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na catesbeiana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5초

Immunohistochemical Localization of Endocrine Cells in the Alimentary Tracts of Six Frog Species

  • Byung-Tae Choi;Dae-Yeon Moon;Jun-Hyuk Lee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3권2호
    • /
    • pp.193-197
    • /
    • 1999
  • A peroxidase-antiperoxidase method was used to detect the cells showing immunoreactivities to six hormone antibodies in the alimentary tracts of six frog species, Rana nigromaculata, R. rugosa, R. amurensis coreana, R. catesbeiana, Bombina orientalis, and Hyla arborea japonica, inhabiting Korea. The cells immunoreactive to gastrin and cholecystokinin-8 were observed in the pylorus of the stomachs and in the small intestines of all frog species examined. In contrast, these somatostatin-immunoreactive cells were identified in the esophagus and the whole gastrointestinal tracts, but were absent from the large intestines in R. rugosa, R. catesbeiana, B. orientalis and H. arborea japonica. The pancreatic polypeptide (PP)-immunoreactive cells represented their distribution limited to the small intestines of R. amurensis coreana and H. arborea japonica, and they were additionally identified in the pylorus of the stomachs in the other four species. Serotonin- and glucagon- Immunoreactive cells revealed different regional distributions in which the former were observed throughout the whole alimentary tracts in all frog species investigated, whereas the latter were not found in these regions at all. Endocrine cells were relatively abundant in the pyloric portion of the stomach compared to other organs.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all endocrine cells except for PP had a similar distribution in the alimentary tracts of all frog species used.

  • PDF

지리산과 무등산에 서식하는 한국산 양서류의 피부에 관한 연구 (A Histological Study of Skin on Some Amphibia Inhabitated Chiri Mt. and Moodeung Mt.)

  • 이승휘;권은호;신영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05-209
    • /
    • 2004
  • 본 연구는 양서류 피부에 관한 조직학적 자료 축적의 일환으로 수행하였다. 대상생물은 서식처 및 생태적 특성이 서로 다른 무미 양서류인 참개구리, 옴개구리, 그리고 황소개구리와 유미 양서류인 도롱뇽으로서 이들의 서식처는 지리산과 무등산의 계곡으로부터 농업용 수로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하천 중류 및 하류에 이르기까지 다양하였다. 양서류의 조직은 선상구조물의 차이가 나타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배측과 복측에서 선택하였다. 일반적인 조직분석 결과 상피와 진피조직 내에서는 과립선, 점액선, 장액선, 공포, 그리고 외분비관까지 확인되었다. 또한 분화중인 외분비선과 잘 분화된 외분비선 그리고 분화 이후의 외분비선까지 역시 확인되었다. 한편 도롱뇽은 단순한 점액분비세포까지 보이는 상태였다. 이 선들은 각각 처해 있는 생태적 상황에 적합하게 적응할 수 있는 구조물을 피부에 갖추고 있는 것으로 추출할 수 있었다. 위와 같은 결과는 한국산 양서류의 피부조직에 관한 가치 있는 자료로서 양서류의 비교해부학과 비교생리학뿐 아니라 생태학 연구와 병행할 때 더욱 가치 있게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NEW FINDING OF A LIGHT DEPENDENT $Ca^{2+}$ CHANNEL AND $Na^+-Ca^{2+}$ EXCHANGER IN THE VERTEBRATE RETINA (II)

  • Kim, Yun-Sook;Jung, Hyuk;Park, Chang-Suck;Woo, Suk-Hyang;Kim, Hyun-Jung;Kim, You-Young
    • Journal of Photoscience
    • /
    • 제3권3호
    • /
    • pp.133-136
    • /
    • 1996
  • Calcium modulates the activity of guanylate cyclase and plays a key role in dark and light adaptation in the visual system. We have measured the Ca$^{2+}$, K$^+$ and Na$^+$ concentration in dark and light adapted bullfrog's (Rana catesbeiana) vitreous humor by using the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The calcium concentration of the light adapted bullfrog's vitreous humor was higher than that of the dark adapted bullfrog's vitreous humor. This means that ion activity between the photoreceptor and vitreous humor side is light dependent and we have found that a Ca$^{2+}$ channel and Na$^+$ - Ca$^{2+}$ exchanger exist in the vitreous humor.

  • PDF

영산강 수계에서 채집된 황소개구리의 기형 양상 및 체내 중금속 축적 (The Incidence of Abnormalities in Bullfrogs, Rana catesbeiana, and Their Heavy Metal Accumulations in the Yeongsan River System)

  • 이두표;고선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53-158
    • /
    • 2001
  • 영산강 수계의 습지생태계 모니터링의 일환으로 4개 지역을 선정하여 황소개구리 205개체를 채집하여 이들의 외부기형 출현율 및 양상을 조사하고 그들의 체내 조직에 축적된 중금속 농도를 분석하였다. 황소개구리의 기형 출현율은 6.8%로 다른 척추동물에서의 자연발생률 3%보다 높았으며, 기형은 모두 앞 또는 뒷발갉에서 나타났다. 유형별로 보면 결손(Ectrodactyly)이 64.3%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확장(Dilation)이 28.6%, 절단(Truncation) 7.1%의 순이었다. 정상과 기형 개체간에 중금속의 농도를 조직별로 비교해 본 결과 기형개체의 신장에서 Mn은 4배, Zn 은 1.5배, Cu은 7배, Pb는 8배, Cd는 7배 정도 높았다. 또한 기형 개체에서는 이들 원소의 조직분포 패턴도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황소개구리는 습지생태계의 모니터링 시료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개구리 망막에 있는 광수용세포의 미세구조 (The Ultrastructure of Photoreceptor Cells in Frog Retina)

  • 김진숙;전진석
    • Applied Microscopy
    • /
    • 제25권4호
    • /
    • pp.115-123
    • /
    • 199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serve the functional ultrastructures of photoreceptor cells in frog(Rana catesbeiana) retina us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he photoreceptor cells are divided into two types-rod and cone cells-consist of outer and inner segment. The long outer segment of rod cell contains dense stacks of membrane and formed vertical and horizontal folds. The outer segment of cone cell is small, and vertical and horizontal folds are not exist. The electron dense cytoplasm of rod cell contains compact mitochondria, Golgi complexes, and endoplasmic reticula. The inner segment of cone cell shows low electron density and contains a large lipid droplet in the upper part of inner segment. In addition, cone cell contains many mitochondria, Golgi complexes. rough endoplasmic reticula, ribosomes and numerous glycogen particles. It is believed that these ultrastructural characteristic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photoreceptive function of photoreceptor cells in frog retina.

  • PDF

전기자극이 개구리 뒷다리 부종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ectrical Stimulation on Edema Formation in Frog Hind Limbs)

  • 박래준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7권1호
    • /
    • pp.1-8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high voltage pulsed current(HVPC) and low voltage pulsed current(LVPC) on posttraumatic edema formation in frog hind limbs In this study, 16 bullfrogs(Rana Catesbeiana), weighting 189g to 340g were used. Limb 16 anesthetized bullfrogs were systemically injuried by weight drop. One hind limb of each frogs was randomly selected to receive continuous 120 pps HVPC and 100 pps LVPC at $90\%$ of motor threshold(HVPC : 33.3v, LVPC : 0.2-1mA). The opposite hind was remained as a control. A series of six 30-minute treatment(interrupted by 30-minute rest) was begun minutes after injur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Cathodal HVPC has heed shown to be effective in curbing posttraumatic edema formation in frogs, but anodal HVPC did not effect. 2. Volumes of hind limbs treated with LVPC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over time from those of untreated hind limbs. 3. Therefore, waveform(HVPC versus LVPC) seems to influence the efficacy of electrotherapy for edema control. 4. Electrical stimulation were not increased edema formation on frog hind limbs.

  • PDF

Morphological Characterization and Classification of Anuran Tadpoles in Korea

  • Park, Dae-Sik;Cheong, Seo-Kwan;Sung, Ha-Cheol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29권5호
    • /
    • pp.425-432
    • /
    • 2006
  • The tadpoles of 12 Korean anuran species, including Bombina orientalis, Bufo gargarizans, B. stejnegeri, Hyla japonica, Kaloula borealis, Rana dybowskii, R. huanrenensis, R. coreana, R. nigromaculata, R. chosenica, R. rugosa, and R. catesbeiana, were classified based on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e collected eggs or tadpoles of the 12 Korean anuran species from Gangwon, Incheon, Chungcheong, and Gyeonggi districts in 2005 and 2006 breeding seasons. When the tadpoles reached at $27{\sim}37$ Gosner's developmental stages, we describe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tadpoles of each anuran species and measured their physical parameters such as total length, body length, and body mass. After that, we chose 12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o identify each species and to use them as classification keys such as eye location, caudal musculature pattern, spiracle location, oral disc morphology, and labial tooth row formula. In this paper, we presented classification key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rawings for the tadpoles of 12 anuran species.

황소개구리 안구에서의 아연, 타우린, 저온효과에 의한 시각 감수성 증진 (Increase of Visual sensitivity by Zinc, Taurine, and Hypothermic-effect in Bullfrog's Eye)

  • 김현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3-33
    • /
    • 2007
  • 안구 조직에는 많은 양의 아연과 타우린이 존재하며 특히 망막에서 맥락막에 이르는 부위에서의 분포가 두드러지고, 이는 아연과 타우린이 이들 조직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리라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시각 감수성에 영향을 미치는 또 다른 인자로서, 온도에 대한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시각 순응계에서의 이들의 기능이나 상호작용은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변온동물의 일종인 황소개구리(bullfrog, Rana catesbeiana)의 안구를 이용하여 적정 농도의 아연과 타우린의 처리와 저온효과에 따른 망막전위도(ERG)와 흡수 스펙트럼의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이들 인자들이 시각 감수성과 시각 순응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아연과 타우린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이들의 적정 농도는 각각 10-4 M과 10-5 M로 결정하였고, 저온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온도 변화 과정은'$25^{\circ}C {\rightarrow}0^{\circ}C{\rightarrow}25^{\circ}C$'를 거치게 하였다. 적정 농도의 아연과 타우린의 처리와 저온효과에 의해 망막전위도 실험 결과 역치(threshold)와 망막전위도 b-파의 크기가 증가하였고, 흡수 스펙트럼 분석 결과 400~750 nm 범위에서의 흡광도 증가를 볼 수 있었다. 또한 아연과 타우린, 그리고 아연과 저온효과 간에는 상승효과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충남 예산군 예당저수지 수변 농경지의 어류와 양서류 분포특성 (Distribution of Fish and Amphibian in Rice Fields Near the Yedang Reservoir in Korea)

  • 김수경;박현숙;박시룡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48-57
    • /
    • 2016
  • 예당저수지의 수변 농경지의 어류와 양서류 분포 특성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비수변 농경지를 대조군 지역으로 설정하고 수변 농경지의 어류와 양서류의 개체수 및 생물량 비교, 어류와 양서류 분포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소 분석, 시기별 개체수 변동 특성을 연구하였다. 전체 조사 대상지역에서 포획된 어류종수는 8과 13종이며, 양서류 종수는 5종이었다. 수변 농경지에서는 미꾸리과 어류, 붕어, 잉어 등의 13종의 어종이 포획되었고, 비수변 농경지에서는 미꾸리과 어류, 붕어 등의 3종의 어종이 포획되었다. 양서류는 황소개구리, 참개구리, 청개구리, 한국산개구리, 옴개구리 총 5종의 유생이 포획되었는데, 비수변 농경지에서는 5종의 양서류 유생이 포획되었고, 수변 농경지에서는 2종의 양서류 유생이 포획되었다. 수변 농경지와 비수변 농경지의 어류와 양서류 분포 특성을 분석한 결과, 수변 농경지에는 잉어과 어류가 많이 포획되었으며, 비수변 농경지에는 미꾸리과 어류가 많이 포획되었다. 어류의 분포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소 분석결과, 잉어과 어류는 겨울철에 담수되고, 예당저수지와의 거리가 가까운 농경지에서 주로 출현할 가능성이 높으며, 미꾸리과 어류는 산간 저수지로부터 용수가 공급되고, 논과 배수로가 잘 연결되어 있는 농경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서류의 경우, 비수변 농경지에서 수변 농경지보다 양서류의 유생이 많이 포획되었다. 수변 농경지에서는 황소개구리가 우점하였고, 비수변 농경지에서는 참개구리가 우점하였다. 황소개구리 유생의 분포에 영향을 주는 주요 환경요소는 겨울철에 담수되고 예당저수지에 가까운 농경지에서 출현할 가능성이 높았고, 참개구리의 경우는 산까지의 거리가 가깝고 예당저수지까지의 거리가 멀수록 출현할 가능성이 높았다.

Antioxidative Activity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n the Murine Macrophages of Methanol Extracts of Amphibians

  • Kim, Sang-Bum;Chang, Min-Ho;Han, Sang-Hyun;Oh, Hong-Shik
    • 환경생물
    • /
    • 제30권3호
    • /
    • pp.157-163
    • /
    • 2012
  • Oxidative stress has been reported to be one of causes of neuritis. This study examine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of six amphibian species known to be medicinal animals (Rana catesbeiana, R. coreana, R. rugosa, R. dybowskii, R. nigromaculata, and Hyla japonica) and investigated their effects of inhibiting nitric oxide (NO) production and cytotoxicity on the murine macrophage RAW264.7 cells. As inflammation is closely associated with reactive oxygen species, assays on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y,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NO scavenging activity of the extracts of the six specie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ir antioxidative activity.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All extracts showed antioxidative activity, and the activity of R. dybowskii was the highest in comparison among thos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extracts were also examined, the five extracts except that of R. rugosa did not show cytotoxicity for RAW264.7 cells at the maximal concentration ($1,000{\mu}g\;mL^{-1}$). Selectivity index, meaning NO scavenging activity compared to cytotoxicity, showed the highest level in the extract of R. dybowskii. These results will be very useful basic data for future studies on prevention and treatment of human diseases to understand the biological roles of amphibian extracts throughout the antioxidative or anti-inflammatory pathwa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