talk of industry reform or innovation could only remain just that. We believe that this problem is not unique in Hong Kong. The building construction sector in many other developed and developing economies is posed with similar if not the same problems and constraints. We conclude that there has to be some "external forces" to bring this "equilibrium" state to a higher level "equilibrium" one where higher value-added building construction services are supplied and demanded. This is a state where building contractors possessing innovative technology, better financial and manpower resources could thrive to build better buildings with innovative building methods and process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