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na nigromaculata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47초

개구리(Rana nigromaculata) 위장관 점막내의 은친화성 세포와 은호성 세포에 대한 발생학적 연구 (Developmental Study on the Argentaffin and Argyrophile Cells in the Gastroinestinal Mucosae of Rana nigromaculata)

  • 김한화;정영화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9-126
    • /
    • 1973
  • 개구리(Rana nigroamaculata)의 위장관 점막내에 출현하는 은친화성세포와 은호성세포의 발생에 따른 그 출현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개구리 유생의 위와 소장을 발생단계별로 고정한 후 환절편을 만들어 Masson도은법 및 Bodian도온법을 사용하여 은친화성세포와 은호성세포를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위의 경우, 은친화성세포는 변태 XIII기, 은호성세포는 변태 X기에 출현하여 서서히 증가하다가 변태 XXV기가 되면서 양 세포 모두 급증하였다. 2. 소장의 경우 은친화성세포는 변태 XXV기에 출현하였고 은호성세포는 변태 XVII기에 출현하여 서서히 증가하다가 변태XXV기에서 급증하였다. 3. 본 세포들의 출현시기는 소장에서 은친화성세포를 제외한 위장관내의 은친화성세포와 은호성세포들은 근층의 발달에 따른 위장관 점막의 주름형성 이전 이었다. 4. 변태 XXV기가 되면서 은친화성세포와 은호성세포가 수적으로 급증하는 것은 양서류의 생태적 변화 및 위장과 점막분화와 관련되는 것으로 추리된다.

  • PDF

한국산 양서류피부의 생물학적활성물질에 관한 검색 (Active Polypeptides in Korean Amphibian Skin Extracts)

  • 조태순;이우주;홍사석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5-18
    • /
    • 1975
  • The effect of skin extracts of Korean amphibian, poisonous snake and fresh-water fish were determined for their caerulein-like action on rabbit gall bladder strips. The isolated gall bladder strips were prepared according to the technique described by Amer and Becvar(1969). The strips were placed in a bath containing 100ml of Locke-Ringer solution maintained at $38^{\circ}C$. Oxygen was continuously bubbled through the solution. The tension of the muscle strip was initially adjusted to 0.7g. The contractile response was measured isometrically by a force-displacement transducer connected to a polygraph. In this rabbit gall bladder strip caerulein produced contraction of CCK-PZ type. The skin extract of Korean amphibian also elicited similar contraction as caerulein, which extracted from Australian amphibian, Hyla caerulea, by Erspamer et al. The calculated amount was approximately $2{\mu}g$ caerulein per gram of skin tissue in Korean amphibian and the potency was about 1/200 of that seen in Australian amphibian. The contraction of gall bladder strip by our amphibians occurs in decreasing order; Rana Nigromaculata coreana Okada, Rana nigromaculata Hallowell, Hyla arborea japonica Gunther and Bombina orientalis Boulenger. The skin extracts of poisonous snake and fresh-water fish produced no caerulein-like activity.

  • PDF

건조상태가 개구리(Rana nigromaculata) 피부 장액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직화학적 연구 (Histochemical Study on the Serous Gland of Frog(Rana nigromaculata) Skin under Dry Conditions)

  • 박중석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07-114
    • /
    • 1975
  • 1. 개구리 피부 장액선의 분비과립은 중성과 약산성점액질이 존재한다. 2. 피부 장액선의 분비과립은 건조상태에서 현저히 감소하며 성분별로 점액질을 볼 때 중성점액질이 산성점액질보다 더 심한 영향을 받는다. 3. 장액선의 내강내에 있는 분비과립내 점액성분은 건조상태의 노출시간에 따라 성분상의 변화는 없다. 4. 이상과 같은 현상은 체항상성을 유지 하기 위한 생체적응현상의 일단이라고 생각한다.

  • PDF

Genetic Differentiation among the Mitochondrial ND2 Gene and $tRNA^{Trp}$ Gene Sequences of Genus Rana (Anura) in Korea

  • Lee, Hyuk;Yang, Suh-Yung;Lee, Hei-Yung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4권1호
    • /
    • pp.31-37
    • /
    • 2000
  • The genetic variations among six species of Rana from Korea (R. nigro-maculata, R. piancyi, R. dybowskii, R. sp, R. rugosa type A, B and R. amurensis) were investigated using 499 bases of mitochondrial DNA sequences for ND2 (NADH dehydrogenase subunit 2) gene and $tRNA^{Trp}$ gene. Partial sequences of ND2 gene (427 bp) and full sequences of $tRNA^{Trp}$ gene (73 bp) were identified. The level of sequence divergences ranged from 0.2 to 5.2% within species and 4.9-28.0% among 6 species of the genus Rana. The $tRNA^{Trp}$ gene of the genus Rana was composed of 77 nucleotides which showed a two dimensional "cloverleaf" structure. The secondary structure of $tRNA^{Trp}$ was not found compensatory changes which could potentially confound phylogenetic inference. In the neighborjoining tree, brown frogs were clustered first with the level of sequence divergence of 13.20% between R. amurensis and R. dybowskii, and 9% between R. dybowskii and R. sp. supported by 99% bootstrap iterations, respectively. R. nigromaculata and R. plancyi were clustered into another group with 5.1% divergence supported by 100% bootstrap iteration. R. rugosa A 8nd B types were grouped by 4.9% divergence and clustered into the last group with other two groups with 100% bootstrap iterations.

  • PDF

한국산 개구리류에 기생하는 Haematoloechus속 (Digenea: Plagiorchiidae) 흡충류 (Trematodes of the genus Haematoloechus (Digenea: Plagiorchiidae) from frogs in Korea)

  • 김기홍;임한종;윤일병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0권4호
    • /
    • pp.245-254
    • /
    • 1992
  • 1989년 2월부터 1991년 7일에 걸쳐 전국 각지에서 채집한 Rana nigromaculata 242개체, Rana catesbeiana 9 개체의 폐로부터 Haemntologthus속 흡충류 5종을 검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들은 Haematozoechus sibiricus iaponitus (Yamaguti, 1936), H. nanchangensis Hsiung, 19열, H. varifgntus (nudoIPhi, 1819), Jf. lebatus (Seno, 1907), n lobatus koreanus new subspecies이며, 이중 H. lobalus koreanus는 H. lobatus와 유사하나 고환의 형태, 맹관 따같족에 분포하는 자궁의 형태, 충란의 크기 등에 뚜렷한 차이가 있어 신아종으로 분류하였으며, H. variegatus와 H. Icbatus는 국내 미기록종이다. 또한 기록종인 H. nanchangensis majcr (Yamaguti, 1936)는 H. nanchangensis Hsiung, 1934와 몸의 크기 외에는 아종으로 구분될 만큼 명확한 형질이 없기 때문에 H. nanchangensis의 동종이명으로 처리하여 분류하였다.

  • PDF

진도 양서ㆍ파충류 생물다양성 (Herpetofauna Biodiversity of Chin-Do)

  • 정규회;계명찬;송재영
    • 환경생물
    • /
    • 제18권1호
    • /
    • pp.113-120
    • /
    • 2000
  • 1998년 5월부터 9월에 걸쳐 진도 진도읍, 의신면, 고군면, 군내면 4개 지역에서 양서ㆍ파충류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양서류 2목 4과 6종, 파충류는 1목 2아목 4과 8종이 확인되었다. 확인된 14종(청문에 의해 발견된 2종 포함)중 환경부지정 보호야생동물인 까치살모사(Askistrodon saxatilis)가 의신면 일대에서 발견되었다. 희소종으로 줄장지뱀(Takydromus wolteri), 도마뱀(Scincella laterale laterale), 실뱀(Zamenis spinalis) 3종이 확인되었다. 양서류 중에서 참개구리(Rana nigromaculata)와 황소개구리(Ranu catesbeiana)는 4개 지역에서 모두 발견되었다. 확인된 275개체 중 양서류는 옴개구리(Rana rugosa)가 우점도 25.8%, 파충류는 줄장지뱀 (Takydromus wolteri)이 우점도 21.8%로 우점하였다. 종풍부도, 종다양도, 종균질도가 가장 높은 지역은 의신면(R': 2.393, H': 1.931, E': 0.7772)인 반면 군내면의 종풍부도는 R': 0.932로 다른 지역보다 낮았다. 위협도 평가 결과 황소개구리는 관찰/시도(12/13), 확률 85.71%로 서식밀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마뱀(Scincella laterale laterale), 누룩뱀(Elaphe dione), 무자치(Elaphe rufodorsata), 능구렁이 (Dinodon rufozonatus rufozonuatus), 유혈목이 (Rhubdophis tigrinus tigrinus), 쇠살모사(Agkistrodon ussuriensis), 실뱀(Zamenis spinalis)은 각각 10% 미만으로 나타나 보호가 요청된다.

  • PDF

서식지적합성 모형을 이용한 수변지역 양서류 서식지 분석 (A Study on Riparian Habitats for Amphibians Using Habitat Suitability Model)

  • 정승규;서창완;윤재현;이동근;박종훈
    • 환경영향평가
    • /
    • 제24권2호
    • /
    • pp.175-189
    • /
    • 2015
  • 본 연구는 수변지역에 서식하는 양서류 개별종에 적합한 서식환경변수를 구축하여 서식지적합성모형을 적용하여 물리적 교란에 따른 양서류 분포 특성과 생태적 결정인자를 분석하였다. 2013년 3월부터 10월까지 강원도 횡성군과 원주시 섬강 일대를 대상으로 양서류 현장조사와 하천수변 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종으로는 그 지역의 양서류 중 우점종인 참개구리, 청개구리, 북방산개구리와 옴개구리를 선정하였고, 임의 비출현 자료를 생성하여 로지스틱회귀모형을 적용하였다. 개별종의 분포모형의 특징으로는 참개구리는 식생의 거리와 자갈이 모형의 결과에서 선택되었으며, 청개구리는 농수로와 하천 폭에 좀 더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방산 개구리와 옴개구리는 비슷한 서식특성을 보여주었다. 옴개구리는 연구지역 전체에 우점하고 있었는데, 광범위한 서식처 선호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대상종들의 분포모형을 합산한 종풍부도 결과에서 양서류는 산비탈과 계곡 또는 계류 사이를 왕복하는 특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서식지적합성 모형을 이용해서 서식환경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으나, 먹이요소와 다른 생물과의 상호작용을 분석하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 향후 조류 또는 어류의 밀도나 서식요소를 함께 분석한다면 생물학적인 환경인자와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무미양서류 꼬리 퇴화과정중 피부 상피조직의 세포사에 관한 조직화학적 및 미세구조적 연구 (Histochemical and Fine Structural Visualization of the Epithelial Apoptosis in the Anuran Tadpole during the Tail Regression Stages)

  • 이혜원;문명진
    • Applied Microscopy
    • /
    • 제39권2호
    • /
    • pp.107-115
    • /
    • 2009
  • 참개구리(Rana nigromaculata) 꼬리 퇴화과정에 따른 피부 상피조직의 분화와 세포자멸사에 의해 초래된 상피의 미세구조적 변화를 TUNEL 조직화학적 염색 및 고배율의 투과전자현미경 관찰을 통해 확인하였다. 꼬리의 퇴화가 시작되는 Shumway 31단계의 올챙이 피부에 발달되어 있던 점액층은 발생 32 단계를 거쳐 사라지고 상피는 비후되어 꼬리의 퇴화가 완료되는 발생 33 단계에 도달하면 성체인 개구리의 다층상피로 전환되었다. TUNEL 염색결과, 꼬리 퇴화과정중 apoptosis 세포의 출현은 원위부(distal region)의 꼬리에서 시작되어 몸통 쪽의 근위부(proximal region)로 이행되었고, 동일 상피층에서는 내강부로부터 기저부로 전이되는 특성을 보였다. 투과 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세포자멸사에 의한 초기의 변형은 인접세포와의 세포간극이 사라지고 밀착된 후, 핵의 모양이 불규칙해지고 염색질이 응축되었다. 이어서 세포질에 다수의 자유 리보솜이 나타나고, 핵의 분절이 일어난 후, apoptotic body가 출현하며, 이들은 최종적으로 라멜라 구조를 지닌 잔여소체(residual body)를 형성하였다

참개구리와 옴개구리 여포의 프로제스테론 생성과 난자의 성숙 (Progesterone Production and Oocyte Maturatf on of Frog (Rona nigromaculata and Rana rugoBa) Follicles in vitro)

  • 권혁방;김지열;고선근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75-182
    • /
    • 1990
  • 참구개구와 옴개구리의 여포를 생체외 배양하면서 progesterone (P$_4$)생성과 난자의 성숙 및 cyclic(cAMP)의 조절작용을 조사하였다.참개구리의 여포에 뇌하수체 추출물(frog pituitary homogenate.FPH)을 처리하면 농도에 의존하여 여포의 P$_4$생성이 증가하였으며 난자의 성숙(핵붕괴)이 일어났다. 이들 여포들을 배양하면서 3시간 간격으로 호르몬이 여포에 축적된 양, 배양액에 분비된 양 및 난자의 성숙율을 조사한 결과 FPH처리군에서 P$_4$는 3-6시간에 최고치 (여포내,약 400pg/여포;분비량,약 800pg/여포)를 나타내었으며 난자의 핵붕괴는 9-12시간에 일어났다. 상기 여포들과 같은 조건으로 배양하면서 forskolin과 3-isobutyl-1-methylxanthine(IBMX)을 배양액에 처리하여 간접적으로 여포내 cAMP의 농도를 높여주면 FPH와 유사한 양사으로 호르몬의 생성을 촉진하였다. 그러나 난자의 성숙은 전혀 일어나지 않았다. 옴개구리의 여포를 배양하면서 FPH를 처리하였을 때는 아무 처리를 하지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거의 P$_4$의 생성을 촉진하지 않았으며 난자의 성숙도 유도하지 못했다, 그러나 이들에게 forskolin과 IBMX를 처리하면 P$_4$의 생성을 현저하게 촉진하여 다량의 P$_4$가 여포와 (약 800pg/여포) 배양액에 (1700pg/여포)축적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