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t small intestine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31초

Streptozotocin유발 당뇨쥐에 있어서 Metallothionein 합성에 미치는 비타민 E의 영향 (Effects of Vitamin E on the Metallothionein Synthesi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이순재;최원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83-194
    • /
    • 1995
  • 식이내 비타민 E 함량을 0mg vit. E/kg diet(STZ-OE군), 40mg vit. E/kg diet(STZ-40E군) 그리고 40mg vit. E/kg diet(STZ-400E군)로 달리하여 4주간 사육한 후 streptozotocin으로 당뇨병을 유발한 후 4일째에 희생시켜, 당뇨병 쥐에 있어서 MT합성에 미치는 비타민 E의 영향을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체중증가는 STZ을 투여하기 전까지는 대조군에 비해 STZ-0E군만 낮았으나 STZ투여한 후에는 STZ투여군들 모두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실험군간을 비교해 보면 STZ-400E군이 STZ-0E, STZ-40E군에 비해 STZ을 투여한 후 감소율이 낮았다. 혈당량은 당뇨군들이 대조군에 비해 약 3배 정도 높았으나, 당뇨군들 중에서 비타민 E의 영향은 없었다. 간조직 중의 비타민 E 함량은 STZ-0E 및 STZ-40E군에서는 대조군 보다 각각 50, 36%씩 크게 감소되었으나 STZ-400E군은 차이가 없었다. Glutathione(GSH) 함량은 비타민 E의 다량 첨가군(STZ-400E)에서 GSH 함량과 GSH/GSSG비가 증가되었다. 간조직 중의 지질과산화가는 STZ-0E군과 STZ-40E군이 대조군 보다 5.6, 2.5배씩 높았으나 STZ-400E군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Piasma insulin level은 대조군에 비해 당뇨유발군 모두가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비타민 E의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Piasma cortisol level은 대조군에 비해 STZ-0E, STZ-40E군이 증가하였으나 STZ-400E군은 이들 두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대조군 수준이었다. 간장, 신장, 소장조직의 MT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당뇨유발군이 각각 5.3, 2.8, 16배 정도 현저히 증가되었는데 STZ-400E군은 STZ-0E, STZ-40E 이들 두군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Sephadex G-75를 사용하여 간조직 중의 Zn-MT를 분리한 결과 당뇨 유발군에서 대조군 보다 Zn-MT peak가 증가되었으나 Cu-MT는 변화가 없었다. Zn-MT는 DEAE A-25를 사용하여 MTI, MTII peak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STZ유발 당뇨쥐는 산화적 stress에 더욱 감수성이 높으므로 지질과 산화 반응이 정상군에 비해 촉진되었으며, 식이 중 공급되는 비타민 E 함량이 부족시는 더욱 가속화되었다. 더불어 간조직 중의 MT합성도 같은 양상으로 증가되어 당뇨병이 free radical 생성으로 인해 MT를 유도하는 하나의 새로운 인자인 것으로 확인하였다. 그러나 식이 중 비타민 E의 다량 급여시는 생체내 항산화계 효소들이 정상군에 가깝게 활성화되고, 생리적 항산화물질이 증가되었다. 따라서 식이비타민 E가 당뇨병으로 인한 지질과산화에 대한 항산화적 방어기구를 강화시키므로써 조직의 과산화적 손상을 환화시키는데 크게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비타민 E 다량 투여로 간조직과 신장, 소장조직내의 total MT 함량이 감소되고 분리정제한 Zn-MT의 peak가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MT가 free radical scavenger로서 작용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 PDF

장관내(腸管內) 칼슘흡수 실험방법에 관한 연구 (An Experimental Method of Calcium Absorption in Rat Small Intestine - in situ Closed Gut Segment Technique -)

  • 이연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1-45
    • /
    • 1983
  • 본 연구는 식후(食後) 단시간내(短時間內)에 장내용물(腸內容物)이 존재(存在)하고 있는 장(腸)loop내(內)에 $^{45}Ca$을 직접 주입(注入)한 후, 장(腸)loop로부터의 $^{40}Ca$$^{45}Ca$의 소실량(消失量), 또는 문맥혈중(門脈血中) $^{45}Ca$의 출현량(出現量)에 의해 Ca흡수량을 측정 비교할 수 있는 in situ closed gut segment법(法)의 하나를 확립(確立)하고져 행하여 졌다. 성장기 흰쥐에게 casein식(食)을 급여하고 검토한 결과, in situ closed gut segment법(法)의 실험 최적조건(最適條件)은 ligation부위는 회장중앙부 15-20cm, 주입액(注入液)의 조성(組成)은 $0.2{\sim}0.5{\mu}Ci/5{\mu}gCa/0.5ml$, pH 7.0, $37^{\circ}C$, 장(腸)loop로부터 $^{40}Ca$$^{45}Ca$의 소실량(消失量) 측정(測定)은 $^{45}Ca$주입후(注入後) 30분간, 문맥혈중(門脈血中)의 $^{45}Ca$농도 측정은 15분간이었다. 이상의 실험조건에서 흰쥐에게 casein식(食)과 egg albumin식(食)을 급여하고 Ca흡수량을 비교한 결과, casein식(食)에 의해 2~5 배의 높은 Ca흡수효과를 보였으며, 문맥혈중 $^{45}Ca$농도로부터의 평가는 장(腸)loop로 부터의 평가보다 과소평가 되지만 비교연구에는 충분히 유효함을 보였다.

  • PDF

오디즙 및 오디박 분말이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쥐의 혈당 및 혈청지질 강하와 적혈구 항산화 효소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ulberry Juice and Cake Powders on Blood Glucose and Lipid Lowering and Erythrocytic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권은혜;장현서;김상운;최상원;이순재;조성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0권3호
    • /
    • pp.199-210
    • /
    • 2007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ulberry juice and cake powder on blood glucose and lipid status along with intestinal disaccharidase and erythrocyte antioxidative enzyme system in streptozotocin (STZ)-induced diabetic rats. Sprague-Dawley male rats weighing $100{\pm}10g$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normal group, and eight STZ-induced diabetic groups: control diet group without mulberry juice and cake powders (DM-C), three mulberry juice powder groups (0.5%: DM-0.5J, 1%: DM-1J, 2%: DM-2J) and low mulberry cake powder groups (0.25%: DM-0.25C, 0.5%: DM-0.5C, 1%: DM-1 C, 2%: DM-2C). After three-week feeding of each experimental diet, diabetes was induced by intravenous injection of 50 mg/kg body weight of STZ in sodium citrate buffer (pH 4.3) via tail vein of eight DM groups. Rats were sacrificed at the 9th day of diabetic states. Level of blood glucose was 505 mg/dl in DM-C group but it was 28% and 39% lower in mulberry juice and cake powder fed groups, respectively, than the DM-C group. Activities of maltase, sucrase and lactase in proximal part of small intestin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mulberry juice and cake powder groups by $42{\sim}47%$ than those of DM-C group. Erythrocytic superoxide dismutase, glutathione peroxidase and catalase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STZ but increased close to normal levels along with less accumulation of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Serum levels of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and HDL-cholesterol by STZ-DM were reduced and increased respectively, to the norma] levels by the mulberry juice and cake powder. Except the levels of TBARS, the effects on the other measurements by the various dietary levels of mulberry juice and cake powder were almost same and the effect of the cake powder was most significant at the lowest leve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ulberry juice and cake powders have consityerable hypoglycemic effect and strengthening antioxidant defense systems at the low levels in diabetic state and may be able to reduce diabetic complications.

민태 Frame 단백질 유래의 인산화 및 비인산화 펩타이드가 체내 칼슘 흡수에 미치는 영향 (Calcium Absorption Acceleration Effect on Phosphorylated and Non-phosphorylated Peptides from Hoki (Johnius Belengeri) Frame)

  • 김세권;전유진;변희국;박표잠;김규형;최영일;이연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713-717
    • /
    • 1999
  • 수산가공공장에서 부산물로 대량 생산되고 있는 민태 frame 단백질로부터 회수된 펩타이드의 이용성을 탐색할 목적으로 민태 frame 단백질 유래 펩타이드와 이를 인산화시킨 펩타이드에 대한칼슘흡수 촉진효과를 칼슘의 침전형성 저지율을 이용한 in vitro 실험과 칼슘 결핍 흰쥐를 이용한 in vivo실험으로 검토하였다. 먼저 in vitro 실험에서 칼슘의 침전형성 반응시간의 변화에 따른 상충액중의 칼슘농도는 민태 frame 펩타이드(HFP)와 인산화시킨 펩타이드 (PHFP)를 첨가한 경우 대조군보다 각각 약 1.5배 및 2.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펩타이드의 첨가농도에 따른 실험에서도 HFP는 농도가 1.0mg/ml일 때 가용화율이 $70\%$로 증가하였고, PHFP는 0.8mg/ml일 때 약 $75\%$, 그리고 2.0mg/ml일 때는 CPP와 같은 $100\%$로 증가하였다. 흰쥐를 이용한 in vivo 실험에서 HFP 및 PHFP 섭취군 모두에서 대퇴골내 칼슘농도가 유의적으로 상승하였으며, 특히 PHFP 섭취군은 소장내 가용성 칼슘의 함유량이 대조군에 비해 약 $60\%$ 이상 높았다. 또 소변으로 배출되는 칼슘의 양은 HFP를 섭취한 군이 대조군보다 약 1.5배 높았다. 이들의 결과로부터 어류가공 부산물로부터 단백질 유래의 칼슘흡수 촉진제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강원도 홍천강 유역의 Metagonimus속 흡충 감염상 (Epidemiological studios on Metagonimus infection along the Hongcheon river, Kangwon Province)

  • 안영훈;양용석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6권3호
    • /
    • pp.207-214
    • /
    • 1988
  • 강원도 홍천군내를 임류하여 경기도 청평댐으로 유입되는 홍천강 유역 주민의 Metagonimus속 흡충 감염실태와 홍천강에 서식하는 중간숙주의 감염상을 조사하였다. 홍천강 유역 주민의 Metngonimus속 흡충 감염률은 529명(남 314, 여 215)중 39명(남 33명, 10.5%; 여 6명, 2.8%)으로 평균 7.4%의 양성률을 보였다. 총 8개 지점에 대한 조사중 북방면 굴흑이가 주민감엽률 26.9% (남자는 38.2%)로 가장 높았고 제 1중간숙주인 다슬기의 서식밀도도 높았다(m2당10∼20개). 다슬기의 Metagonimus 유미유충 감염률은 10.7%(121개중 13개)였다. 주민들의 호생식성 어종이며 근단. 수가 많은 피라미 (Zncco platypus)의 metacercaria 감염은 68.2%(44마리중 30마리)이며 주 검출부위는 비늘(89.9%)이었다. 피라미에서 검출된 metacercaria를 흰쥐에 감염시킨 다음 15일후에 성충을 회수하고, 사람에서 검출한 충체와 비교하였던 바 동일종으로 관찰되었다. 검출된 충체는 Metagcnimus takahashis([고교]흡충)와 기타 Metagonimus속 흡충이 혼재해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강원도 홍천강 유역에 Metagonimus 흡충 감염이 높은 지역이 있음을 알았고 주요 감염원이 되는 어종은 피라미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간흡충에 감염된 토끼 및 흰쥐 담관상피의 분비기능 (Secretions of the biliary mucosa in experimental clonorchiasis)

  • 이순형;이종인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1권1호
    • /
    • pp.13-20
    • /
    • 1993
  • 간흡충에 감염되었을 때 나타나는 조직병리학적 소견의 변화로는 담관 직경이 확장되고 담관벽이 비후되며, 담관 상피층에 선종성 증식과 배세포 화생이 관찰되었다. 치료 후에는 이러한 변화 중에서 화생이 소실되나 선종성 증식은 상당히 완화되어 잔존하고 담관벽의 비후는 지속된다. 이러한 형태학적인 변화는 선종성인 특징이 있어 어떠한 분비기능이 예상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소장의 분비물이 담관 점막층에서 분비되는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간흡충 피낭유충을 300개씩 8마리의 토끼에 감염시킨 후, 14주에 프라지관텔로 치료하여 구층 후 6개월 및 1년에 간을 적출하고, 파라핀 포매하여 절편을 만들어 분비물에 대하여 면역조직화학법을 시행하였다. Gastrln과 secretin은 정상토기의 간내 담관 및 감염된 담관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Serotonin은 비감염 간 내 담관에서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감염 대조군의 담관상퍼층에서 몇 개의 양성 세포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치료 후 6개월에는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휜쥐에 100개씩 간흡충 피낭유충을 감염시키고 증식된 상피 층에서 소장 미소응모막 효소의 활성을 관찰한 바, alkalinephosphatase의 활성이 감염군에서 대조군과 같은 정도로 관찰되 었으나 sucrose, trehalase, lactate, leucine annnopeptidase의 활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 결과를 통하여 간흡충 감염시에 증식된 담관상피에 소수의 serotonin 분비세포가 있음을 관찰하였고 다른 소장의 분비기능은 생기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 serotonin을 포함한 세포는 비만세포로 추정된다.

  • PDF

서울주걱흡충의 재감염이 흰쥐 소장의 조직병리 및 미소융모막효소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infection with Neodiplostomum seoulensis on the histopathology and activities of brush border membrane bound enzymes in the rat small intestine)

  • 유재란;홍성태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3권1호
    • /
    • pp.37-44
    • /
    • 1995
  • 서울주걱흡충(Neodiplostomum seoulensis)재감염시 숙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충체 회수율 소장의 조직병리 및 미소응모막효소 활성도를 관찰하였다. 자연감염된 뱀에서 피낭유충을 얻어 500개씩 흰쥐에 감염시키고 20일 후에 프라지콴텔로 치료하였다. 치료후 3주째에 피낭유충 500개씩 경구투여하여 재감염 시킨다음 3일. 1주. 2주 후에 도살하여 일차감염군과 비교하였다. 충체회수율은 일차감염시 각각 32.8%. 59.2%, 41.5%에서 재감염시 25.9%, 35.7%. 7.6%로 감소되었는데 특히 2주후에 급격히 감소되었다. 십이지장의 조직병리 소견은 일차감염시 1주 후부 터 융모의 응합 단축등의 퇴행성 변화와. 선와의 증식. 기질층의 염증세포 침윤 등이 나타나 2주까지 지속되었으나 재감염시는 3일 후부터 병변이 나타나다가 1주째부터 회복되었다. 미소응모막효소 활성도 측정결과 십이지장에서 일차감염시 alkaline phosphatase와 자당분해효소의 활성도가 대조군의 절반수준으로 감소하였으나 재감염시에는 대조군 수준과 동일하거나 오히려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이 흡충의 재감염시 충체의 배출이 빨라짐과 동시에 형태학적으로 회복이 빨리 이루어지며 기능적으로도 소장의 미소응모막효소 활성도의 회복이 빠르게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 PDF

TCDD로 유발된 Oxidative Stress에 대한 생약재 추출물의 방어 및 해독효과 (Protection and Detoxification Effects of Oriental Herb Extract Mixture on TCDD-Induced Oxidative Stress)

  • 황진국;이경진;양희진;박기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94-301
    • /
    • 2008
  • 본 연구는 삼백초(aururus chinensis), 포공영(Taraxacum platycarpum), 유근피(Ulmus macrocarpa), 감초(Glycyrrhiza glabra), 흑두(Rhynchosia nulubilis)로부터 제조된 생약재 추출 혼합물이 dioxin 중 중독성이 가장 강하다고 알려진 2,3,7,8-tetrachlorodinenzo-p-dioxin(TCDD)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실험하였다. 정상적인 간세포주를 TCDD에 노출시킨 후 OHEM을 처리한 결과, TCDD에 의한 세포독성을 감소시켰으며, 간세포주로부터 생성된 lactate dehydrogenase, nitric oxide, cytochrome p450의 생성량 측정 결과로 OHEM이 TCDD로 유발된 간 독성을 해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rat을 이용한 TCDD 급성독성 유발 실험에서는 TCDD 투여에 의해 증가된 AST, ALT, ALP, LDH 및 동맥경화지수가 OHEM의 투여에 의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으며 OHEM의 사전투여에 의한 방어효과가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p<0.05). 또한 OHEM의 투여가 TCDD에 의해 손상된 간세포 조직의 풍선 병변과 공포화를 감소시켰고, 소장 세포의 조직에서는 융모 조직의 부종을 현저하게 감소시켰다.

경찰특공대 요원의 방사선손상 감소를 위한 셀레늄과 아르기닌 혼합물의 방호효과 연구 (A Study on the Radioprotection Effect of Selenium and Arginine Mixtures for Reducing Radiation Damage to Police SOU)

  • 정근우;김해숙;박재형;주성현;최제경;천세임;민병인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119-125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방사능 테러 상황에서 경찰특공대 대테러요원의 방사선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사선 방호제 개발을 위하여 셀레늄과 아르기닌 혼합물의 방사선 방호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72 마리의 수컷 SD rat을 일반군(NC Group), 셀레늄과 아르기닌 혼합물 투여군(SeAr Group), 방사선 노출군(IR Group), 셀레늄과 아르기닌 혼합물 투여 후 방사선 노출군(SeAr+IR Group)의 4개 군으로 분류하였다. 방사선은 7 Gy 엑스선을 전신에 노출하였고, 셀레늄과 아르기닌은 각각 1일 1회 3 mg/kg, 150 mg/kg이 흡수되도록 혼합하여 14일간 경구 투여였다. 방사선 노출 후 1일, 7일, 21일차에 혈액학적 분석과 조직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혈액학적 분석에서는 IR Group에 비하여 SeAr+IR Group에서 방사선 노출 후 1일차에 림프구(p<0.05)에서, 7일차에 혈소판(p<0.01)에서, 21일차에 적혈구(p<0.01)에서 유의한 방사선 방호가 나타났다. 조직학적 분석에는 IR Group에 비하여 SeAr+IR Group에서 방사선 노출 7일차에 소장에서 소장움 세포의 경계가 적게 무너지고 소장움의 길이가 비교적 회복된 것이 관찰되었고, 21일차에 전립선에서 세포수와 세포벽의 두께가 더 양호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셀레늄과 아르기닌 혼합물은 방사선 노출에 따른 혈액 및 조직에 대한 방사선 방호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경찰특공대 대테러요원의 방사선 손상 감소를 위한 방사선 방호제 연구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참나무 (Quercus Mongolica)로부터 수용성 식이섬유소의 제조 및 기능성 검증 (Preparation of Soluble Dietary Fiber from Oak Wood (Quercus Mongolica) and Its Physiological Function in Rat Fed High Cholesterol Diets)

  • 채영미;임부국;이종윤;김영희;이순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6권1호
    • /
    • pp.9-17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참나무(oak wood)류중 신갈나무(Querrus mongolica)로부터 수용성 식이섬유소의 제조와 제조된 수용성 식이섬유소의 생리적 기능성을 검정하고자 하였다. 신갈나무로부터 수용성 식이섬유소의 분리는 전처리 기술로써 폭쇄처리를 하였으며 최적 폭쇄전처리 조건은 25kgf/$\textrm{cm}^2$의 압력으로 6분간 처리하였다. 폭쇄시료를 탈리그닌 처리하기 위해 가장 효과적인 방법중 1% NaOH 용액으로 수회여과 처리 하였다. 앞에서 탈리그닌된 시료를 효소가수분해 처리하기 위 해 사용된 효소로는 Onnozok R-10보다 Cellusoft 효소의 가수분해율이 효과적이었다. 제조된 수용성 식이섬유소의 분자량 분포는 약 1,200-348 사이에 존재하는 oligomer 형태의 소당류로 분포되어 있었다. 제조된 수용성 식이섬유소의 생리적 기능성을 검정하기 위해 실험동물은 Sprague-Dawley종 수컷을 이용하여 정상군과 고콜레스테롤식이 실험군으로 나눈 후 고콜레스테롤 실험군을 다시 섬유소 종류와 공급수준에 따라 섬유소를 공급하지 않은 무섬유식이군 (FF군), 시판 식이섬유소를 5%공급한군 (5P군) 10%공급한군 (l0P군) 제조 식이섬유소를 5% 공급한 군 (5M군) 10% 공급한 군(10M군) 등 각 10마리씩 6군으로 나누어 4주간 사육하였다. 식이섭취량은 섬유소공급군이 FF군에 비해 증가되었으며 체중증가량은 섬유소공급군에서 FF군에 비해 유의적 (p<0.05)으로 낮았다. 식이효율은 FF군에 비해 모든 식이섬유소군에서 유의적 (p<0.05)으로 낮았으며 특히 10% 공급군에서 가장 낮았다. 간 무게근 FF군에 비하여 식이섬유소 공급군에서 유의적 (p<0.05)으로 감소되었으며 소장 및 맹장무게는 정상군과 무섬유식이군에 비하여 식이섬유소 공급군에서 증가되었다. 혁청 GOT 활성은 식이섬유소 공급군이 FF군에 비해 유의적 (p<0.05)으로 저하되었다. GPT 활성은 정상군에 비해 무섬유식이군인 FF군에서 증가되었으며 섬유소 공급관들은 다소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간조직 중 GST 활성은 FF군에 비해 식이섬 유소 공급군 모두 활성이 증가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생리적 기능은 제조된 수용성 섬유소군이 시판 수용성 섬유소와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제조된 수용성 식이섬유소와 시판되는 수용성 식이섬유소가 생리져 기능이 거의 비슷하고 무독성이 관찰됨으로써 신갈나무로부터 제조된 수용성 식이섬유소의 제조 방법이 우수하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