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t Salivary Gland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6초

방사선조사가 백서타액선조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이의웅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18권8호통권137호
    • /
    • pp.657-667
    • /
    • 1980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observe the salivary gland of the white rat when exposed to single and fractionated doses of Cobalt-60 irradiation. One hundred fifty white rats of the experiment were devided into control and 3 experimental groups. In experimental groups, group I receivcd 1200 rads everyweek untill 4800 rads reached, group II received 1500 rads and group III received 2000 rads with single dose. irradiation was carried out using a RAC-120 Cobalt-60 Teletherapy Unit with a dose rate 84.3 r/min, field size 4×5 cm measured at 80 from source. Rats were serially sacrificed at the following postirradiation time intervals: 1, 3, 5, 7, 10, 14, 21, 28, 35, and 42days. At sacrifice, the parotid and submandibular glands were dissected out in toto, and stained with: 1) hematoxylin and eosin; 2) periodic acid Shiff; 3) toludine blue.

  • PDF

흰쥐 침샘의 방사선조사시 Apoptosis에 대한 Diltiazem과 Pentoxifylline의 효과 (The Effects of Diltiazem and Pentoxifylline on Apoptosis of Irradiated Rat Salivary Gland)

  • 양광모;서현숙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6권4호
    • /
    • pp.367-375
    • /
    • 1998
  • 목적 : 두경부에 방사선 조사를 받는 경우 대부분의 환자에서 구강 건조증을 겪게 된다. 이와 같은 구강 건조증은 침샘 세포의 소실에 의해 침이 생성되지 않거나 적게 생성되기 때문이다. 침샘 세포가 방사선 조사에 의해 소실되는 기전은 침샘 세포의 간기사망(interphase death) 혹은 apoptosis에 의한 직접 손상에 의해 발생된다는 것이 가장 가능성 있는 기전으로 알려져 있고 apoptosis는 세포내의 칼슘농도의 증가로 인해 일어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흰쥐 침샘의 방사선조사에서 칼슘통로 차단제인 diltiazem과 방사선의 급성반응에 작용하고세포 내 칼슘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pentoxifylline을 방사선조사 전에 투여하여 apoptosis 발생이 감소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체중 약 200-250g의 흰쥐 10마리를 대상으로 대조군, 방사선조사 단독군, 방사선 조사전 diltiazem 혹은 pentoxifylline을 투여군과 두 약제를 동시에 동시 투여군으로 나누었다. 방사선 조사는 침샘을 포함하는 두경부에 1600cGy를 단일 조사하고 diltiazem은 쥐의 체중 kg 당 30mg을 방사선조사 30분전, pentoxifylline은 쥐의 체중 kg 당 50mg을 방사선조사 20 분전에 복강내 투여하였다. 방사선조사 후 24시간에 쥐를 회생시켜 이하선과 악하선을 제거하여 hematoxylin-eosin 염색을 한 후 200배의 배율에서 무작위로 10-20곳을 선택하여 현미경시야당 전체 세포수(T)에 대한 apoptotic body의 수(A)의 백분율(A/TX100)을 구하여 각 군을 비교하였다. 결과 : 이하선에서 방사선단독, diltiazem, pentoxifylline 단독 투여군과 두약제의 동시 투여군에서 관찰된 apoptosis 백분율은 각각 1.72$\%$(8.35/486), 0.64$\%$(2.9/453), 0.23$\%$(1.2/516), 0.28$\%$(1.1/399)이였다. 방사선조사 단독군에 비해 약제 투여군에서 apoptotic body의 빈도는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감소를 보였다(p<0.05). 악하선의 장액성 세포에서 방사선조사단독군, diltiazem, pentoxifylline 단독 투여군과 두 약제의 병합 투여군에서 관찰된 apoptosis 백분율은 각각 1.94$\%$(l1/567), 0.34$\%$(1.9/554), 0.28$\%$(1.8/637), 0.22$\%$(1.3/601)이었고 방사선조사 단독군에 비해 약제 투여군에서 apoptotic body의 빈도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감소를 보였다(p<0.05). 점액성 세포에서 apoptosis 백분율은 각 군에서 0.92$\%$(5.1/552), 0.41$\%$(2.5/ 612), 0.29$\%$(1.3/455), 0.18$\%$(1.0/562)였다. 방사선조사 단독군에 비해 약제 투여군에서 apoptotic body의 발생 빈도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악하선의 장액성과 점액성 세포에서 방사선 단독 투여군의 경우 apoptotic body 발생의 백분율은 각각 1.94$\%$ (l1/567)와 0.92$\%$(5.1/552)로써 두 세포간에 apoptotic body의 발생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하선과 악하선 모두에서 약제 투여 군들간의 apoptotic body 발생은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고 특히 약제의 병합 투여군이 단일 약제 투여군 보다 낮은 apoptotic body 발생빈도를 보이고 있으나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로 침샘의 방사선 조사에서 장액성 세포에서 발생되는 apoptosis는 pentoxifylline 혹은 dlltiazem의 투여에 의해 효과적으로 감소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향후 이들 약제에 의한 apoptosis의 감소가 침샘의 만성변화에도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 져야겠다.

  • PDF

N-Nitrosodimethylamine이 흰쥐 설선의 Glycoconjugates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Prelectin 조직화학 (Prelectin Histochemistry for Effects of N-Nitrosodimethylamine on Glycoconjugates in the Rat Lingual Glands)

  • 조운복;조기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509-519
    • /
    • 1998
  • 발암물질인 NDMA 17m/kg을 경구 투여했을 때 흰쥐설 von Ebner선과 설 점액선의 glycoconjugates에 미치는 영향을 prelectin 조직화학법인 PAS반응, AB pH 2.5 염색법, AB pH 0.4 염색법, AB pH 2.5 -PAS 염색법, AF pH 1.7-AB pH 2.5 염색법 및 HID-AB pH 2.5 염색법으로 연구하였다. NDMA 투여군의 설 von Ebner선의 형태적인 주된 변화는 장액선포의 위축 및 파괴, 장액세포의 세포질 과립의 감소 및 소실, 세포질의 공포변성 그리고 도관상피세포의 점액화였으며 NDMA 투여후 12시간군부터 72시간군까지 현저하였다. NDMA 투여군의 설점액선의 주된 형태적 변화는 점액선포의 확장, 융합, 파괴 및 점액세포의 세포질의 과립 소실 및 공포변성, 도관상피의 점액화 등이었으며 NDMA 투여후 12시간군부터 72시간군까지 현저하였다. 설 von Ebner선의 neutral glycoconjugates가 대조군에 비해 NDMA 투여후 12시간군과 72시간군에서 현저히 감소되었으며 NDMA 투여후 96시간군후에 회복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대조군에서 나타나지 않던 acidic glycoconju-gates가 NDMA 투여후 6시간군부터 48시간군, 그리고 120시간군에서 약간의 장액세포들에서 나타났다. 설 점액선의 neutral glycoconjugates와 acidic glycocon-jugates가 대조군에 비해 NDMA 투여후 3시간군, 24시간군, 48시간군에서 다같이 현저히 감소되었으며, 후자는 NDMA 투여후 72시간군에 아주 현저히 감소하였다. Aci-dic glycoconjugates중 sulfated glycoconjugates는 대조군에 비해 NDMA 투여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NDMA 투여후 72시간군에 가장 현저한 감소를 나타내는데 비해 sialic glycoconjugates는 NDMA 투여후 3시간군, 12시간 군 및 48시간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DA-6034 Induces $[Ca^{2+}]_i$ Increase in Epithelial Cells

  • Yang, Yu-Mi;Park, Soonhong;Ji, HyeWon;Kim, Tae-Im;Kim, Eung Kweon;Kang, Kyung Koo;Shin, Dong Mi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8권2호
    • /
    • pp.89-94
    • /
    • 2014
  • DA-6034, a eupatilin derivative of flavonoid, has shown potent effects on the protection of gastric mucosa and induced the increases in fluid and glycoprotein secretion in human and rat corneal and conjunctival cells, suggesting that it might be considered as a drug for the treatment of dry eye. However, whether DA-6034 induces $Ca^{2+}$ signaling and its underlying mechanism in epithelial cells are not known.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mechanism for actions of DA-6034 in $Ca^{2+}$ signaling pathways of the epithelial cells (conjunctival and corneal cells) from human donor eyes and mouse salivary gland epithelial cells. DA-6034 activated $Ca^{2+}$-activated $Cl^-$ channels (CaCCs) and increased intracellular calcium concentrations ($[Ca^{2+}]_i$) in primary cultured human conjunctival cells. DA-6034 also increased $[Ca^{2+}]_i$ in mouse salivary gland cells and human corneal epithelial cells. $[Ca^{2+}]_i$ increase of DA-6034 was dependent on the $Ca^{2+}$ entry from extracellular and $Ca^{2+}$ release from internal $Ca^{2+}$ stores. Interestingly, these effects of DA-6034 were related to ryanodine receptors (RyRs) but not phospholipase C/inositol 1,4,5-triphosphate ($IP_3$) pathway and lysosomal $Ca^{2+}$ stor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A-6034 induces $Ca^{2+}$ signaling via extracellular $Ca^{2+}$ entry and RyRs-sensitive $Ca^{2+}$ release from internal $Ca^{2+}$ stores in epithelial cells.

Cholinergic and Neurokinergic Agonist-induced $Ca^{2+}$ Responses in Rat von Ebner's Gland Acinar Cells

  • Chung, Ki-Myung;Kim, Sang-Hee;Cho, Young-Kyung;Roper, Stephen D.;Kim, Kyung-N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31권3호
    • /
    • pp.99-105
    • /
    • 2006
  • Von Ebner's glands (vEG) are minor salivary glands associated with circumvallate and foliate papilla. The secretions of vEG consist of microenvironment of the taste buds in the circumvallate and foliate papillae, and thus saliva from vEG plays a role in the perception of taste. The $Ca^{2+}$ signaling system in rat vEG acinar cell was examined using the $Ca^{2+}$-sensitive fluorescent indicator Fura-2. Agonist-induced increase in intracellular $Ca^{2+}\;([Ca^{2+}]_i)$ was stimulated by carbachol (CCh) and substance P (SP), but not by norepinephrine (NE), and recovered to control levels by their receptor antagonists dose-dependently. The effects were also observed in $Ca^{2+}$-free medium, suggesting mobilization from intracellular $Ca^{2+}$ store. These results in the vEG acinar cell indicate that 1) $[Ca^{2+}]_i$ is at least regulated by muscarinic and neurokininergic (NK1) receptors; 2) the increases in $[Ca^{2+}])i$ activated by CCh and SP are mainly mediated by discharge of cytosolic calcium pool.

방사선조사가 흰쥐의 악하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현미경적 연구 (An Microscopic Study of the Irradiation Effect on the Submandibular Glands of the White Rat)

  • 김명수;임청환;김창희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26권3호
    • /
    • pp.41-49
    • /
    • 2003
  • 두 경부 악성종양 치료를 위한 방사선조사가 정상 타액선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체중 100 gm 내외의 sprague dawley종 암컷흰쥐 42마리를 대조군, 실험 1, 2군으로 분류하고 대조군은 6마리, 실험군은 18마리씩 나누어, CLINAC 2100 C-D 6 MV X-RAY를 사용하여 조사거리 100 cm분당 100 cGy로 실험군 흰쥐의 두 경부에 조사시켜 희생시킨 후 통법에 따라 현미경 표본을 제작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악하선의 소포세포의 손상은 분할조사의 양이 증가할수록 심하였으며 12 Gy군은 매우 경미한 손상을 보이는데 비해 24 Gy군은 심한 손상을 야기하였다. 2. 악하선의 소포세포는 핵의 다형태성, 분비과립의 감소와 다형태성, 과립형질내세망의 확장, 사립체의 팽창과 창백, 골지체의 확장 등이 관찰되었다. 3. 방사선감수성이 예민한 순서는 장액세포, 장점액세포, 분비소관세포의 순이었다. 4. 도관상피세포 및 점액세포에는 중요한 변화가 없었다. 5. 모든 실험군을 통하여 미세혈관의 손상 소견이 없어 미세혈관 손상이 타액선에 조기 손상을 유발시키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방사선 조사가 백서 악하선 줄무늬관세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투과전자현미경적 연구 (AN ELECTRON MICROSCOPIC STUDY OF THE IRRADIATION EFFECTS ON THE STRIATED DUCT CELLS OF THE SUBMANDIBULAR GLAND IN RATS)

  • 이규찬;이상래
    • 치과방사선
    • /
    • 제20권2호
    • /
    • pp.171-182
    • /
    • 199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rradiation on the striated duct cells of the rat submandibular gland ductal tissues which control the characteristics of saliva. For this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mposed of 36 irradiated Sprague Dawley strain rats divided into 8 subgroups 1 hour, 2 hours, 3 hours, 6 hours, 12 hours, 24 hours, 48 hours, 72 hours after irradiation. 4 non-irradiated rats were used as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animals were singly irradiated with a dose of 18Gy gamma ray to their head and neck region by the Co-6- teletherapy unit and sacrificed after each experimental duration. The specimens were examined with a light microscope with an H-E stain and with a trans- mission electron microscop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 the light micrograph, a severe atrophic change occurred in the striated duct cells at 2hours after irradiation and gradual recovery occurred from 6 hours after irradiation. 2. The nuclear chromosomes of the striated duct cells were changed granular at 2 hours after irradiation. Recovery was observed at 6 hours after irradiation. Nuclear bodies were also observed from 3 hours after irradiation. 3. The mitochondria of the striated duct cells had indistinct cristae at 2 hours after irradiation, and were degenerated or swollen at 3 hours after irradiation. They recovered, however, from 6 hours, with an increasing number at 48 hours and a regular arrangement was observed at 72 hours after irradiation. 4. The microvilli showed atrophic changes at 2 hours after irradiation and were almost lost at 3 hours after irradiation. They were observed again from 48 hours after irradiation. 5. The rough endoplasmic reticulum and golgi body were not apparent at 1 hour after irradiation and were dilated with degeneration 2 hours after, but intact rough endoplasmic reticulum were observed from 3 hours after irradiation and developed well at 24 hours after irradiation. By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ing a mild change in the functional morphology of the salivary striated duct cells immediately following irradia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many complications which occur after radiation therapy, will disappear in time with the histological and the functional recovery of the glandular tissues.

  • PDF

급만성 스트레스가 백서 악하선의 Clusterin 분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ronic and Acute Stress on Clusterin Secretion of the Rat Submandibular Gland)

  • 진상배;전양현;홍정표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1권1호
    • /
    • pp.79-89
    • /
    • 2006
  • 구강 내에 발생되는 질환의 대부분이 타액의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과 타액에 영향을 주는 전신적인 요소 중에서도 스트레스가 중요하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져 있으나, 스트레스가 타액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는 자율신경에 의한 거시적 반응에 대하여만 소개가 되었을 뿐 세포수준의 미시적 변화에 대하여는 별다른 언급이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스트레스 조건하에서 백서의 악하선이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지를 clusterin 의 발현양상을 관찰함으로써 유추해보고자 하였다. 부여할 스트레스 조건을 급성 구속스트레스와 만성 저강도 스트레스의 두 가지로 정하고 7주된 Sprague-Dawley계 웅성백서 51마리를 사용하여 정해진 기간동안 급성 구속스트레스와 만성 저강도 비예측성 스트레스 (CUMS)를 가한 후 희생하여 악하선을 절취하고 역시 면역조직화학법과 웨스턴 면역점적법을 이용하여 악하선에서 clusterin발현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급성 구속스트레스 군에서, Clusterin 이 발현된 모든 선포의 합은 1시간 군을 제외한 모든 실험군 (9시간, 24시간, 72시간, 120시간, 그리고 168시간 군) 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p<0.001). 2. 만성저강도스트레스 군에서, 대조군에 대한 clusterin이 발현된 모든 선포의 합은, 2주군(p<0.01)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되는 모습을 보여주었고, 4주군(p<0.01)과 5주군(p<0.001)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3. 만성 저강도 스트레스 실험에서 4주째까지는 대조군과 실험군간의 당선호도 차이에 있어서 유의한 변화가 보이지 않았으나, 5주째에 유의성 있는 감소를 나타내었다(p<0.001). 4. 만성 저강도 스트레스 부여군은 5주째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는 체중변화(p<0.001)를 보여주었으나, 수분섭취량의 변화는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보여주지 못하였다. 5. 면역점적검사를 시행한 결과, 구속스트레스 군에서는 clusterin의 발현이 시간에 따라 일정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표현되었고, CUMS 군에서는 2주째까지는 증가하다가 3주 이후부터 실험 전기간에 걸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당선호도 및 몸무게 변화의 양상의 변화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따라서 위의 실험결과를 놓고 볼 때, 타액선 clusterin의 발현이 급성과 만성에 관계없이 스트레스 부여 후에 감소하였지만, 다른 문헌에서 제안된 것처럼 clusterin 의 고갈에 의한 세포자사적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향후 보다 강화된 강도의 급성스트레스를 부여하는 방법과 더 장기적으로 진행된 연구를 통하여 고강도 스트레스에서 clusterin의 발현감소와 함께 세포의 변성이나 자사가 초래되는지, 저강도 스트레스의 경우 장기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원래의 상태에 가깝게 회복되는지, 다른 열 충격 단백질이나 세포 사멸 시에 나타나는 단백질들을 동시에 확인하여 보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DMBA 매식과 방사선 조사로 유도된 백서 타액선 종양에서 H-ras 암유전자의 활성화 (ACTIVATION OF H-RAS ONCOGENE IN RAT SALIVARY GLAND TUMORS INDUCED BY DMBA AND IRRADIATION)

  • 허기수;최종환;최순철;박태원;유동수
    • 치과방사선
    • /
    • 제28권1호
    • /
    • pp.245-259
    • /
    • 1998
  • Cellular transforming genes have been identified in a number of different tumor cell lines and tumor types. A significant number of these oncogenes belong to the ras gene family. The ras gene family consists of three closely related genes:H-ras, K-ras and N-ras which code for a related 21 kDa protein. Mutations in codon 12, 13 and 61 of one of the three ras genes convert these genes into acute oncogenes. The presence of H-ras gene mutations has important prognostic implications in various tumors. Each genomic DNA was isolated from tumors induced by implantation with DMBA, or by treatment with DMBA -implantation/irradiation. When genome DNA was transfected into NIH 3T3 cells and investigated by two-step PCR-RFLP, the fOllowing results were concluded: 1. Transformation foci developed in two groups when the genome DNA of two experimental groups were transfected into NIH 3T3 cells. 2. Transformation efficiency was 0.01-0.02 foci/㎍DNA i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the DMBA-implantation, 0.01-0.03 foci/㎍lgDNA i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the DMBA-implantation/irradiation according to results of transfection assay. 3. When the point mutation of H-ras gene was investigated by a two-step PCR-RFLP, there was 13.9% (5/36) i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the DMBA implantation, 15.4 % (6/39) i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the DMBA -implantation/irradiation. 4. The point mutation in codon 12 and 61 of H-ras was 5.6%(2/36) and 8.3%(3/36) i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the DMBA implantation. 5. The point mutation in codon 12 and 61 of H-ras gene was 7.7%(3/39) i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the DMBA -implantation/irradi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