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ys

검색결과 2,317건 처리시간 0.025초

238,235U, 232Th과 40K의 베타선 및 감마선에 의한 토양의 흡수선량 환산 인자 (Dose rate conversion factor for soil by the beta-rays and gamma-rays from 238,235U, 232Th and 40K)

  • 김기동;음철헌;방준환
    • 분석과학
    • /
    • 제20권6호
    • /
    • pp.460-467
    • /
    • 2007
  • 자연계에 존재하는 $^{238}U$, $^{235}U$, $^{232}Th$ 그리고 $^{40}K$의 감마선과 베타선에 대해 토양의 흡수선량을 평가하기 위한 유효 흡수선량 환산인자를 계산하였다. 이 때 감마선과 베타선에 대한 붕괴당 에너지, 반감기, 분기율등의 핵자료들은 National Nuclear Data Center (NNDC)의 최근 자료들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계산한 흡수선량 인자 및 이를 이용하여 얻은 $^{238}U$, $^{232}Th$ 그리고 $^{40}K$의 베타선과 감마선에 유효흡수선량은 1998년 Aitken의 결과와 비교적 잘 일치하였지만, $^{235}U$의 경우는 많은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국 충북 청원군 오성에 있는 선사유적지(만수리) 내의 토양에 대해 고 분해능 감마선 분광 분석 장치(HP Ge 검출기)로 지각 방사선의 감마선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계산된 유효 흡수선량 환산인자를 이용하여 연간방사선량을 평가하였는데, 연간방사선량이 3.8~5.9 mGy/year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Rn 이하의 붕괴 핵종을 포함하여 연간방사선량을 평가하는 경우와, 이를 포함하지 않고 연간방사선량을 평가하는 경우는 9~30 %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 흡수선량 환산인자로 토양에 존재하는 자연 방사성 동위원소들의 베타선과 감마선에 대한 유효 흡수선량 평가법이 확립하였다.

Geiger-Muller 계수관을 이용한 베타선측정에서 디텍터 보호유무에 따른 계수율 분석 (Analysis of Counting Rate according to Presence or Absence of Detector's Protector in Beta-rays Measurement using Geiger-Muller Counter)

  • 장지용;정문택;송종남;하재준;한재복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31-37
    • /
    • 2018
  • 단창형의 Geiger-Muller 계수관을 이용한 표면오염검사에서 베타선을 측정하기 위해 외부로 노출된 디텍터를 보호하는 방법으로 랩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 방법이 측정계수율과 교정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방사선작업종사자에게 과도한 랩의 사용은 베타선의 측정값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인지시켜주고자 하였다. 실험방법은 3 KBq, 1.5 KBq, 0.3 KBq의 에너지가 다른 베타선을 이용하여 랩 두께에 따른 베타선 측정계수율과 교정인자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 대상으로는 2012년 3월 한국인정기구 (KOLAS) 인증을 받은 교정센터에서 보유한 단창형의 Geiger-Muller 계수관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Cl-36(Chlorine)과 Sr-90(Strontium)을 베타선 방사선원으로 사용하였다. 측정계수율은 랩 두께가 증가할수록 감소함을 확인 할 수 있었고 교정인자는 랩 두께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측정계수율의 감소와 교정인자의 변화는 기기지시값의 정확도를 감소시킬 수 있지만 디텍터의 오염 및 손상 또한 베타선 측정에서 중요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어느 정도 두께의 랩을 사용함이 가장 효과적인지 알아볼 필요성이 있다. 측정계수율과 교정인자의 낮은 변화율을 보여주는 두께의 랩을 사용한다면 디텍터를 보호하면서 베타선의 측정값에도 영향을 최소한으로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산 풀미역치과 어류 1미기록, Cocotropus masudai (First Record of a Velvetfish, Cocotropus masudai (Scorpaeniformes: Aploactinidae) from Korea)

  • 한송헌;김맹진;송춘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16-120
    • /
    • 2016
  • 풀미역치과에 속하는 Cocotropus masudai 1개체 (표준체장 41.2 mm)가 2011년 7월에 제주도 연안에서 상업용 통발에 처음으로 채집되었다. 이 종은 등지느러미 기조수 XII, 9개를 갖는 점, 뒷지느러미 기조수 I, 8개를 갖는 점, 배지느러미 기조수 I, 3개를 갖는 점, 전새개골에 4개의 가시를 갖는 점, 아래턱에 5개의 감각공을 갖는 점 그리고 흉부의 끝이 다섯 번째 감각공을 지나는 특징을 갖는다. 이 종은 형태적으로 C. izuensis와 유사하지만 전새개골의 가시수 (C. izuensis는 5개 vs. C. masudai는 4개를 가짐)와 흉부의 끝의 위치 (C. izuensis는 다섯 번째 감각공을 훨씬 지남 vs. C. masudai 도달함)로 구분할 있다. 그리고 이 종은 우리나라에서 서식하는 풀미역치에 대해 등 지느러미 연조수가 9개 (풀미역치는 10~14개), 뒷지느러미 연조수 7개 (풀미역치는 10~13개) 그리고 배지느러미 연조수는 3개 (풀미역치는 2개)로 구분할 수 있다. 이 미기록종의 속명과 국명은 각각 "돛치속"과 "돛치"로 제안한다.

간척지에서 재배된 양마(Kenaf)의 해부학적 특성(I)-사부와 목부의 생장기관과 높이에 따른 차이-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Kenaf Grown in Reclaimed Land(I)-Differences in Phloem and Xylem with Growth Period and Height-)

  • 이선화;이세나;권성민;이명구;조동하;김남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6호
    • /
    • pp.43-49
    • /
    • 2007
  • 국내 간척지에서 생장한 양마(kenaf)의 생장기관과 높이에 따른 해부학적 특성을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2006년 5월에 파종한 케나프를 동년 7, 8, 9,10월 총 4회에 걸쳐 채취하고, 각 생장기간 별로 3, 35, 70, 105 cm의 높이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사부에는 인피섬유, 방사조직, 사관이 존재하였고 목부에는 도관, 목섬유, 방사조직과 수가 존재하였다. 목질부의 도관은 산재상으로 고립관공과 방사복합관공이 혼재하였고 도관상호간벽공은 교호상 벽공의 형태가 관찰되었다. 또한 목부의 방사조직은 단열, 복열 및 다열방사조직이 혼재하였고 방사유세포의 형태는 직립, 평복, 방형세포가 모두 존재하였다. 생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사부와 목부가 증가하였고 수심부가 감소하였으며, 인피섬유의 층수와 사부방사조직이 증가하였다. 그리고 사부에 있어서 형성층부위에 가까운 인피섬유의 층이 외층부의 인피섬유의 층보다 더 크고 세포수가 많았다. 또한 생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접선단면에서 다열방사조직이 많이 관찰되었다. 생장 높이가 높아질수록 사부가 증가하였고 목부가 감소하였으며, 인피섬유의 층수와 사부방사조직이 감소하였다. 그리고 생장높이가 높아질수록 접선단면에서 단열방사조직이 많이 관찰되었다.

한국 남해에서 채집된 홍메치목(Aulopiformes), Scopelarchidae, Scopelarchoides danae의 첫기록 (A New Record of Scopelarchoides danae (Scopelarchidae, Aulopiformes) Collected from the Southern Sea of Korea)

  • 김진구;유정화;송세현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61-365
    • /
    • 2023
  • 2023년 5월 12일 경남 통영 욕지도 남부 해역에서 봉고네트로 홍메치목(Aulopiformes)에 속하는 치어 1개체(체장 37.6 mm)가 채집되었다. 우리 표본은 얇은 몸, 큰 입, 튜브처럼 생긴 큰 눈, 긴 뒷지느러미 기저부, 발달된 기름지느러미를 가지는 점에서 Scopelarchidae과로 확인되었다. 이후 우리 표본은 8개의 등지느러미, 20개의 가슴지느러미, 9개의 배지느러미, 26개의 뒷지느러미 줄기를 가지며, 배지느러미보다 앞쪽에 위치한 등지느러미, 가슴지느러미 아래쪽과 배지느러미 뒤쪽으로 2개의 흑색소포를 가지는 점에서 Scopelarchoides danae로 최종 분류되었다. S. danae는 적은 등지느러미 줄기(8개, 9~10개) 및 가슴지느러미 줄기 (20개, 22~25개)를 가지는 점에서 동속의 Scopelarchoides signifer와 잘 구분된다. 치어 시기의 S. danae는 옆줄의 상하 양쪽을 따라 암색 띠가 없다는 점에서 Scopelarchus guentheri 및 Scopelarchus analis와 구분되고, Scopelarchus michaelsarsi와는 더 많은 뒷지느러미 줄기(26개, 18~21개)를 가지는 점에서 잘 구분된다. 본 종이 속한 Scopelarchidae과 어류는 국내 처음 보고되는 분류군으로 눈이 튜브 모양인 점에 의거 '눈방울매퉁이과'로 국명 신칭하고, Scopelachoides danae는 '눈방울매퉁이'로 국명 신칭한다.

제주도 북부 연안해역에서 채집된 도치과 (Cyclopteridae) 한국미기록종, Lethotremus awae (New Record of a Lumpfish, Lethotremus awae (Scorpaeniformes: Cyclopteridae) from Korea as a Filling of Distributional Gap in the Western North Pacific)

  • 김병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53-158
    • /
    • 2015
  • 수중 집어등에 의한 제주도 북부 연안역 자치어 조사 과정에서 2004년부터 2007년 사이에 채집된 도치과 어류 5개체 (표준체장 9.8~ 17.9 mm)에 근거로 Lethotremus awae를 한국미기록종으로 기재하였다. 이들의 체형은 구형으로 두부에 3개의 수염과 유사한 관상 돌기가 있는 점, 제1등지느러미가 기조수를 세기 어려울 정도로 두꺼운 피부로 덮혀 있는 점, 등지느러미 기조수 VIII-9, 뒷지느러미 기조수 8~ 9, 가슴지느러미 기조수 22~23인 특징이 있다. 본 종의 신한국명으로는 크기가 작은 점에서 '엄지도치'라 명명한다.

$CaSO_4$ : Tm, $CaSO_4$ : Tm-PTFE TLD 소자의 제작과 특성에 관한 연구 (Fabrication of $CaSO_4$ : Tm, $CaSO_4$ : Tm-PTFE TLD Radiation Sensors and Its Characteristics)

  • 박명환;이준일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16권1호
    • /
    • pp.107-115
    • /
    • 1993
  • In this study, to develop highly sensitive radiation sensors, $CaSO_4$ : Tm phosphors and its disc-type TLD elements embedded PTFE(polytetrafluoroethylene) are fabricated. The highest sensitivity of $CaSO_4$ : Tm phosphors is obtained when phosphors have been doped with 0.5mol % Tm and sintered in atmosphere at $600^{\circ}C$ for two hours. Fabricated disc-type elements are made from a homogeneous mixture of phosphors and PTFE powder. They are first cold-pressed and then polymerized at $370^{\circ}C$ in air for one hour. The dose dependence of the prepared $CaSO_4$ : Tm TLD radiation sensors is linear within the range of $100{\mu}Gy{\sim}10Gy$ for X-rays and ${\gamma}-rays$. The response of $CaSO_4$ : Tm to 30keV X-rays is ten times higher than that of 1.25MeV $^{60}Co\;{\gamma}-rays$. The fading rate of the main peak is about 2% per a month. The spectral peaks of TL emission spectrum are at about 350nm and 475nm. The $CaSO_4$ : Tm TLD radiation sensors prepared in this work may be used as radiation dosimeter for personal and environmental monitoring because of their high sensitivity and little fading.

  • PDF

THE FE Kα EMISSION LINE OF INTERMEDIATE POLAR V1223 SAGITTARII

  • Nwaffiah, J.U.;Eze, R.N.C.
    • 천문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147-152
    • /
    • 2014
  • We present measurements of the Fe $K{\alpha}$ emission line of the intermediate polar V1223 Sagittarii observed with the Suzaku satellite. The spectrum is modeled with an absorbed thermal bremsstrahlung spectrum and three Gaussians for the three components of the Fe $K{\alpha}$ lines. We resolve the neutral or low-ionized (6.41keV), He-like (6.70keV), and H-like (7.00keV) iron lines. We also obtain a thermal continuum temperature of 25 keV, which supports a thermal origin of the hard X-rays observed from the shock heated layers of gas between the white dwarf and the shock front. Hence, we believe that the He-like and H-like lines are from the collisional plasma. On the origin of the Fe $K{\alpha}$ fluorescence line, we find that it could be partly from reflections of hard X-rays from the white dwarf surface and the $N_H$ absorption columns. We also discuss the Fe $K{\alpha}$ emission line as veritable tool for the probe of some astrophysical sites.

Cosmic Ray Flux Variation Estimated from the Raw Solar Images

  • Oh, Suyeon;Park, Hyungmin;Park, Keunchan;Chae, Jongchul;Yi, Yu
    • 천문학회보
    • /
    • 제38권2호
    • /
    • pp.96.2-96.2
    • /
    • 2013
  • The solar images are taken by the CCD detectors of the Sun monitoring satellites. The solar images are constructed after removing the traces of cosmic rays on the raw CCD data files. Thus, while applying the method of removing the cosmic rays traces, we can estimate the cosmic rays flux by counting the number of traces. The cosmic ray flux in the steady state might be the sum of the solar and galactic cosmic rays. However, the abrupt change in the flux could be assumed to be originated from the Sun. Therefore, we can identify the solar origins of the sudden solar cosmic ray flux changes from the phenomena shown in the processed solar images taken by SOHO/EIT. As the results, the estimated cosmic ray flux in the steady state is the anti-correlated with sunspot numbers, which shows the minima in cosmic ray flux at the solar cycle maxima defined by the sunspot numbers. The profiles of estimated solar cosmic ray associated with the ground level enhancements have the significant increase in the cosmic ray flux with good correlation. Thus, the solar images are valuable data useful in estimating the solar cosmic ray long term and transient flux variations.

  • PDF

Description of the Post Larva of Star Pipefish, Halicampus punctatus (Syngnathidae, Gasterosteiformes) First Found in the Southwestern East Sea, Korea

  • Kim, Sung;Lee, Youn-Ho;Oh, Ji-Na
    • Ocean Science Journal
    • /
    • 제41권4호
    • /
    • pp.201-205
    • /
    • 2006
  • Larval specimens of Halicampus punctatus were collected off Ulsan and Uljin in December 2002 (three specimens) and off Ulsan in December 2003 (one specimen). These specimens are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rings, 14 + 35 = 49; subdorsal rings, 1 + 3 = 4; dorsal fin rays, 19 - 20; pectoral fin rays, 14 - 15; anal fm rays, 9; head length (HL), 5.8 - 6.7 in the standard length; snout length, 1.9 in HL; snout depth, 3.7 - 5.2 in snout length. The number of caudal fin rays 9 is less than those of the other species in the same genus 10. Wide stripe bands composed of small pigments are shown in the trunk and the tail. Melanophores are not found in the dorsal fin, the pectoral fin, and the anal fin except the caudal fin. The supraoccipital crest is on the head. The frontal ridge is on the dorsal side of front trunk. The blanched ridges on the opercular are fused with a main ridge like a tree branch. A few branched ridges that are small and narrow on the trunk and the tail are fused with the main ridges. We report these specimens as the first record in Korea and name them 'Byeol-sil-go-ki' in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