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as Mapper

Search Result 6,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Comparison of Flood Inundation Models using Topographic Feature (지형요소를 이용한 홍수범람해석 모형의 비교)

  • Moon, Changgeon;Lee, Jungsik;Cho, Sunggeun;Shin, Shachul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5 no.1
    • /
    • pp.69-77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flood inundation models for small stream basin. HEC-RAS model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one dimensional hydraulics and HEC-GeoRAS, Ras Mapper and RiverCAD models were applied for the flood inundation analysis in Gum Chung stream. Flood inundations are to simulate by flood inundation models using observed data and rainfall on each frequency and to compare with inundation area based on the flood plain ma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rea of flood inundations by HEC-GeoRAS model is similar to that of flood plain map and appears in order of RAS Mapper and RiverCAD model. Flood inundation area by RiverCAD model is to estimate lager than that of RAS Mapper and HEC-GeoRAS model in flood area on each frequency and the results show that they have a little difference in models of flood inundation analysis at small stream. Comparing the area of flood inundations by flood depth, the results of three models are relatively similar in flood depth as 2.0 m below, and RiverCAD model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lood depth as 2.0 m or more.

Flooding Area Estimation by Using Different River Topographic Maps (하천지형 구축 방법에 따른 홍수 시 예상 침수면적 산정)

  • Moon, Changgeon;Lee, Jungsik;Shin, Shachul;Son, Hogeun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7 no.9
    • /
    • pp.21-28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three areas that each estimated by using three different river topographic maps. For construction of river topographic maps, the data used in this study are ASTER, SRTM and a 1:5,000 scale digital map data sets in 14 streams of the Cheongdo-gun and Uiseong-gun. HEC-GeoRAS, RAS Mapper, and RiverCAD model are applied for the flooding area analysis using observed data and design rainfalls. The result of analysis is to compare observed flooding area based on the flood plain maps with estimated inundation area by hydraulic models and constructed river topographic ma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looding area by HEC-GeoRAS model is similar to the inundation area of flood plain map and appears in order of RAS Mapper, and RiverCAD model in all watersheds. Flood inundation area by SRTM DEM is similar to the result of 1:5,000 scale digital map in all watersheds and all analysis models. The SRTM DEM shows the most similarity to the digital map than ASTER DEM in all of the watershed scale and analysis models. HEC-GeoRAS and RiverCAD model are efficient models for flood inundation analysis in small watershed and HEC-GeoRAS and Ras Mapper model are efficient in medium to large watershed.

Flood hazard analysis by using HEC-RAS 2D and Mapper Model based on: Bulgab Reservoir (HEC-RAS 2D 및 MAPPER 모형을 이용한 홍수범람 해석: 불갑저수지 중심으로)

  • Yu, Chang Hwan;Shin, Jae Sung;Oh, Yeun K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54-254
    • /
    • 2019
  • 최근 가속화되는 온난화와 이상기후 현상으로 인하여 전 세계적으로 홍수 및 가뭄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기상이변으로 인한 집중호우 및 이상강우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이유로 하천 제방월류 및 댐 구조물의 붕괴 등 다양한 홍수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댐 구조물의 경우 붕괴 시하류에 직접적인 재산 및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정확한 해석이 필요하다. 기존의 댐 붕괴로 인한 하류하천 영향 및 홍수범람해석의 경우 하류하천 지형 및 기하학적 환경을 고려하지 못한 1차원적 해석에 그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남 영광군에 위치한 불갑저수지를 대상으로 1:5000 DEM 및 하천측량 자료를 적용하여 GIS Tool인 HEC-RAS Mapper를 구성하기 위한 하류지역의 기하학적 자료(Terrain MAP)를 추출하였으며, 미국 공병단에서 개발한 HEC-RAS 2D 모형을 이용하여 댐 구조물 붕괴 시 하류영향 및 홍수범람도를 작성하였다. 댐 붕괴에 따른 유출수문곡선을 유도하기 위해서 도면과 보고서를 참고하여 붕괴지속기간, 붕괴부 평균폭의 변화에 따른 다양한 모의를 수행하였으며, 각각의 조건들이 붕괴파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댐 직하류를 포함함 전 구간에서 범람현상이 발생되었으며 하도의 특성 및 구조물의 영향으로 구간별 침수심이 다르게 분포되었다(3.0~5.1m). 또한 하류로 진행되며 홍수파 및 침수심의 영향은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댐 직하류에 유입된 붕괴유출량이 제내지로 확산되어 하류지역의 홍수파 에너지가 감소되는 것으로 이러한 결과는 실제하천에서 일어날 수 있는 현상이며 제내지의 홍수범람을 양상이 반영된 결과로 판단된다. 향후 이러한 2D 범람해석 결과를 토대로 보다 더 세밀한 유역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홍수 범람해석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Inhabiting Environment of Wetland using Inundation Analysis (침수분석을 통한 습지 서식환경분석)

  • Kim, Jung-Wook;Jung, Jae-Won;Choi, Young-Joo;Kim, H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221-222
    • /
    • 2016
  • 습지는 생태자원의 보고로 다양한 생물종의 서식지를 제공하며, 습지 생태계는 어느 생태계보다 생산성이 높다. 습지는 잦은 수위변동으로 인해 습지의 식물은 수위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따라서, 식물종의 특징과 최적의 생육환경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수위에 따른 식물의 서식환경을 분석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생태계가 잘 발달되어 있는 남한강의 비내섬 습지에 대해 유황분석을 하였고 유황에 따른 유량을 모의하였다. 모의된 유량과 HEC-RAS 모형을 이용하여 유황별 홍수위를 산정하였으며, RAS Mapper를 이용하여 침수심과 침수구역을 모의하였다. 이를 통해 침수심에 영향을 많이 받는 식물의 서식환경을 분석하였다. 버드나무군락은 침수가 발생하지 않는 지역 및 0~0.8m의 침수심, 물억새군락은 침수가 발생하지 않는 지역 및 0~0.4m의 침수심, 쑥-망초군락과 달뿌리풀군락은 0~0.4m의 침수심, 그리고 환삼덩굴군락은 0~0.8m의 침수심이 발생하는 지역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황에 따른 침수심에 대한 식생서식환경을 분석한 것으로 식생을 고려한 인공습지 조성이나 하천설계에 있어 기초적인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Analysis between Plant Habitat and Inundation Depth in Binae Wetland (비내섬 습지 식생서식환경과 침수심의 연계분석에 대한 연구)

  • Kim, Jung Wook;Hong, Seung Jin;Kim, Yon Soo;Lee, Dae Wung;Kim, H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50-550
    • /
    • 2015
  • 습지는 다양한 생물종의 서식지를 제공하고 있다. 습지는 물과 영양분이 충분하기 때문에 식물이 서식하기 좋을 것 같지만 실제적으로 습지에서는 잦은 수위변동이 발생하므로 습지에서 식물은 생리적으로 가혹한 환경에 처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습지 식물은 서식하는데 있어 수위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고 할 수 있으며 습지 조성 및 관리에 있어 습지 식물의 서식환경을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습지 식물종의 특징과 최적의 생육환경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식생서식환경을 침수심과 연계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식물 군락이 잘 발달되어 있는 남한강의 비내섬 습지에 대해 유황분석을 수행하였고, 유황에 따른 유량을 모의하였다. 모의된 유량과 HEC-RAS 모형을 이용하여 유황별 홍수위를 산정하였다. 또한 RAS Mapper를 이용하여 침수심과 침수구역을 모의하고, 이를 통해 여러 생물군 중 침수심에 영향을 많이 받는 식물의 서식환경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버드나무군락은 침수가 발생하지 않는 지역 및 0~0.8m의 침수심, 물억새군락은 침수가 발생하지 않는 지역 및 0~0.4m의 침수심, 쑥-망초군락과 달뿌리풀군락은 0~0.4m의 침수심, 그리고 환삼덩굴군락은 0~0.8m의 침수심이 발생하는 지역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유황에 따른 침수심에 대한 식생서식환경을 분석한 것으로 식생을 고려한 인공습지 조성이나 하천설계에 있어 기초적인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되며 보다 더 정확한 연구를 위해서는 장기모니터링을 통한 식생 자료의 축적 및 더 효과적인 수위-식생 연계분석 방법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 Automated OpenGIS-based Tool Development for Flood Inundation Mapping and its Applications in Jeju Hancheon (OpenGIS 기반 홍수범람지도 작성 자동화 툴 개발 및 제주 한천 적용 연구)

  • Kim, Kyungdong;Kim, Taeeun;Kim, Dongsu;Yang, Sungkee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9 no.6
    • /
    • pp.691-702
    • /
    • 2019
  • Flood inundation map has various important roles in terms of municipal planning, timely dam operation, economic levee design, and building flood forecasting systems. Considering that the riparian areas adjacent to national rivers with high potential flood vulnerability conventionally imposed special cares to justify applications of recently available two- or three-dimensional flood inundation numerical models on top of digital elevation models of dense spatial resolution such as LiDAR irrespective of their high costs. On the contrary, local streams usually could not have benefits from recent technological advances, instead they inevitably have relied upon time-consuming manual drawings or have accepted DEMs with poor resolutions or inaccurate 1D numerical models for producing inundation maps due mainly to limited budgets and suitable techniques. In order to efficiently and cost-effectively provide a series of flood inundation maps dedicatedly for the local streams, this study proposed an OpenGIS-based flood mapping tool named Open Flood Mapper (OFM). The spatial accuracy of flood inundation map derived from the OFM was validated throughout comparison with an inundation trace map acquired after typhoon Nari in Hancheon basin located in Jeju Island. Also, a series of inundation maps from the OFM were comprehensively investigated to track the burst of flood in the extreme flood ev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