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ding culture

검색결과 370건 처리시간 0.029초

한국의 문화발전에 대한 공공도서관의 역할 (The roles of public libraries on the cultural development of Korea)

  • 박인웅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1권
    • /
    • pp.291-323
    • /
    • 1994
  • The Result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Korean culture and public library look extremely wasted equally. Judging from this fact, I believe that it is impossible for public library can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Korean culture. (2) But, public library can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culture in the cultural environment that mental desire is prior to physical wants. This cultural environment can be built up with reading of good books. Therefore, if class to reading education and diverse reading education programs can be activated in a large portion of the nationwide public libraries and the majority of a local resident are capable of improving their creativity power, thinking power and imaginative faculty, public library can contribute to produce such cultural circumstances. (3) Quality, culture, a human and mind receive mu6 respect in Korean Society as advanced civil, democratic and industrial society in the future. The Society will be influenced by reason and rational culture will be suitable to this society. Creativity power, thinking-power, imaginative faculty, intelligence and power of information management are demanded to the greatest degree for the development of idea and new technology in the society under the control of rational culture. So, lifelong education with library use is the most fruitful and inexpensive way for the improvement of these powers.

  • PDF

공공도서관 청소년 독서프로그램의 현황과 과제 (A Study on Young Adults' Reading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 한윤옥;이연옥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27-154
    • /
    • 2008
  •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청소년 대상 독서프로그램의 현황을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공공도서관 독서프로그램의 과제와 운영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청소년대상의 독서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공공도서관 42곳으로부터 응답한 설문지분석을 통해 공공도서관 청소년 독서프로그램의 현황을 조사하고 그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공공도서관에서의 독서교육의 지향과 청소년 독서프로그램 운영 방향을 제안하였다.

중국어 읽기 수업 환경 개선을 위한 제안: 블렌디드 러닝을 중심으로 (Some Suggestions for Improving Environment of Chinese Reading Class: Focused on Blended Learing)

  • 박찬욱
    • 비교문화연구
    • /
    • 제29권
    • /
    • pp.413-45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apply Blended Learning to Chinese reading class and give some suggestions for Chinese reading class for realizing the interactive model for reading. For learner's improvement in Chinese reading level, various teaching methods need to be applied to Chinese reading class. Among teaching methods, this article tried to apply Blened Learning in terms of interaction, because Blended Learning can follow the general trend that all of people use laptop, smartphone, etc., and also can be contribution to reading as performance in foreign language learning. As a result, Blended Learning can make learner prepare class for giving online contents, and can make teacher and learner have more chances of interaction in class for improving reading competence.

도서관 확충과 독서문화 진흥을 위한 복권기금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ottery Fund Usage for Expanding Libraries and Promoting Reading Culture)

  • 최용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77-400
    • /
    • 2004
  • 2003년 기준 수익금 규모가 1조 4,004억원이나 되는, 로또복권(Lotto Lottery)의 영향으로 조성되기 시작한 복권기금(Lottery Fund)이 현재 일부 도서관 건립 및 자료 구입에 쓰여지고 있어, 이에 대한 정확한 현황과 복권기금의 성격과 내용을 분석하여, 도서관 확충 및 독서문화 진흥을 위해 기금이 확대 지원될 필요성을 모색하고, 그동안 도서관계가 재원의 부족으로 미뤄왔던 각종 현안들을 해결할 기회로 활용하며, 앞으로 복권기금이 어떻게 도서관에 활용되어야 하는지를 제안하였다.

  • PDF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음운인식 게임 활동이 유아의 읽기 능력과 읽기 흥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honological Awareness Games using an Educational Robot on Young Children's Reading Abilities and Reading Interests)

  • 이하원;조혜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911-919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음운인식 게임 활동이 만 5세 유아들의 읽기 능력과 읽기 흥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 먼저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음운인식 게임 16종을 설계한 후, 로봇이 참여하는 실험집단용 활동과 교사가 주도하는 비교집단용 활동으로 미세하게 조정하였다. 두 가지 활동은 각각 S시 소재 어린이집 2개에 재원하는 만 5세 유아 각 15명을 대상으로 6주간 16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활동 전후 각 그룹 유아들의 읽기 능력 및 읽기 흥미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용 로봇을 활용하여 음운인식 게임 활동을 진행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읽기 능력 특히, 총점, 단어의미, 탈락, 대치에서 보다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교육용 로봇을 활용하여 음운인식 게임 활동을 진행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읽기 흥미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향후 연구에서는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음운인식 게임 활동이 유아의 문식성과 즐거움의 동기에 긍정적 역할을 하는지를 연령별 모형을 수립하고 검증하여 발달적 추이를 살펴볼 계획이다.

독서문화진흥 정책에 기반한 공공도서관의 독서 프로그램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Reading Program Improvement Plan of a Public Library Based on the Reading Culture Promotion Policy)

  • 조미아;곽승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191-210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 프로그램의 국내외 우수 사례조사 조사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고, 미래형 도서관의 역할 변화에 부합하는 제3차 독서문화진흥 기본계획에 기반한 분석으로 공공도서관 독서 프로그램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선행연구를 다각도로 분석하여 도서관 프로그램의 군집화 기준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외 다양한 관종 도서관의 프로그램을 군집화 기준에 의거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도서관 프로그램의 군집화 기준 및 제3차 독서문화진흥 기본계획의 4대 전략 하의 13대 중점과제에 근거하여 특정 공공도서관 독서 프로그램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 이용자의 수요를 고려하여 참여형 독서진흥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응하여 대면 도서관 서비스를 넘어 비대면, 비접촉 도서관 서비스의 제공도 함께 고려하여 공공도서관 독서 프로그램에 대한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분석과 적용의 시도는 궁극적으로는 단위 도서관을 넘어서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서비스가 이용자의 삶에 밀착한 도서관 프로그램으로 개선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영어 학습 능력 향상을 위한 문화지도 (Teaching American Culture to Improve English Skills)

  • 강용구;김종선
    • 영어어문교육
    • /
    • 제9권2호
    • /
    • pp.71-90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mprovement of students' interest and general proficiency of English through cultural understanding. To achieve this purpose, two classes of the 2nd grade in the informational high school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class and the control class. The Grammar-Translation Method was used for the control class and a cultural learning - compare and contrast Korean culture and American culture - was taken for the experimental. After various cultural differences were studied, surveys of students' attitude and reading and listening test were take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students' interest in English was improved through learning the American culture that was related to the content of each lesson. Secondly, English reading and communicative skills were improved by learning about cultural aspect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eaching culture stimulates students' interest and motivation for learning English and helps students retain such affective attitudes. And English communicative skills were improved as well.

  • PDF

독서관련 자격증 운영 현황 분석 및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Analysis of Reading Related Qualifications and Management Plan)

  • 황금숙;김수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291-32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독서관련 자격제도를 살펴보고, 독서관련 자격증의 발급 현황과 교육과정을 면밀히 조사 분석한 결과, 278개 과정의 독서관련 자격증은 모두 민간 비공인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교육내용의 질적 제고의 노력과 체계적인 관리체계가 요구되었다. 이를 토대로 민과 관이 협력하여 독서관련 자격증의 질적 제고를 위한 운영방안을 제시하고, 독서문화진흥 정책의 참고자료로서 활용할 것을 제언하였다.

조선시대 독서론의 특성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Characters of Reading Theory in the Age of Yi Dynasty)

  • 김수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43-263
    • /
    • 2002
  • 이 논문에서는 조선시대 지식인들의 독서론에 대해 선행 연구 결과를 토대로 독서의 목적, 과정과 방법으로 요약 . 정리하여, 조선시대의 독서론의 특성을 파악하고 나아가 전통적인 독서론이 오늘날 어떻게 계승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이에 조선시대 지식인들은 수기와 치학, 즉 학문의 과정 그 자체에 독서의 목적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독서의 과정은 읽을 책의 내용과 수준에 따라 체계적인 순서를 정해 놓았으며, 또한 책을 읽는 방법은 숙독을, 책 읽는 자세는 도를 실천하는 자세로 정성을 다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독서를 득력의 수단으로 생각한 선조들의 정신은 그대로 이어받되 오늘날 독서의 영역은 책읽기에만 국한될 것이 아니라 다양한 매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넓어져야하며, 오늘날독서의 목적과 방법에 대해서는 인간의 정신적 성숙을 위해 인생의 각 발달단계에 적합한 체계적인 추천도서목록이 다각도로 개발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 PDF

자치단체의 독서진흥조례 내용분석 (A Study on Content Analysis of the Reading Promotion of Ordinance in Local Governments)

  • 홍은성;장우권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107-135
    • /
    • 2015
  • 이 연구는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의 자치법규인 독서문화진흥을 위한 조례의 제정과 시행에 대한 현황과 내용을 조사 분석한 후 조례와 규칙의 운영에 대한 효율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과 관련 조례를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1) 전국 245개 광역 및 기초자치단체가 운영 중인 독서관련 자치법규는 조례가 77건, 규칙이 7건으로 나타났다. 2) 지자체와 교육지자체의 조례와 규칙명칭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3) 조례와 규칙의 명칭에 따라 내용의 구성요소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같은 조례 규칙의 명칭을 부여하고 있음에도 서로 다른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다. 4) 현재까지 폐지된 지자체 독서관련 자치법규는 조례 10건, 훈령 2건으로 나타났다. 이에 독서문화진흥정책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면 1) 독서진흥정책 홍보를 통한 인지도를 개선해야 한다. 2) 지자체의 독서진흥의 환경을 고려한 최적의 자치법규 조례명칭을 부여해야 하며, 조례 규칙의 내용은 통일성을 가져야 한다. 3) 조례는 폐지하기에 앞서 폐지 후 나타난 문제점을 면밀히 살펴본 후, 주민들이나 전문가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한 후 대체 자치법규를 제정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