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pid antigen test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39초

유치원·학교 구성원의 코로나19 신속항원검사 결과(2022년 3월 2일부터 5월 1일까지) (COVID-19 Rapid Antigen Test Results in Preschool and School (March 2 to May 1, 2022))

  • 윤고운;박영준;장은정;이상은;김류경;정희권;곽진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31권1호
    • /
    • pp.113-121
    • /
    • 2024
  • 목적: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확진자 급증에 따라 질병관리청과 교육부는 유치원·학교 구성원을 대상으로 선제검사를 시행하였다. 정상적인 학교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자가진단용 신속항원검사 (rapid antigen test, RAT)를 이용하여 코로나19 확진자를 교내 전파가 이루어지기 전에 발견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2022년 3월 2일부터 5월 1일까지전국의유치원·학교의구성원을대상으로검사인원 19,458,575명, 검사건수 50,675,386건을 수집하였다. 건강상태 자가진단 앱에 입력된 결과를 코로나19정보관리시스템 확진자 현황 정보와 병합하여 RAT 양성률과 양성예측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주간 RAT 양성률은 1.11-5.90%, 양성예측도는 86.42-93.18%였다. 신분별 RAT 양성률은 학생이 1.13-6.16%, 양성예측도는 87.19-94.03%, 교직원 RAT 양성률 0.99-3.93%, 양성예측도는 77.55-83.10%였다. 증상 유무에 따른 RAT 양성률은 의심 증상이 있는 경우 76.32-88.02%, 의심 증상이 없는 경우 0.34-1.11%, 양성예측도는 의심 증상이 있는 경우 79.54-95.49%, 의심 증상이 없는 경우 64.66-87.84%이었다. 이번 유치원·학교 구성원의 RAT 선제 검사를 통하여 943,342명의 확진자를 교내 전파 이전에 신속하게 발견하였다. 결론: 자가진단용 RAT를 잘 활용하면 확진자를 신속하게 발견하는데 도움이 되어 유치원·학교에서는 교육 공백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전파의 위험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장시간 동안 정해진 공간에서 동일한 사람들과 반복적으로 노출되는 위험을 최소화하여 안전한 환경에서 학교생활이 유지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선제검사의 필요성은 더 중요하게 되었다. 이번 연구에서 자가진단용 RAT 검사는 선제적 선별검사 도구로써 유용성과 확진자를 신속하게 발견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Probability of Antibody Formation against Circumsporozoite Protein of Plasmodium vivax among Korean Malaria Patients

  • Nam, Ho-Woo;Song, Kyoung Ju;Ahn, Hye Jin;Yang, Zhaoshou;Chong, Chom-Kyu;Cho, Pyo Yun;Ahn, Seong Kyu;Kim, Tong-Soo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2권2호
    • /
    • pp.143-149
    • /
    • 2014
  • To evaluate the seroprevalence against circumsporozoite protein (CSP) of Plasmodium vivax in sera of Korean patients, the central repeating domain (CRD) of CSP was cloned and analyzed. From the genomic DNA of patient's blood, 2 kinds of CSPs were identified to belong to a VK210 type, which is the dominant repeating of GDRA(D/A)GQPA, and named as PvCSPA and PvCSPB. Recombinantly expressed his-tagged PvCSPA or PvCSPB in Escherichia coli reacted well against sera of patients in western blot, with the detecting rate of 47.9% (58/121), which included 15 cases positive for PvCSPA, 6 cases positive for PvCSPB, and 37 cases for both. The mixture of PvCSPA and PvCSPB was loaded to a rapid diagnostic test kit (RDT) and applied with the same set of patient sera, which resulted in detection rates of 57.0% (69/121). When the protein sequences of PvCSPA were compared with those of P. vivax in endemic regions of India and Uganda, they were compatibly homologous to PvCSPA with minor mutation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recombinant PvCSPA and PvCSPB loaded RDT may be a milestone in latent diagnosis which has been a hot issue of domestic malaria and important for radical therapy in overlapped infections with P. falciparum in tropical and subtropical areas. During the biological process of malarial infection, exposure of CSP to antigen-antibody reaction up to 57.0% is the first report in Korea.

High Seroprevalence of Toxoplasmosis Detected by RDT among the Residents of Seokmo-do (Island) in Ganghwa-Gun, Incheon City, Korea

  • Kim, Yeong Hoon;Lee, Jihoo;Ahn, Seongkyu;Kim, Tong-Soo;Hong, Sung-Jong;Chong, Chom-Kyu;Ahn, Hye-Jin;Nam, Ho-Woo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5권1호
    • /
    • pp.9-13
    • /
    • 2017
  • Seroprevalence of Toxoplasma gondii infection among the residents of Seokmo-do (Island) in Ganghwa-gun, Incheon, Korea was surveyed for 4 years by a rapid diagnostic test (RDT) using recombinant fragment of major surface antigen (SAG1), GST-linker-SAG1A. Sera from 312, 343, 390, and 362 adult residents were collected on a yearly basis from 2010 to 2013, respectively. Total positive seroprevalence regardless of gender was 29.2, 35.3, 38.7, and 45.3% from 2010 to 2013, respectively. Positive seroprevalence in male adults was 43.9, 48.2, 45.4, and 55.3%, which was far higher than that of the corresponding female adults which was 20.7, 29.2, 33.9, and 38.9%, from 2010 to 2013, respectively. This high seroprevalence of toxoplasmosis in Seokmo-do may have been caused in part by peculiar changes in the toxoplasmic environment of the island as it is a relatively isolated area preserving its natural habitat while also being connected by a bridge to the mainland. Further study is necessary to find out symptomatic patients and to confirm the risk factors.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감염증 역학조사 수행절차 제안 (Recommendation for conducting process of an epidemiological survey in respiratory syncytial virus infection)

  • 김대순;배종면
    • Journal of Medicine and Life Science
    • /
    • 제17권1호
    • /
    • pp.29-32
    • /
    • 2020
  • As respiratory syncytial virus(RSV) is transmitted either via directly contact with an infected case or via indirectly contaminated fomites or skin, the major preventive measures are strict hand hygiene, early detection of transmitted sources, and rapid isolation of RSV patients. Especially early detection of hidden cases is the most critical control measure when an index case was notified in a postpartum center. The Guideline of Korea Centers for Diseases Control and Prevention defines potential contacts in an epidemiologic survey as admitted newborns, parents of index cases, center's workers, and visitors for 10 days before the first diagnosis day of index case. However, it needs to classify potential contacts in more detail in order to conduct a successful survey. Authors conducted to search related literatures and appraise the evidences. Firstly, potential contacts would be classified into RSV-related symptomatic contacts(SxC) and asymptomatic contacts. And then, mother, caring workers, and visitors of the index cases among asymptomatic contacts would be defined as the asymptomatic close contacts(ASCC). Finally, the rest would be defined as the asymptomatic regular contacts(ASRC). The defined test using reverse transcription-PCR is applied to SxC and ASCC, and decision of isolation or regular activities are made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rapid antigen detection test kits are applied to ASRC. These suggestions might be helpful to detect hidden cases earlier and prevent a further infection.

컴퓨터 상 분석을 이용한 HBsAg-screening용 Rapid Immunochromatographic Assay Kit의 정량적 측정법 (Quantitative Method of Rapid Immunochromatographic Assay Kit for HBsAg-screening using Computer Image Analysis)

  • 신형순;허태련
    • KSBB Journal
    • /
    • 제15권3호
    • /
    • pp.243-246
    • /
    • 2000
  • B형간염 바이러스 연구에 관한 최근의 주제는 혈중 B형간염 표면항원농도(HBsAg)를 예후 판정의 지표로 활용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B형간염에 대한 자가진단을 목적으로 하여 컴퓨 터 상 분석 기법을 사용하는 HBsAg에 대한 정량적 면역크로마 토그래피 측정법을 개발하였다. 본 방법을 사용하였을 때 측정 된 integrated optical density(IOD)은 2~200 ng/mL의 범위 내에 서 표준 HBsAg 농도의 log값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데, ELISA 측정법은 0.1~100 ng/mL의 범위 내에서 표준 HBsAg 농도의 log값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3개의 혈청 겸제를 가지고 두 가 지의 측정법으로 각각 시험하여 표준곡선에 대입하였을 때 동일 한 농도를 나타내 었는데 그 값이 각각 9,000, 7,000, 4,000 ng/mL 이었다. 또한 컴퓨터 상 분석 기법을 사용하는 HBsAg에 대한 정량적 면역크로마토그래피 측정법으로 동일 겸체를 5회 반복 시험하였을 때 측정된 IOD값이 재현성이 있었으며, 변이계수가 1.38 ~ 6.30% 이내였다.

  • PDF

혈청 유리형 전립선항원 (free PSA) 측정을 위한 효소면역측정법의 개발 (Development of Enzyme Immuno Assay for Analysis of Free Prostate Specific Antigen in Serum)

  • Kyung-Ok Lee;Kyung-In Kim;Kyu-Pum Lee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07-114
    • /
    • 1997
  • 전립선특이 항원 (PSA: Prostate Specific Antigen)은 전립선 세포에서 분비되는 단백질로서 장기 특이성이 높아 전립선암의 조기진단 및 치료의 예후를 판단하기 위해 임상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혈청 종양표지검사의 대상항원이다. 그러나 혈청 PSA치는 전립선암 뿐 아니라 양성 전립선질환인 전립선비대증 (BPH), 전립선 경색, 전립선 염증 등에서도 상승될 수 있다. 혈청 내의 PSA는 여러 가지 분자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표적으로 ${alpha}_1$-antichymotrypsin과 결합된 결합형 PSA(PSA-ACT)와 유리형 PSA (free PSA)로 나눌 수 있다. 전립선 암 환자의 혈청에는 결합형 PSA가 95% 이상으로 매우 높고 유리형 PSA의 분포는 매우 작은 반면 전립성비대증에서는 유리형 PSA의 농도가 높아지므로, 결합형 PSA와 동시에 유리형 PSA를 측정하면 종양표지검사로서의 특이성과 예민도를 높일 수 있다는 보고가 있어, 최근 혈청내의 유리형 PSA의 측정의 중요성이 임상적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andwich 원리로 유리형 PSA 효소면역 측정법 (EIA) kit를 개발하고 그 유용성을 검토한 결과, 고, 저 농도에서의 일내, 일간 변이 계수 (CV)는 4% 이하였으며 상품화된 free PSA kit와 비교하였을 때 두 방법간의 상관계수는 0.9965으로 매우 양호하였다. 또한 농도가 높은 세 환자의 검체를 희석하여 직선성 검사를 하였을 때 상관계수가 모두 0.995이상으로 나타났다. 또한 microplate 법에서 문제될 수 있는 hook effect는 유리형 PSA농도가 40 ng/mL까지 나타나지 않았으며, 98.9%~104.1%의 회수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면역측정법 kit는 혈청 중의 유리형 PSA를 정확하고 간편하게 분석할 수 있으므로 임상 실험실에서 전립선암이나 전립선질환의 진단 및 치료효과의 판정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살균제 Iprovalicarb 잔류물의 신속한 검출을 위한 바이오센서 (A Biosensor for the Rapid Detection of the Fungicide Iprovalicarb Residuess)

  • 조한근;김운호;경기성;이은영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2권6호
    • /
    • pp.440-447
    • /
    • 2007
  • In this study, a biosensor was developed using an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to rapidly measure the fungicide iprovalicarb residues in agricultural products. The biosensor was designed to include micro-pumps and solenoid valves for fluid transport, a spectrophotometer cuvet as a reaction chamber, a photodiode with a light-emitting diode for optical density measurement, and a control microcomputer to implement assay. The rate of change in optical density of the cuvet was read as final signal output. Micro-pumps were evaluated to investigate their delivery capability, the highest values of the error and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were 4.3% and 4.6% respectively. As the incubation period was reduced from 15 minutes to 11 minutes to shorten the total processing time, the sensor sensitivity was decreased as the antibody dilution ratio was reduced to a half. The maximum usable period of the coated cuvet was found to be two days with 1% error limit. To predict the concentration of the iprovalicarb residue in agricultural products, a linear calibration model was obtained with r-square values of 0.992 for potato and 0.985 for onion. In validation test for the samples of potatoes and onions against th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very high correlation values were obtained as 0.996 and 0.993 respectively. Using the cuvet immobilized with antigen, it took 21-minutes for the biosensor to complete the measuring process of the iprovalicarb residues.

구제역 백신의 국가출하승인검정을 통한 품질 평가 (Evaluation for foot-and-mouth disease vaccines in South Korea by the test for national lot release)

  • 김문현;서민구;이향심;김지연;김지예;김용상;김연희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85-288
    • /
    • 2019
  • Foot-and-mouth disease (FMD) causes economic problems in livestock industry because of fast spread and inducing low productivity. FMD outbreaks occurred in South Korea over the period from 2000 to 2019. Vaccination is the most practical and effective means of controlling or preventing these outbreaks, and a national vaccination policy has been in place for all FMD-susceptible animals since 2010. To prevent and control of FMD, South Korea has been using vaccines imported from the United Kingdom, Argentina, and Russia. The 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of South Korea oversees continuous quality control of imported FMD vaccines. FMD vaccines were evaluated characteristics, sterility, pH, inactivation, safety, potency test by Korean FMD vaccine standard assay (Test for National Lot Release). The 6 company vaccines (A~F) were used Test for National Lot Release by each method. We evaluated quality of each FMD vaccine from 2015 to 2019. All batch of vaccine showed good quality control and were passed the Test for National Lot Release. The serotypes of vaccine are increasingly changing to multiple vaccine because the FMD was outbreak by various serotype virus in South Korea. Furthermore, this data may be useful as a basis for ensuring the quality of FMD vaccines and for base data to manage them. Additional study is required to simple approach for rapid evaluation of quality and antigen content identification in vaccines.

소아에서 4제요법 후 enzyme immunoassay에 의한 Helicobacter pylori 대변 항원 검출법의 유용성에 대한 연구 (Role of enzyme immunoassay for the Detection of Helicobacter pylori Stool Antigen in Confirming Eradication After Quadruple Therapy in Children)

  • 양혜란;서정기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7권2호
    • /
    • pp.153-162
    • /
    • 2004
  • 목적: H. pylori 대변항원(Helicobacter pylori stool antigen; HpSA) 검사는 H. pylori 감염 여부를 진단하는 데 이용되는 비침습적 검사이지만, 소아에서 제균요법 후 H. pylori 대변항원검사의 유용성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아에서 H. pylori의 제균 여부를 확인하는 데 있어 enzyme immunoassay에 의한 HpSA 검사의 진단 정확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1년 1월부터 2003년 10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146명의 소아(평균 연령 $9.3{\pm}4.3$세)를 대상으로 총 164회의 H. pylori 대변항원검사(Primier platinum HpSA)를 시행하였다. H. pylori 감염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모든 환아에서 H. pylori 대변항원검사와 상부위장관내시경에 의한 위점막 생검을 병행하였다. H. pylori 감염이 확인되어 사제요법(omeprazole, amoxicillin, metronidazole, bismuth subcitrate)을 1주 동안 시행 받은 환아들에서는 치료 종결 후 최소 4주가 경과하였을 때 위내시경과 H. pylori 대변항원검사를 반복 실시하였다. H. pylori 대변항원검사는 OD값이 0.16 이상일 때 양성, 0.14~0.16 사이는 감염 미확정, 0.14 미만은 음성으로 판정하였다. 결과: 1) 제균 전 시행한 131회의 위내시경 조직검사 결과 28명이 H. pylori 양성이었고 나머지 103명은 H. pylori 음성이었다. 동시에 시행한 H. pylori 대변항원검사 결과에서 30명이 H. pylori 양성이었고, 101명이 음성으로 판정되었다. 따라서 제균요법 시행 전 H. pylori 대변항원검사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 예측치, 음성 예측치는 각각 96.4%, 97.1%, 90% 그리고 99%이었다. 2) 제균요법 4주 후 33명의 환아에서 시행한 위내시경에 의한 조직검사에서 H. pylori는 24명에서 음성이었으나 9명은 여전히 양성이었다. 동시에 시행한 H. pylori 대변항원검사는 10명에서 양성, 23명에서 음성이었다. 따라서 제균요법 후 H. pylori 대변항원검사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 예측치, 음성 예측치는 각각 88.9%, 91.7%, 80% 그리고 95.7%이었다. 결론: 소아에서 H. pylori 대변항원검사는 제균 후에도 높은 진단 정확도를 보였다. 따라서 H. pylori 대변항원검사는 소아에서 제균요법 후 균 박멸여부를 확인하는 데에도 매우 유용한 비침습적인 검사방법이라고 하겠다.

  • PDF

자동분주기의 이월오염 평가 (Evaluation of Carryover Contamination on Autopipetting System)

  • 이현주;민경선;신선영;우재룡;이호영
    • 핵의학기술
    • /
    • 제13권3호
    • /
    • pp.189-192
    • /
    • 2009
  • 목적 : 자동분주기의 fixed probe pipetting system 은 검체 분주시 probe 내외부의 잔여물이 다음 pipetting cycle로 이월되어 처음 측정치가 차기 측정치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이월오염(carryover contamination)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번 연구는 본원에 도입된 TECAN 사의 Freedom Evo 100 자동 분주기의 $\alpha$-fetoprotein (AFP)과 carcinoembryonic antigen (CEA) 검사 시 검체간 이월오염 발생을 확인하였다. 방법 : reference 가 되는 오염이 안 된 저농도 검체를 연속분주한다. 그런 후 고농도 검체를 분주한 다음 오염이 예상되는 저농도 검체를 연속 3회 분주하는 과정을 교대로 반복한다. 오염이 안 된 저농도 검체와 오염이 예상되는 저농도 검체값의 각 평균값을 서로 비교하여보고 각 저농도 검체값이 최소 검출 농도 이하인지 확인하고 만약 저농도 검체값간의 평균값이 차이가 있다면 그 차이가 1 ppm 이하의 carryover target 농도값 이하인지 확인한다. 결과 : AFP 약 650,000 IU/mL와 CEA 약 65,000 ng/mL의 고농도 검체에서는 오염이 안 된 저농도 검체값과 오염이 예상되는 저농도 검체값의 평균값 모두 각 검사의 최소 검출 농도값 이하로 이월오염이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 이번 연구에서 사용한 AFP와 CEA의 고농도 검체에서는 이월오염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검사자는 검사결과 보고시 고농도 검체가 다음 환자 검사결과의 안정성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주시하고 이월오염을 확인하기위해 주기적인 장비관리와 이월오염 측정을 시행하여야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