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re birds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9초

한국산 희귀조류 수 종에 대한 중금속 축적 (Heavy Metal Accumulation in Some Korean Rare Bird Species)

  • 이두표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7권3호
    • /
    • pp.141-146
    • /
    • 2004
  • 본 연구는 여러 가지 원인으로 사망한 한국산 희귀조류 4목 16종 76개체를 이용하여 납과 카드뮴의 조직 축적레벨을 밝히고 오염수준을 비교 검토하였다. 남의 경우 전반적으로 간보다 신장과 뼈에서 높은 농도를 나타냈다. 간조직에는 평균농도는 0.47 ㎍/wet g(큰고니 Cygnus cygnus)∼3.74 ㎍/et g(쇠부엉이 Asio flammeus)의 범위를 나타냈고, 납의 독성 여부를 수준별로 보면 비오염수준인 2 ㎍/wet g 이하에 해당하는 개체가 51.3%(39개체), 오염수준이 10 ㎍/wet g 이상에 해당하는 개체가 2.6%(2개체)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당수의 한국산 희귀조류가 만성적인 납 오염에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카드뮴의 경우 신장조직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간과 뼈에서는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신장조직에서의 평균농도는 0.06 ㎍/wet g(수리부엉이)∼1.75 ㎍/wet g(새홀리기 Falco subbuteo)의 범위를 나타냈고 소쩍새 1개체를 제외하고 모두 비오염 수준에 해당하였다.

콜로이드 은과 희토류 원소의 첨가가 육계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Colloidal Silver and Rare Earth Elements on Growth Performance in Broilers)

  • 조종관;김진수;윤구;김영우;김광현;권일경;채병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8
    • /
    • 2010
  • 본 연구는 사료 중 콜로이드 은(colloidal silver) 또는 희토류 원소(rare earth elements, REE)의 첨가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영양소 소화율, 도체성상, 골격 성분 함량 및 강도와 면역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것이다. 1일령 Ross종 육계 병아리(체중 39~40 g) 3,872수를 공시하여 무첨가 대조구, 콜로이드 은 20 ppb 첨가구, 희토류 원소 500 ppm 첨가구와 콜로이드 은 20 ppb+희토류 원소 500 ppm 혼합 첨가구의 4처리구에 4반복으로 반복당 242수씩 완전 임의 배치 급여하여 5주간 사양 시험을 실시하였다. 전체 시험 기간(5주)동안의 증체량에서는 희토류 원소를 함유한 두 처리구에서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1) 사료 섭취량과 사료 효율에서는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건물 소화율과 조단백질 소화율에서는 콜로이드 은 20 ppb+희토류 원소 500 ppm 혼합 첨가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p<0.05), 조지방과칼슘의소화율에서도콜로이드은20 ppb+희토류 원소 500 ppm 혼합 첨가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인의 소화율에서는 콜로이드 은 첨가구에서 다른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뼈의 강도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뼈의 건물 함량은 콜로이드 은 20 ppb+희토류 원소 500 ppm 혼합 첨가구에서 다른 처리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p<0.05), 인의 함량은 희토류 원소 단독 급여시에 높게 나타났다(p<0.05). 도체성상과 면역 반응 조사에서는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 희토류 원소의 단독 첨가와 콜로이드 은과 희토류 원소의 혼합 첨가는 육계의 생산성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반도의 비무장지대를 통과하는 겨울철새의 이동경로에 대한 연구 (A study of wintering migratory birds passing through Demilitarized Zone in Korea)

  • 이상돈;정지향;히로요시 히구찌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89-95
    • /
    • 2005
  • Understanding of routes of migratory birds are important subject for conservation of avifauna. Korea Demilitarized zone (DMZ)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stopover for migratory birds that pass in the Korean peninsula. This region has been known internationally as an excellent nature preservation areas since 1953. Rare and endangered animal species such as leopards (Pathera pardus) and Siberian tigers (Panthera tigris) have increased in population. Furthermore this areas provide home for endangered migratory birds including white-naped (Grus vipio) and red-crowned cranes (G. japonensis). Recent satellite-tracked crane species has shown the importance and linkages between a small number of habitat sites in DMZ. White-naped cranes were satellite tracked 9 individuals spent 27-78% of their time in Panmunjum and 10-75% in Cheolwon. This signifies the rich feeding sites with relatively little disturbance thus making the DMZ extremely valuable as a stopover.

  • PDF

희토원소 세륨과 란타늄의 첨가가 육계 생산성, 영양소 소화율, 도체 성상과 육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Cerium and Lanthanium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Colors in Broilers)

  • 조종관;윤구;김영우;김진수;김광현;권일경;채병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79-286
    • /
    • 2009
  • 본 연구는 희토 성분인 Ce(cerium)과 La(lanthanium)의 단독 또는 혼합 급여가 실용 육계의 생산성, 영양소 소화율, 골격성분, 그리고 도체 성상과 육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1일령 Hubbard종 암평아리(체중 45 g) 1,600수를 공시하여 4처리 4반복으로 반복당 100수씩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4개 처리구는 T1, 무첨가 대조구; T2, Ce 100 ppm 첨가구; T3, La 100 ppm 첨가구; T4, Ce 100 ppm과 La 100 ppm 혼합 첨가구로 하였으며, 전기(0~3주)와 후기(4~5주)로 나누어 5주간의 사양 시험을 실시하였다. 전기의 증체량은 T4에서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다소 높았으며, 대조구에 비해서는 유의하게 높았다(p<0.05). 전체 기간에서도 T4의 증체량이 가장 높았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p>0.05). 사료 섭취량은 각 단계 및 전체기간에서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사료 요구율은 전기에서 T4가 T3에 비하여 개선되었으며(p<0.05), 후기에는 각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지만(p>0.05) 전체기간으로 볼 때 T4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개선되었다(p<0.05.). 소화율에서 건물 소화율은 T3에서 가장 높았으며(p<0.05) T2와 T4도 대조구에 비하여 개선되었다(p<0.05). 조단백질 소화율은 T3가 가장 높았으며(p<0.05), T2에서도 대조구에 비해 개선되었다(p<0.05). 조회분, 에너지, 칼슘과 인의 소화율도 T3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뼈의 성분 분석에서 칼슘의 함량은 Ce과 La을 급여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지만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p>0.05), 도체 성상 조사와 육색의 측정에서도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본 연구의 결과, 육계 사료내 La의 첨가는 영양소 소화율을 뚜렷하게 개선하였다. 또한 육계 사료내 Ce과 La의 첨가는 육계의 소화율을 개선시켰으며, 육성 초기의 증체량과 사료 요구율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도서생물지리학 관점에서 본 우리나라 도서지역의 조류에 관한 연구 (Studies of Avian Species in the Islands of Korea based on the Theory of Island Biogeography)

  • 이상돈
    • 환경영향평가
    • /
    • 제19권6호
    • /
    • pp.547-552
    • /
    • 2010
  • The theory of island biogeography has influenced strongly on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issues of species diversity in the islands. The theory has not limited to islands in the ocean, but expanded to isolated and fragmented areas in the forests and urban. This study has a rare opportunity to explore the species diversity and abundance of birds in the islands of Korea. A total of 151 islands in the west and south areas in the Korean peninsula were examined. The number of species and the area of islands were highly significant (P<0.000) and the number of species and the distance from the mainland showed not so strong relationship. This indicated that bird species diversity has more influenced by the size of the islands not the distance. This can be from the study species of birds that can fly long distance, and also natural characteristics of migratory and resident status. Species-area curve showed that the z-value was 0.21 indicating the area and the bird species are strongly correlated. The long-term monitoring of bird species presence in the islands should be followed for a proper management plan.

Infection by a Filarial Nematode from the Family Onchocercidae in the Wild Bird Anas falcata

  • Kim, Young Ji;Jang, Jin Ho;Kim, Min Chan;Park, Young-Seok;Kim, Hye Kwon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of the Republic of Korea
    • /
    • 제3권4호
    • /
    • pp.221-226
    • /
    • 2022
  • A filarial nematode was found in a blood sample of an Anas falcata individual collected in South Korea in 2018.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partial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COI) sequences placed the nematode as a novel genus of the family Onchocercidae and as closely related to Mansonella species, Chandlerella quiscali, and filarial nematodes recently reported in avian species. However, different phylogenetic relationship was observed in the NADH dehydrogenase subunit 5 and 12S rRNA-based phylogenetic trees, which might indicate the filarial nematode found in this study was not defined to belong to the known specific genera of the family Onchocercidae. The screening of 105 additional avian blood samples retrieved only one 12S rRNA-target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positive sample, which indicates that filarial nematode infection is rare in wild birds or that it occurs below the detection limit of PCR in blood samples. Nevertheless, considering the recent findings about ancient interactions between birds and human pathogenic filarial nematodes and their pathogenic potential in several avian species, additional exploration of novel filarial nematodes in wild birds remains necessary.

주남저수지의 보전원칙 및 대책 (Principle of Conservation and Counterplan in Junam Reservoir)

  • 윤성윤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45-50
    • /
    • 1999
  • Junam reservoir is 1,800,000 pyung of marsh waters. Various migration birds choose to spend their winters at Junam because of its mild climate. Since many rare bird species coexist around this reservoir, which is increased in concern. At the side of residents of Junam reservoir, development opinion is park, This area must be sustainable development so that original function of reservoir may maintain The development direction hope that Junam reservoir's residents increase of the life style and of the income.

  • PDF

육계의 성장 촉진을 위한 사료 첨가제로서의 희토(稀土) (Rare Earth as a Feed Additive for Broiler Growth)

  • 함숙경;송태화;짱광친;허삼남;박홍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33-238
    • /
    • 2006
  • Lanthanum을 비롯한 17가지 특수 원소를 일컬어 희토(rare earth)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육계사료에 희토의 첨가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2회의 사양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에 이용한 희토는 순도 99% 이상의 염화 희토 혼합물$(RECl_3)$$LaCl_3$ 36.52%, $LaCl_3$ 28.14%, $PrCl_3$ 11.24%, 그리고 기타 희토원소 24.11%로 구성된 흰색 분말 형태이었다. 희토 급여 사육기간은 5주간이었으며,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희토 급여가 육계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지, 유해성은 없는지, 그리고 적정 사료 첨가 수준을 구명하였다. 육계의 복강 지방 축적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첫 번째 사양 시험에서는 시판 배합 사료에 대한 희토 첨가 효과를 검토하였다. Cobb육계 1일령 병아리 360수를 사용하였으며, 사료에 희토를 0, 100, 200, 400, 800, 그리고 1,600 mg/kg 수준으로 첨가하였다. 육계의 성장은 희토 100 mg/kg 첨가 수준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증체량은 대조구에 비해 8.9%가 증가하였고(1,669.9 vs. 1,533.8 g/chick), 사료 요구율도 낮았다(p<0.05). 희토는 1,600 mg/kg 수준으로 매우 높게 급여할지라도 성장이 저해되지 않았으며, 대조구와 같은 증체와 사료 요구율을 보였으므로, 과다 급여에 의한 중독증은 없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두 번째 사양 시험은 실험 1의 결과에서는 육계사료에서 성장능력의 극대화를 위한 희토의 적정 첨가 수준이 $100\sim200mg/kg$으로 예측되었으므로 좀더 근접한 적정 수준을 알아보고자 희토를 0, 50, 100, 150 mg/kg 수준으로 첨가하였다. 시험 사료는 시판 사료에 있을 수 있는 항생제나 기타 성장 촉진용 사료 첨가제를 첨가하기 위하여 자가 배합하였으며, Ross육계 1일령 병아리 360수를 이용하였다. 시험 결과 희토 50 mg/kg의 첨가가 증체량과 사료 요구율에서 대조구나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월등히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이 시험에서는 첫 번째 시험에서 보이지 않았던, 생체중에 대한 복강 지방 비율이 현저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본 실험 결과 육계사료에 희토의 첨가는 육계의 성장을 촉진하였으며, 사료 요구율 개선하였다. 이외에도 복강지방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지만 일관성이 없었으므로 추후의 연구가 필요하다.

한국산(韓國產) 산림조류(山林鳥類)의 서식생태(棲息生態) - 지리산지역(智異山地域)을 중심(中心)으로 - (Ecology of the Forest Birds in Mt. Chiri, Korea)

  • 최재식;김재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2호
    • /
    • pp.162-176
    • /
    • 1991
  • 산림조류(山林鳥類)의 유치증식(誘致增殖)에 기여(寄與)할 목적(目的)으로 1986년(年) 11월(月)부터 1989년(年) 12월(月)까지 지리산(智異山)에 표고별(標高別)로 인공(人工)새집을 가설(架設)하여 이를 이용(利用)하는 조류상(鳥類相)과 번식생태(繁殖生態)를 조사(調査)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지리산(智異山)에서 관찰(觀察)된 조류(鳥類)는 총(總) 59종(種) 2,403개체(個體)로서 특(特)히 표고(標高) 1,400m 지역(地域)에서 희귀조류(稀貴鳥類)인 바위종다리 13개체(個體)와 천연기념물(天然紀念物)인 황조롱이, 솔부엉이, 올빼미 등(等)이 관찰(觀察)되었다. 2. 표고별(標高別) 조류(鳥類)의 서식구조(棲息構造)는 되새의 우점도(優占度)(41.33%)가 가장 높았으며 종다양도(種多樣度)는 표고(標高)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傾向)이었고 유사도지수(類似度指數)는 표고(標高)가 높은 지역간(地域間)에 유사성(類似性)이 있었다. 3. 주요수렵조류(主要狩獵鳥類)인 꿩과 멧비둘기가 표고(標高) 900m지역(地域)에까지 나타나서 특(特)히 수직적(垂直的) 서식한계(棲息限界)가 높았다. 4. 인공(人工)새집을 이용(利用)하는 조류(鳥類)는 소형조류(小型鳥類)인 박새, 진박새, 쇠박새, 곤줄박이, 동고비 등(等)으로서 특(特)히 산림(山林)이 울창한 지역(地域)보다 물과 먹이가 풍부(豐富)한 임연(林緣)이나 등산로변(登山路邊) 등(等)에 가설(架設)한 인공(人工) 새집을 많이 이용(利用)(92.5%)하였다. 5. 표고별(標高別) 이용율(利用率)은 500m지역(地域)은 86%, 900m지역(地域)은 96%, 1,400m지역(地域)은 98%, 1,700m지역(地域)은 90%였다. 6. 표고별(標高別) 번식률(繁殖率)은 6%~46%로서 지역간(地域間)의 차이(差異)가 많았으며 가장 많이 번식(繁殖)한 조류(鳥類)는 곤줄박이였는데 이의 산란기간(產卵期間)은 표고(標高) 500m지역(地域)에서는 4월(月) 15일(日)부터 5월(月) 22일(日)(n=22)까지였고 표고(標高) 1,700m지역(地域)에서는 13일(日)이 늦은 4월(月) 28일(日)부터 5월(月) 27일(日)(n=13)까지였다. 7. 4개지역(個地域)의 인공(人工)새집에서 번식(繁殖)한 곤줄박이와 동고비 등(等) 5종(種)의 유조(幼鳥)의 식이물(食餌物)은 거미류(類)(8.7%)를 제외(除外)한 참나무재주나방과 명나방 등(等)의 해충류(害蟲類)(91.3%)였다.

  • PDF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wintering raptors in the Korean peninsula

  • Lee, Sangdo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6권4호
    • /
    • pp.211-216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wintering raptors in Korea during 2000-2007 which is a rare data set for covering large landscape areas. Total 6,643 raptors of 16 species were recorded at 94 different points in west, south and east coasts, and rivers of inland areas all over Korea. During the study period, the most abundant raptors were black vulture (Aegypius monachus, 62.3%), common kestrel (Falco tinnunculus, 11.0%) and common buzzard (Buteo buteo, 10.0%), and these 3 birds were dominant species in inland areas and also considered as resident species except for black vulture. Also, there was a difference among 5 different habitat types. Black vultures were most found in estuaries whereas common buzzard and common kestrel could be found in coastal areas. Presumably raptors prefer reservoirs and estuaries probably due to lower human disturbance in these areas, and management efforts should be concentrated in inland areas for black vulture and coastal areas for common kestrel and common buzza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