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ding of Student

검색결과 206건 처리시간 0.025초

중. 고등학교에 있어서 독서교육 (Reading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 변우열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14권
    • /
    • pp.181-215
    • /
    • 1987
  • Reading education is very important in order to promote the refinement, cultivate the emotion and complete the character to the secondary school students. This thesis deals with the establishment of reading education as a formal course in secondary schools, responsibility of teaching and problems related to recommended reading lists. Reading education must separate from the national language education because of literature centered education in reading education. If reading education was separated from the national language education, students can a n.0, pproach to the other cultural boundary besides other own and exchange their information and ideas. So, reading education must be included to the elective subjects in a independent course or become a compulsory subject in secondary school curriculum. The teacher of reading education must become the teacher librarian who has a firm faith and an intellectual accomplishment. But, teacher-librarian has much disadvantages such as the problems of promotion, the division of qualification between elementary school and secondary school, and a short-term training courses for teacher-librarian. Hence, theses problems music be solved in national administrative level. Recommended reading lists must be provided to the student in order to prevent confusion of the sense of value, to estimate their own reading ability by themselves and to establish life long reading plan. Therefore, both Korean Library Association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should re-examine and develop recommended reading lists. Finally, problems of a juvenile delinquency in the post industrial society have to be solved through reading education. To solve the juvenile delinquency problems, adolescents should cultivate their moral character and possesses abundant knowledge through reading education. Then, young adults will grow as sound citizen in the society.

  • PDF

미국 학교도서관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연구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Impact of School Library Programs on Student Achievement in the USA)

  • 권은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81-414
    • /
    • 2006
  • 본 연구는 미국의 학교도서관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 콜로라도 연구 I(l993), II (2000), 텍사스 연구 (2001), 미주리 연구 (2003), 일리노이 연구 (2005)를 분석하였다. 다섯 개 연구의 조사방법과 연구내용을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다섯 연구는 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도서관, 학교 그리고 지역 사회 변수를 도출하기 위하여 공통적으로 상관관계분석,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모든 연구의 일관된 결론은 도서관 발전수준-직원, 장서, 예산-이 높을수록, 사서교사의 전문적 활동이 활발할수록, 그리고 정보기술의 사용이 활성화되어 있을수록 학생들의 성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아동들의 리터러시 향상과 학교도서관 독서 프로그램과 관련하여 NCLB 법에 관해서도 검토하였다.

  • PDF

독서 동기유발에 있어서 학년별, 성별 그리고 출생순서에 따른 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Differences of the Reading Motivation Based on Grade Level, Gender, and Birth Order)

  • 최연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73-97
    • /
    • 2006
  • 독서 동기유발의 정도는 학생들의 나이, 성별, 관심 및 적성에 따라 각각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각 학생들이 독서 동기유발의 여러 가지 요인 중 어떤 요인에 더 영향을 받는지를 이해하는 것은 학생들을 평생 독서가로 이끄는 역할을 하는 사서교사에게 가장 필수적인 척도가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년별 성별. 그리고 출생순서별로 독서 동기유발에 차이점이 있는지를 살피고 어떤 요인으로 학생들의 독서 흥미유발을 시도할 것인가를 조사하기 위해서 질문지법을 사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질문지는 독서 동기를 유발하는 요소를 6가지로 범주화하여 25개 항목으로 구성하였으며. 278명(2학년 142명 5학년 136명/ 140명의 남학생. 138명의 여학생/ 119명의 첫째, 그리고 159명의 둘째 이상으로 태어난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2학년과 5학년간에는 독서 동기유발의 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남학생과 여학생 그리고 첫 자녀와 기타 출생순서의 자녀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의 끝 부분에는 학생 개개인 또는 그룹별을 위한 독서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실제적인 방안과 활용법을 제시하였다.

독서 대중화 운동 연구 - 1960년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Reading Popularization Movement : Focus in 1960's)

  • 윤금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71-294
    • /
    • 2007
  • 이 연구는 1960년대 독서 대중화 운동과 독서 경향을 조명하려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시기는 공교육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서 교양으로서의 '독서'에 대한 학문적이며 정책적인 관심이 고조되었던 시기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1960년대 독서 및 독서 교육의 제반 현상들을 주로 신문 자료를 토대로 기술함으로, 일종의 '독서 사회'의 형성 과정을 사회학적인 측면에서 살폈다. 구체적인 연구 내용을 제시하면 첫째, 1960년대의 독서 경향으로써 1) 일반 독서 경향 2) 학생 독서 실태를 둘째, 독서 대중화 운동으로서 1) 도서관의 독서 운동 2) 마을문고와 독서 운동을 등으로 대별하여 그 양상을 고찰했다.

  • PDF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읽기자료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of the Reading Material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 강석진;석종임;고한중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2권3호
    • /
    • pp.315-326
    • /
    • 2013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of the reading materials in science textbooks. Participants were 181 teachers from 23 elementary schools who were teaching science and 643 third- to sixth-grade students from 12 elementary schools. A questionnaire for teachers consisted of 18 items and a questionnaire for students consisted of 11 items about their perceptions of the reading materials in science textbooks. Nine to twelve items, according to grades, examining the actual uses of each reading material in science textbooks were also included to both questionnair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eachers have positive perceptions about reading materials and frequently use them in case of needs for supplement and/or enrichment of science learning. Novice teachers were found to have less positive perceptions about reading materials than expert teachers. Over 70 percent of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read all reading materials. Fifth- and sixth-grade students were tended to have less positive perceptions about reading materials than third-grade students. Finally, students tended to have more positive perceptions about reading materials than their teachers.

학생 독서능력에 대한 독서환경, 독서경험, 독서교육의 영향관계에 관한 연구 -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ctors that Affect Students' Reading Ability - focused on Jeollabuk-do)

  • 김성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51-71
    • /
    • 2014
  • 이 연구는 전라북도 학생 1,285명의 독서능력, 독서환경, 독서경험, 독서교육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해 현재의 독서수준을 진단하고, 종속변수인 학생의 독서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나머지 3변수 사이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여 학생 독서능력의 신장방안을 모색하였다. 통계분석 결과를 통해 도출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전반적인 독서수준 중에서 독서경험 즉, 독서량과 독서시간의 수준은 다른 변수에 비해 상당부분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은 중 고등학생에 비해 보다 높은 수준의 독서생활을 영위하고 있지만 학생의 학령이 높아짐에 따라 전반적인 독서수준은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다. 셋째, 인과관계 분석에서 독서환경은 독서교육에, 독서교육은 독서경험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학생의 독서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는 독서교육 보다 독서경험의 영향력이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통계분석을 통해 학생의 독서능력 신장을 위해 독서경험 확대와 독서교육의 체계화가 중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내용과 형식 스키마가 독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ntent and formal schema on reading comprehension)

  • 연준흠
    • 영어어문교육
    • /
    • 제3호
    • /
    • pp.95-122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ntent and formal schema on reading comprehension. Five hundred fiftynine subjects from high school were assigned to one of the following levels and treatment conditions : (1) Higher level & Schema Activation, (2) Higher level & Non-schema Activation, (3) Lower level & Schema Activation, and (4) Lower level & Non-schema Activation. To evaluate the effects of schema activation.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 one was related to the content schema and the other to the formal schema. To evaluate the effects of content schema, three different types of tests were conducted : (1) cloze test, (2) guessing the meanings of nonsense words, and (3) immediate recall test. To evaluate the effects of formal schema instruction, four kinds of tests were conducted : (1) sorting the sentences according to the importance, (2) identifying the signal words, (3) immediate recall test, and (4) identifying the specific information. For content schema condition, results indicated that the subjects given the titles or pictures before reading in "Content Schema Activation" treatment had better grades than those of the other treatment in all types of tests. regardless of their levels. Schema activation helped the subjects to increase the cognitive predictability of missing words and to participate in the tasks more actively with risk-taking. And it was also shown that good readers tend to process the words meaningfully, while poor readers tend to process the words phonetically or morphologically. Formal schema activation through teaching the text organization also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ree types of tests: sorting the sentences according to the importance, identifying the signal words, and immediate recall test, but not on identifying the specific information. The implications from this study can be briefly noted as follows : (l) In teaching reading, the student's background knowledge should be activated as a pre-reading activity. (2) In reading, it is more important to emphasize the student's schema than the features of the text. (3) Various educational interventions should be introduced, especially for the lower level students. (4) Teaching text structures can be a powerful method for the top-down processing strategy.

  • PDF

독서역할모델 및 독서유효성이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Reading Role Model, Reading Effectiveness on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

  • 정대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139-160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독서역할모델(부모, 교사, 친구)과 독서유효성(독서지속의지, 독서몰입, 독서만족)이 중학생의 학업성취(국어성적, 내신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국어성적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독서역할모델 중 아버지(1.9%)와 어머니(3.4%)였으며, 독서유효성 요인 중에는 독서지속의지(8%)만 유일하게 영향을 미쳤다. 내신성적의 경우 독서역할모델 요인 중 어머니(3.4%)만 유일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독서유효성은 독서지속의지(10.4%), 독서몰입(4.0%), 독서만족(1.9%) 모든 요인에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독서지속의지를 제외하고는 그 영향력이 미미하였다.

초등 과학영재반과 일반 학생 및 남녀 간의 독해력과 과학탐구능력의 비교 및 상관관계 분석 (Comparative and Correlation Analysis on Reading Comprehension and Science Process Skills between the Science Gifted and General Students and by Gender)

  • 최종경;이형철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42-251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reading comprehension and science process skills between science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and to see the correlations between reading comprehension and science process skills of science gifted students by gender. The subjects were 57 science gifted students and 57 general students in 5th grade in U city.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cience gifted students had excellent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compared to the general students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gender, boys and girls of the science gifted students showed higher marks than those of the general students respectively. But for boys,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for girls,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Second, the science gifted students has excellent science process skills compared to the general students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gender, boys and girls of the science gifted students showed higher marks than those of the general students respectively. And for boys and girls,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re was low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reading comprehension and science process skills of the science gifted students. By gender, boys and girls showed low positive correlation respectively. But for boys,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for girls,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상호작용식 메트로놈(Interactive Metronome: IM) 훈련이 초등학생 저학년의 읽기 유창성에 미치는 영향: 단일사례연구 (The Effect of Interactive Metronome Training on Reading Fluency in Elementary Students: A Single Case Study)

  • 김영준;신민호;정혜원;전병진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6-35
    • /
    • 2021
  • 목적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읽기 유창성에 상호작용식 메트로놈(Interactive Metronome; IM)훈련이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초등학생 저학년 아동 3명을 대상으로 2019년 11월부터 12월까지 개별 실험 연구(singl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중 ABA디자인을 적용하였다. 총 18회기로 기초선 3회기, 중재기 12회기, 재기초선 3회기를 시행하였다. 중재는 상호작용식 메트로놈이었으며 매 회기마다 상호작용식 메트로놈의 LFA(Long Form Assessment)와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체제의 읽기검사(Basic Academic Skills Assessment: Reading; BASA: R)를 수행하였다. 또한 기초선, 추적기 때 각 세 번씩 BASA: R의 평가를 진행하였다. 결과 : 기초선과 비교하여 상호작용식 메트로놈 중재 이후 대상자의 읽기 유창성 능력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결론 : 상호작용식 메트로놈이 초등학생 저학년 아동의 읽기 유창성 능력 향상을 위한 임상적 중재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