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dRc

검색결과 219건 처리시간 0.02초

토끼와 흰쥐 음경해면체 이완작용에 미치는 홍삼사포닌 분획별 효과 (Effects of Compositions of Saponin Fraction from Korean Red Ginseng in the Relaxation of Rabbit and Rat Corpus Cavernosum)

  • 최영득;박진아;최형기;남기열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3권1호
    • /
    • pp.13-20
    • /
    • 1999
  • 사포닌 함량과 PD계 사포닌과 PT계 사포닌의 조성 비율이 상이한 사포닌 분획물 TS-1, TS-2, TS-3 즉 주종 ginsenoside의 총함량$(G-Rb_1,\;-Rb_2,\;-Rc,\;-Rd,\;G-Re,\;-Rf,\;-Rg_1)$은 각각 $41\%,40\%,62\%$이고, PD계 사포닌과 PT계 사포닌의 함유 조성비율(PD/PT)이 각각 1.55, 2.25, 2.61인 시료를 6년근 홍삼으로부터 추출 제조하여, 생체외 실험으로 음경해면체 절편에 대한 이완반응과 생체내 실험으로 사포닌분획물 투여에 따른 음경 해면체내압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PHE에 의해 수축된 음경해면체 절편에 대한 이완 반응은 홍삼 사포닌은 각각 농도 의존적 이완작용을 보였으며, 음경 해면체평활근의 이완작용에 있어 각 분획물의 $ED_{50}$은 TS-1이 1.68, TS-2, 1.97, TS-3, 2.29 mg/ml서 TS-1이 가장 의의있게 낮았다. 이러한 홍삼 사포닌 분획물의 이완효과 기전은 음경 해면체평활근에 NO나 칼슘 및 칼륨 통로 등에 영향을 미쳐 복합적인 이완작용을 보이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흰쥐를 이용한 생체내 실험으로 홍삼 사포닌 투여에 따른 음경해면체내압의 변화 조사에서 각 사포닌 분획물은 농도의존적으로 해면체내압의 증가를 야기시켰다. 이들 해면체내압의 증가 정도는 TS-1이 가장 강하였고,TS-2,TS-3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홍삼의 사포닌 분획물은 음경해면체평활근의 이완작용과 내압의 증가에 영향을 미쳐 음경발기의 상승을 야기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그 효과는 그 함유 조성에 따라 차별성이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므로 금후 주요 활성성분의 구명이 요망되고 있다.

  • PDF

Ginsenoside Production and Morphological Characterization of Wild Ginseng (Panax ginseng Meyer) Mutant Lines Induced by γ-irradiation (60Co) of Adventitious Roots

  • Zhang, Jun-Ying;Bae, Tae-Woong;Boo, Kyung-Hwan;Sun, Hyeon-Jin;Song, In-Ja;Pham, Chi-Hoa;Ganesan, Markkandan;Yang, Dae-Hwa;Kang, Hong-Gyu;Ko, Suk-Min;Riu, Key-Zung;Lim, Pyung-Ok;Lee, Hyo-Yeo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5권3호
    • /
    • pp.283-293
    • /
    • 2011
  • With the purpose of improving ginsenoside content in adventitious root cultures of Korean wild ginseng (Panax ginseng Meyer), the roots were treated with different dosages of ${\gamma}$-ray (5, 10, 25, 50, 75, 100, and 200 Gy). The growth of adventitious roots was inhibited at over 100 Gy. The irradiated adventitious roots showed significant variation in the morphological parameters and crude saponin content at 50 to100 Gy. Therefore, four mutant cell lines out of the propagation of 35 cell lines treated with 50 Gy and 100 Gy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phenotypic morphology and crude saponin contents relative to the wild type control. The contents of 7 major ginsenosides ($Rg_1$, Re, $Rb_1$, $Rb_2$, Rc, Rf, and Rd) were determined for cell lines 1 and 3 from 100 Gy and lines 2 and 4 from 50 Gy treatments. Cell line 2 showed more secondary roots, longer length and superior growth rate than the root controls in flasks and bioreactors. Cell line 1 showed larger average diameter and the growth rate in the bioreactor was comparable with that of the control but greater in the flask cultured roots. Cell lines 1 and 2, especially the former, showed much more ginsenoside contents than the control in flasks and bioreactors. Therefore, we chose cell line 1 for further study of ginsenoside contents. The crude saponin content of line 1 in flask and bioreactor cultures increased by 1.4 and 1.8-fold,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control. Total contents of 7 ginsenoside types ($Rg_1$, Re, $Rb_1$, $Rb_2$, Rc, Rf, and Rd) increased by 1.8 and 2.3-fold,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control. Crude saponin and ginsenoside contents in the bioreactor culture increased by about 1.4-fold compared to that the flask culture.

인삼(人蔘)의 근(根), 엽(葉) 및 경(莖)의 사포닌 추출과정중(抽出過程中) 지용성(脂溶性) 용매류(溶媒類)의 정제효과(精製效果) (Purifying Effects of Fat-soluble Solvents in Extracting Saponins from Ginseng Root, Leaf and Stem)

  • 김석창;최강주;고성룡;주현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0권4호
    • /
    • pp.335-339
    • /
    • 1987
  • 인삼(人蔘)의 근(根) 엽(葉) 및 경(莖)에서 사포닌 추출과정중(抽出過程中) 지용성(脂溶性) 용매류(溶媒類)에 따른 콜로르필 및 색소류(色素類) 등 가시부(加視部) 흡수물질(吸收物質)의 정제효과와 사포닌의 수율(收率)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調査)하였다. 근(根)사포닌의 정제(精製)는 여러 지용성(脂溶性) 용매류(溶媒類)가 효과적이었고, 엽(葉)과 경(莖)사포닌의 정제(精製)는 chloroform과 benzene이 효과적이었다. 또한 지상부(地上部)사포닌의 경우는 ethyl acetate, ethyl ether, chloroform 및 benzene으로 1회씩 순차적(順次的)으로 정제(精製)할 경우가 단일용매만으로 4회 추출하는 편보다는 효과적이었으며 지용성(脂溶性) 용매류(溶媒類)에 따른 사포닌 수율(收率)은 거의 차이가 없었다. 한편 조사포닌 분획물 및 ginsenoside 함량을 볼때 엽(葉)에 있어서는 $18.5{\sim}19.5%$$10.8{\sim}11.4%$로서 근(根)의 $4.6{\sim}5.1%$$2.0{\sim}2.6%$나 경(莖)의 $2.2{\sim}2.5%$$0.63{\sim}0.67%$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았다 따라서 인삼엽(人蔘葉)은 사포닌 화합물(化合物)이나 $ginsenoside-Rg_1,\;-Re,\;-Rd,\;-Rc,\;-Rb_2,\;-Rf$ 등의 분리용(分離用) 원료(原料)로 매우 적합하였다.

  • PDF

열풍건조온도에 따른 수삼건조속도 및 건조수삼의 이화학적 특성 (Drying Rate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Dried Ginseng Root at Different Temperature)

  • 하대철;이종원;도재호;박채규;류기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741-746
    • /
    • 2004
  • 압출성형공정을 홍삼화 공정에 적용하기 위하여 수삼을 압출성형하려면 35% 이하로 수삼을 건조하는 전처리가 필요하다. 수삼을 건조하기 위하여 파쇄한 수삼과 뇌두부위와 미근과 세근부위를 제거하고 주근과 지근을 가진 주근수삼으로 각각 전처리하여 건조온도 80, 100, 12$0^{\circ}C$에서 수분함량의 감소속도 및 건조수삼의 이화학적 성질을 분석하였다. 파쇄수삼의 건조온도는 8$0^{\circ}C$에서 건조시간이 35% 이하로 수분을 감소시키는데 6.2시간이 걸리고 생성된 총 진세노사이드의 양도 10$0^{\circ}C$와 12$0^{\circ}C$ 건조보다 낮았으므로 전처리 건조조건으로 적당하지 않았다. 또한 10$0^{\circ}C$와 12$0^{\circ}C$ 건조를 비교할 때 35% 이하의 수분함량으로 걸리는 시간은 5.7시간과 3.5시간으로 12$0^{\circ}C$ 건조조건에서 2시간 정도 단축되었으나 적색도는 5.20에서 7.23으로 1.39배 증가하여 가루의 색깔이 홍삼과 차이가 있었다. 75% 에틸렌으로 추출한 추출액의 갈색과 적색의 반응속도는 건조온도가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Rb1, Rb2, Rc, Rd, Rg1, 총 진세노사이드 함량 및 정성적으로 측정한 말톨의 양은 10$0^{\circ}C$와 12$0^{\circ}C$ 건조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므로 총 진세노사이드와 말톨 양을 고려할 때 12$0^{\circ}C$보다 10$0^{\circ}C$에서 압출성형 전처리공정으로 수삼을 열풍 건조하는 것이 적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삼의 저장조건에 따른 홍삼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ed Ginseng on Storage Condition of the Fresh Ginseng)

  • 김천석;정인찬;김세봉;양덕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2-56
    • /
    • 2005
  • 본 연구는 수삼의 저장기간 (무저장, 2일, 6일, 8일, 10일) 및 저장온도 $(20^{\circ}C,\;34^{\circ}C,\;-10^{\circ}C)$로 구분하여 제조된 홍삼의 품질 및 이화학적 특성변화를 비교 조사하였다. 수삼의 수분함량은 저장일이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수삼을 10일동안의 단기간 저장온도는 $34^{\circ}C$의 냉장저장이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전질소 함량은 저장일 10일로 갈수록 무저장구에 비해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저장온도별로는 실온, 냉동, 냉장저장 순으로 무저장구보다 전질소 함량이 증가함을 보였다. 각각의 저장구별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은 무저장구에 비하여 저장기간이 길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저장 온도별로는 냉장 저장구가 실온, 냉동 저장구에 비하여 다소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높았다. 저장조건별 홍삼의 사포닌 Rf 에 대한 8종의 $ginsenoside\;Rb_1,\;Rb_2,\;Rc,\;Rd,\;Re,\;$Rg_3,\;Rg_1,\;Rg_2$의 상대적 함량 (%)비 변화를 분석한 결과, 각각 저장조건에서 Rf 대한 $Rb_1,\;Rg_1$의 상대적 함량비가 저장기간이 늘어날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기타 ginsenoside 함량변화는 시료간의 차이에서 나타난 것으로 판단되며 저장조건에 따른 변화 경향은 뚜렷하지 않았다. 관능적 성질에서 각각 저장구별로 홍삼의 품질, 맛과 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볼 때, $34^{\circ}C$에서 냉장저장 운반하는 것이 홍삼 향미의 안정적 유지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Antiviral activity of ginsenosides against coxsackievirus B3, enterovirus 71, and human rhinovirus 3

  • Song, Jae-Hyoung;Choi, Hwa-Jung;Song, Hyuk-Hwan;Hong, Eun-Hye;Lee, Bo-Ra;Oh, Sei-Ryang;Choi, Kwangman;Yeo, Sang-Gu;Lee, Yong-Pyo;Cho, Sungchan;Ko, Hyun-Jeo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8권3호
    • /
    • pp.173-179
    • /
    • 2014
  • Background: Ginsenosides are the major components responsible for the bi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actions of ginseng, and have been shown to have various biological activiti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viral activities of seven ginsenosides [protopanaxatriol (PT) type: Re, Rf, and Rg2; protopanaxadiol (PD) type: Rb1, Rb2, Rc, and Rd)] against coxsackievirus B3 (CVB3), enterovirus 71 (EV71), and human rhinovirus 3 (HRV3). Methods: Assays of antiviral activity and cytotoxicity were evaluated by the sulforhodamine B method using the cytopathic effect (CPE) reduction assay. Results: The antiviral assays demonstrated that, of the seven ginsenosides, the PT-type ginsenosides (Re, Rf, and Rg2) possess significant antiviral activities against CVB3 and HRV3 at a concentration of $100{\mu}g/mL$. Among the PT-type ginsenosides, only ginsenoside Rg2 showed significant anti-EV71 activity with no cytotoxicity to cells at $100{\mu}g/mL$. The PD-type ginsenosides (Rb1, Rb2, Rc, and Rd), by contras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antiviral activity against CVB3, EV71, and HRV3, and exhibited cytotoxic effects to virus-infected cells. Notably, the antiviral efficacies of PT-type ginsenosides were comparable to those of ribavirin, a commonly used antiviral drug. Conclusion: Collectively,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ginsenosides Re, Rf, and Rg2 have the potential to be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CVB3, EV71, and HRV3 infection.

인삼이 첨가된 배추김치의 발효중 품질 특성 (Qualify Characteristics of Baechukimchi Added Ginseng during Fermentation Periods)

  • 구경형;이경아;박완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10호
    • /
    • pp.1444-1448
    • /
    • 2006
  • 김치의 주원료인 배추 대신 인삼 비율을 높게 하고, 김치 부재료를 그대로 이용하여 김치 발효과정 중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김치 제조 직후 pH는 대조구 5.48에 비하여 인삼 첨가구가 약간 높았고, 대조구의 적정산도는 0.24%, 인삼 첨가구는 0.25%였으며, 총균수와 젖산균수의 경우 대조구는 $1.59\times10^5,\;7.60\times10^4$에서 인삼 첨가구가 $1.90\times10^6\sim2.93\times10^2,\;2.21\times10^6\sim2.62\times10^6$으로 높았다.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인삼 첨가구는 대조구보다 pH 감소와 산도 증가가 컸으나, 미생물 균수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또 관능검사 결과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인삼이 첨가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하여 인삼 첨가구의 김치 맛이 강하다고 평가하였고, 시료군 별로 초기의 조직감을 그대로 유지하였다. 한편 김치 제조에 사용한 인삼의 조사포닌 함량은 건물량으로 5.89%에서 김치 발효 후 3.74%로 감소되었고, Re, $Rg_1$, Rf, $Rg_2,\;Rh_1,\;Rb_1$, Rc, $Rb_2$, Rd, $Rg_3$의 ginsenoside 함량은 원료 인삼에 비하여 발효 후 전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Rg_3$는 16.6 mg% 에서 59.2 mg%로, $Rh_1$은 22.2 mg%에서 39.4 mg%로 증가하였다.

홍삼 사포닌에 의한 유선상피 및 유선암세포의 분화 유도 효과 연구 (Effects of Ginseng Saponins on the Induction of Differentiation in Mammary Epithelial Cells and Mammary tumor Cells)

  • 오미숙;백기주;전성실;김규원;최강주;김남득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4권4호
    • /
    • pp.188-195
    • /
    • 2000
  • 정상 흰쥐 유선상피세포 및 DMBA로 유도안 흰쥐 유선암세포를 in vitro 상태에서 배양시키며 이들의 성장과 증식에 대한 홍삼 사포닌(조사포닌, 총사포닌, Rbl, Rb2, Rc, Rd, Re, Rhl, Rtl2)의 영향을 관찰하였다. 홍삼 사포닌들의 세포 배양중 발생하는 4종의 세포집락의 형태(cobble stone, spindle, honey comb, senescence)에 영향을 미쳤다. 배양한 세포집락에 lucifer yellow용액을 이용하여 SLDT결과 홍삼 사포닌을 첨가하고 배양한 세포군에서 배양 2주째 세포 간극을 통한 세포간 정보전달체계가 양성을 나타내었다. 이것으로 홍삼사포닌이 분화가 덜된 상피 간세포의 분화를 촉진시켜 분화의 지표 중 하나인 세포체포신호전달을 유도한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정상 유선 및 유선암 미세절편들을 Matrigel에 배양한 결과 분화의 종 지표인 수종의 다세포구조물이 생성됨을 확인하였는데 정상 조직과 유선암세포로부터 생성된 구조물 ductal, webbed, stellate, squamous colony들of 생성되었는데 유선암세포로부터는 alveloar unit, foamy alveolar nit, squmaous, lobule-ductal, stellate, webbed colony들이 생성되어 다소 상이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홍삼사포닌을 첨가하여 배양하였을 때 수종의 다세포 구조물 발생 빈도가 변하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홍삼 사포닌이 이들 다세포 구조물의 발생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편평상피암의 전암병소라 일컬어지는 편평상피화생의 경우홍삼 사포닌의 존재 하에 이들의 생성이 억제되고 분화가된 ductal colony들의 수가 증가된 것으로 보아 암예방 효과의 기전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haracterization of Korean Red Ginseng (Panax ginseng Meyer): History, preparation method, and chemical composition

  • Lee, Sang Myung;Bae, Bong-Seok;Park, Hee-Weon;Ahn, Nam-Geun;Cho, Byung-Gu;Cho, Yong-Lae;Kwak, Yi-Seo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9권4호
    • /
    • pp.384-391
    • /
    • 2015
  • It has been reported that Korean Red Ginseng has been manufactured for 1,123 y as described in the GoRyeoDoGyeong record. The Korean Red Ginseng manufactured by the traditional preparation method has its own chemical component characteristics. The ginsenoside content of the red ginseng is shown as Rg1: 3.3 mg/g, Re: 2.0 mg/g, Rb1: 5.8 mg/g, Rc:1.7 mg/g, Rb2: 2.3 mg/g, and Rd: 0.4 mg/g, respectively. It is known that Korean ginseng generally consists of the main root and the lateral or fine roots at a ratio of about 75:25. Therefore, the red ginseng extract is prepared by using this same ratio of the main root and lateral or fine roots and processed by the historical traditional medicine prescription. The red ginseng extract is prepared through a water extraction ($90^{\circ}C$ for 14-16 h) and concentration process (until its final concentration is 70-73 Brix at $50-60^{\circ}C$). The ginsenoside contents of the red ginseng extract are shown as Rg1: 1.3 mg/g, Re: 1.3 mg/g, Rb1: 6.4 mg/g, Rc:2.5 mg/g, Rb2: 2.3 mg/g, and Rd: 0.9 mg/g, respectively. Arginine-fructose-glucose (AFG) is a specific amino-sugar that can be produced by chemical reaction of the process when the fresh ginseng is converted to red ginseng. The content of AFG is 1.0-1.5% in red ginseng. Acidic polysaccharide, which has been known as an immune activator, is at levels of 4.5-7.5% in red ginseng. Therefore, we recommended that the chemical profiles of Korean Red Ginseng made through the defined traditional method should be well preserved and it has had its own chemical characteristics since its traditional development.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pilot study to assess the effects of protopanaxadiol saponin-enriched ginseng extract and pectinase-processed ginseng extract on the prevention of acute respiratory illness in healthy people

  • Hwang, Jeong-Hwan;Park, Soo-Hyun;Choi, Eun-Kyung;Jung, Su-Jin;Pyo, Mi Kyung;Chae, Soo-Wa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4권5호
    • /
    • pp.697-703
    • /
    • 2020
  • Background: GS-3K8 and GINST, both of which are modified ginseng extracts, have never been examined in terms of their effectiveness for the prevention of acute respiratory illness (ARI) in humans. We conducted a pilot study to assess the feasibility of performing a large-scal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This study was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pilot study at a single center from October 2014 to March 2015. The 45 healthy applica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e GS-3K8 (n = 15), GINST (n = 15), and placebo groups (n = 15). The study drug was administered as a capsule (500 mg/cap and 3000 mg/day). GS-3K8 contained 6.31 mg/g of Rg1, 15.05 mg/g of Re, 30.84 mg/g of Rb1, 15.02 mg/g of Rc, 12.44 mg/g of Rb2, 6.97 mg/g of Rd, 1.59 mg/g of Rg3, 3.25 mg/g of Rk1, and 4.84 mg/g of Rg5. GINST contained 7.54 mg/g of Rg1, 1.87 mg/g of Re, 5.42 mg/g of Rb1, 0.29 mg/g of Rc, 0.36 mg/g of Rb2, 0.70 mg/g of Rd, and 6.3 mg/g of compound K. The feasibility criteria were the rates of recruitment, drug compliance, and successful follow-up. The primary clinical outcome measure was the incidence of ARI. The secondary clinical outcome measures were the duration of symptoms. Results: The rate of recruitment was 11.3 participants per week. The overall rate of completed follow-up was 97.8%. The mean compliance rate was 91.64 ± 9.80%, 95.28 ± 5.75%, and 89.70 ± 8.99% in the GS-3K8, GINST, and placebo groups, respectively. The incidence of ARI was 64.3% (9/14; 95% confidence interval [CI], 31.4-91.1%), 26.7% (4/15; 95% CI, 4.3-49.0%), and 80.0% (12/15; 95% CI, 54.8-93.0%) in the GS-3K8, GINST, and placebo groups, respectively. The average days of symptoms were 3.89 ± 4.65, 9.25 ± 7.63, and 12.25 ± 12.69 in the GS-3K8, GINST, and placebo groups, respectively. Conclusion: The results support the feasibility of a full-scale trial. GS-3K8 and GINST appear to have a positive tendency toward preventing the development of ARI and reducing the symptom durat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s needed to confirm these find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