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mus of mandible

검색결과 243건 처리시간 0.024초

하악 전돌증 환자의 하악지 시상 골절단술후 경조직 변화에 따른 안모 연조직 변화 분석 (ANALYSIS OF FACIAL SOFT-TISSUE CHANGES AFTER MANDIBULAR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 박희대;권대근;이상한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8권1호
    • /
    • pp.87-108
    • /
    • 1996
  • 본원에서 하악지시상골 절단술을 시행한 하악전돌증 환자 29명 (남자 12명, 여자 17명)을 대상으로 수술전, 수술후, 장기관찰기간동안 경조직과 연조직 변화를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술후 하악은 반시계방향회전하면서 후방이동 하였으며 장기관찰시 B와 Pog에서 1.23mm, 1.28mm의 재발을 보였다. 이는 술후의 하악이동에 따른 순수한 효과(Net effect)가 81.7%, 82.2% 라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재발로 인하여 수술의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술전 치료계획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할 수 있다. 2. 하악 경조직의 수평변화에 대한 하악 연조직의 변화비율은 하순구에서 100%, 이부에서 99.1-102.1% 로 나타났으며 하순의 경우 72.7-93.7% 로 나타났으며 상순의 경우 하악 전치 이동량의 5.7% 정도 후방 이동하게 되지만 통계적 상관관계는 미약했으나. 수직적으로 8.3-9.6% 정도 유의한 하방이동양상을 보였다. 3. 술수 상순과 하순의 관계가 개선되어 심미선에 대하여 상순(Ls)은 상대적으로 동출하고 하순(Li)은 후방이동하였으며, 상순구가 얕아지고 하순구가 깊어졌으며, 비순각이 개선되어 전반적 안모가 개선되었으나 턱부위의 전돌은 수술후에도 약간 남아있었다. 4. 하악 연조직점을 종속변수로, 하악 경조직점을 독립변수로한 회귀분석에서 경조직 변화와 연조직 변화 사이의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고 하여도 이를 정확하게 예측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연조직 두께와 수평이동사이에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 PDF

하악골과 방사선사진상에서의 하악절흔 내측 함요 (THE MEDIAL SIGMOID DEPRESSION: Its Anatomic and Radiographic Considerations)

  • 강병철
    • 치과방사선
    • /
    • 제21권1호
    • /
    • pp.7-13
    • /
    • 1991
  • 하악절흔 내측 함요는 하악골의 하악절흔 전, 내, 하방에 함몰된 양상으로 나타나는 정상 해부학적 구조물이다. 이 구조물에 대한 해부학적 중요성이나, 발생이 선천적인가 아니면 출생 후 발생되는 것인가에 대하여는 알려져 있지 않다. Langlais는 하악절흔내측함요는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상에서 절흔, 또는 소공 모양의 방사선투과상으로 나타난다고 하였지만 이는 하악사측방향 촬영상 등에서도 나타날 수 있는 해부학적 구조물이다.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에서는 익상판, 연구개, 기도, 그외 다른 조직 등의 중첩으로 인하여, 이 구조물의 발견 빈도가 낮아진다. 저자는 78개의 하악골에서의 발생빈도, 위치, 크기 등을 조사하고, 이를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촬영하여 그 발생 빈도를 조사하였으며, 치과환자 500명의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에서의 발생 빈도도 알아보았다. 1. 하악골에서의 발생빈도는 62%였다(편측성 28%, 양측성 33%). 2. 하악골의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상의 발생빈도는 33%였다(편측성 14%, 양측성 19%). 3. 하악절흔내측함요의 중심 위치는 하악절흔 하방 6.0㎜, 전방 3.8㎜였다. 4. 크기는 수직 7.8㎜, 수평 8.3㎜이였다. 5 치과환자들의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상에서의 발생 빈도는 24%였다(편측성 18%, 양측성 7%).

  • PDF

하악후퇴증 환자에서 골신장술과 하악지 시상분할 골절단술의 술 후 안정성에 관한 비교 연구 (Comparison of Postoperative Stability between Distraction Osteogenesis and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in Mandibular Retrognathism)

  • 유명수;이지호;김명진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4권2호
    • /
    • pp.100-105
    • /
    • 2012
  • Purpose: In general, the surgical treatment for mandibular retrognathism is represented by two methods, distraction osteogenesis (DO) and mandibular osteotomy surgery. The DO is mostly preferred when the degree of advancement of mandible is large. However, the postoperative stability of mandibular advancement using DO have not been actively investigated. Therefore, in the present study we have compared the postoperative stability between DO and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BSSRO) in mandibular retrognathism. Methods: Seven patients who had been treated by DO and thirteen patients with BSSRO were included in this study. Serial lateral cephalograms were analyzed by manual tracing and the amount of the mandibular elongation was measured. To evaluate the postoperative stability, positional changes of the condylar position and B point were analyzed. Results: Mean amount of mandibular advancement was $6.51{\pm}3.57mm$ for BSSRO group and $12.43{\pm}4.35mm$ for DO group,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between the two groups (P>0.05). Mean follow up periods were 10.77 months for BSSRO group and 11.28 months for DO group, respectively. After mandibular advancement, mean positional changes in the condyle were $0.56{\pm}1.43mm$ horizontally and $0.72{\pm}1.61mm$ vertically for BSSRO group and $0.53{\pm}1.56mm$ horizontally and $0.56{\pm}1.75mm$ vertically for DO group, respectively. Mean change of distance from B point to Y-axis was $-1.76{\pm}0.83mm$ for BSSRO group and $-2.14{\pm}1.82mm$ for DO group,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condylar position and B poin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stoperative stability between the two groups (P>0.05). Conclus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toperative stability between DO and BSSRO group according to condylar position and B poi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t is hypothesized that DO would be a good treatment choice for severe mandibular retrognathism because DO could achieve more mandibular advancement and concurrent soft tissue elongation.

안면비대칭 진단을 위한 하악골 3차원영상 계측기준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3-D standard value of mandible for the diagnosis of facial asymmetry)

  • 안정순;이기헌;황현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91-105
    • /
    • 2005
  • 기존의 2차원적 진단자료는 상의 확대 및 왜곡으로 인해 형태나 크기의 정량적 평가시 부적절한 결과를 야기할 수 있어 안면비대칭의 정확한 진단과 치료계획 수립을 위해서는 3차원영상 진단의 도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안면비대칭 진단시 3차원적 분석에 도움이 되는 기준자료를 얻고자 정상교합자를 대상으로 하악골 3차원 영상 계측항목의 평균값과 좌우차이의 정상범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뚜렷한 안면비대칭을 보이지 않는 성인 정상교합자 남녀 30명씩 총 80명을 대상으로 두경부 전산화단층사진을 촬영한 후 컴퓨터프로그램을 이용한 각각의 단면 촬영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입체영상을 재구성한 다음, 하악골 비대칭시 좌우차이를 보일 수 있는 계측항목으로 ramus length를 나타내는 5개 condylar neck length를 나타내는 1개, mandibular body length를 나타내는 8개 등 15개의 거리 계측항목과, gonial angle을 나타내는 4개. frontal ramal inclination을 나타내는 2개. lateral ramal inclination을 나타내는 2개 등 8개의 각도계측항목, 총 23개의 계측항목을 설정한 후, 좌측과 우측을 구분하여 컴퓨터 상에서 3차원계측치를 구하고 좌우차이값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결과 얻어진 정상교합자의 하악골 3차원영상 계측항목의 좌우차이값은 안면비대칭 환자의 진단 기준치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하악(下顎) 전돌증(前突症)에 관(關)한 방사선(放射線) 두부계측학적(頭部計測學的) 연구(硏究) (A ROENTGENOCEPHALOMETRIC STUDY ON MANDIBULAR PROGNATHISM)

  • 이기수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85-98
    • /
    • 1979
  • This investigation was designed to compare the craniofacial and dental morphology of class III malocclusion with that of normal occlusin in children, and to determine the incidence of various class III craniofacial skeletal patterns. The material selected for this study consisted in standard lateral cephalograms of eighty two Korean children, forty one boys and forty one girls, aged 10 through 12 years, having class III malocclusion, and forty two Korean children, twenty boys and twenty two girls, with normal occlusion in the same age. Using the tracings of the standard lateral cephalograms, various angular and linear measurements were recorded, tabulat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and then the class III craniofacial skeletal morphology was divided into various patterns by the degree of SNA and SNB, which respectively were below, within or beyond the normal range of those of normal occlusion.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the craniofacial and dental morphology of class III malocclusion were observed. 1. The cranial base length of class III malocclusion was smaller than that of normal occlusion, and the small saddle angle was a characteristic figure of class III malocclucion. 2. Maxillary length of class III malocclusion was smaller than that of normal occlusion, and point A was retropositioned relative to cranial base but not PNS in class III malocclusion. Maxillary base inclina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but occlusal plane to palatal plane was small in class III malocciusion. 3. The mandibular body length shown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but the mandibular body positioned anteriorly relative to cranial base in class III malocclusion. Ramus height, gonial angle, and mandibular effective length were large in class III malocclusion. Mandibular plane angle and joint angle had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and occlusal plane to mandibular plane angle was large in class III malocclusion. 4. Maxillary incisor inclina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class III malocclusion and normal occlusion, but mandibular incisors positioned and inclined lingually and consequently interincisal angle was large in class III malocclusion. 5. Class III malocclusion was divided into six categories of craniofacial skeletal pattern. The most common class III pattern was found to be one in which the maxilla was within the normal range of prognathism while the mandible extended beyond this range. The pattern in which the maxilla was below the normal range of prognathism while the mandible was within this range was approximately one fifth of the class III sample.

  • PDF

악교정술을 요하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악안면 골격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CRANIOFACIAL SKELETON ON ORTHOGNATHIC SURGICAL GASES WITH SKELETAL GLASS III MALOGGLUSION)

  • 임한호;윤영주;김광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89-201
    • /
    • 1998
  •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학생 중 안모형태와 교합상태가 양호하고, 교정치료의 경험이 없는 정상교합자 74명 (남자 38명, 여자 36명)을 대조군으로 하였고 조선대학교 부속 치과병원 교정과에 내원하여 악교정 수술을 통한 교정치료가 필요하다가 진단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 성인 45명 (남자 23명, 여자 22명)을 실험군으로 하여 두부규격방사선 사진을 촬영하고 Burstone & Legan방법에 의해 각각의 계측항목별로 남여를 비교 분석하여 악교정 수술이 필요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환자의 악안면 골격 특성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는 함몰된 안모를 지니고 있었고 (P<0.001), 여자에서 뚜렷한 상악골 열성장 (P<0.nt)과 하악골 과성장 (P<0.01)을 보인 반면, 남자에서는 통계학적인 유의성이 존재하지 않았고 상,하악골 연조직의 전,후방적인 비교에서는 특징적으로 남자는 하악골 연조직의 과다한 전방돌출 (P<0.001), 여자는 상악골 연조직의 과다한 후퇴 (P<0.001)을 보였는데 이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이 남자는 하악골 과성장, 여자는 상악골 열성장에 의해 주로 기인됨을 알 수 있다. 2. 골격성 III급 부정 교합을 지닌 남여 모두에서 특징적으로 MP-HP 각과 genial angle이 커서 하악골의 전하방 과성장을 보인 반면, ramus height는 남여 모두에서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았으며, 상악중절치는 순측경사, 하악전치는 설측경사 되어 있었는데 이는 악교정 수술을 위한 술전교정 치료시 이러한 치성보상을 정상으로 회복시켜 각 골격구조내에서 치아들이 적절하게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것을 의미한다. 3. 여자에서 상안면고경에 비해 하안면고경이 특징적으로 짧았고, 남자의 lower facial throat angle이 특징적으로 작았다. 이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이 남자에서는 하악골의 과다한 하방 성장및 긴 목, 여자에서는 하악골의 전방으로의 과다성장및 짧은 목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 PDF

재발된 법랑아세포종 환자에서 하악골 부분절제술후 금속판과 자가장골을 이용한 즉시재건술에 대한 증례보고 (IMMEDIATE RECONSTRUCTION WITH A.C.P AND ILIAC BONE GRAFT AFTER PARTIAL MANDIBULECTOMY ON RECURRENT AMELOBLASTOMA.)

  • 문행규;여환호;길병동;김운규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1권2호
    • /
    • pp.53-59
    • /
    • 1989
  • 법랑아세포종은 결체조직에 최소의 유도적인 변화를 나타내며 양성이지만 지속성이나 국소적으로 악성양상을 띄는 가장 흔한 형태의 치계 종양이다. 호발연령은 주로 20세부터 50세 사이이며, 임상증상은 환자마다 다양하게 나타나며 상악보다 하악에 호발하며 완만한 성장 속도를 나타낸다. 법랑아세포종의 방사선학적 특징은 병소의 본질과 국소적인 골반응에 의하며, 재발은 약 33%로 흔하며 이것은 불완전한 병소부의 제거로 인한 것이다. 29세의 여성환자에서 하악 우측 소구치부터 하악지까지 발생한 재발성 법랑아세포종의 외과적 절재후 장골 이식과 금속판을 이용한 즉시 재건술을 시행한바 이러한 재건술을 이용하여 양호한 기능, 단기간의 악간고정 기간, 그리고 다른 재건술 보다 용이하였던 바 이에 지견을 얻어 보고드리는 바입니다.

  • PDF

치성각화성낭종 (Odontogenic Keratocyst)환자의 치험례 (ODONTOGENIC KERATOCYST OF A FEMALE CHILD, A CASE REPORT)

  • 이지민;박재홍;김광철;최성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731-736
    • /
    • 2008
  • 치성각화성낭종(Odontogenic keratocyst, OKC)은 치체(dental lamina)로부터 발생하는데, 모든 악골 낭의 $5{\sim}17$% 정도를 차지하며 낭의 내부는 이장상피로부터 유래한 점액성이나 치즈양 물질인 케라틴(keratin)으로 채워져 있다. 치성낭 중 가장 높은 재발률을 보인다는 것이 이 낭의 중요한 특징이다. 간혹 기저층에서 인접 결체조직 벽으로 돌기가 증식하기도 하며 결체조직 벽 내에 존재하는 치성 상피조직 섬의 증식이 위성 소낭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이들 소낭들이 치성각화성낭종의 높은 재발률의 원인으로 여겨진다. 치성각화성낭종은 다양한 연령층에서 발견되나, 20대와 30대에서 호발한다. 남성에서 다소 호발하며 하악, 특히 제3대구 치와 하악지 부위에서 자주 발생한다. 대개 피질골의 팽융에 의해 처음 발견되며 매복치와 관련되어 있고 일반적으로는 증상이 없지만 동통과 감염이 나타날 수도 있다. 흡인시 걸쭉한 노란 치즈양 물질인 케라틴이 관찰되며 특히 재발이 잘 된다. 치성 각화낭의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는 병소가 피질골의 팽창을 많이 유발시키지 않으면서 악골의 내면을 따라 성장한다 는 것이다. 치성각화성낭종화낭은 인접 치아를 변위시키고 흡수시킬 수 있으나 함치성낭보다는 정도가 심하지 않다. 하악관을 하방으로 변위시키기도 하며 상악 병소의 경우는 상악동을 침범해서 상악동 전체를 차지하기도 한다. 본 증례는 7세 10개월 된 여아의 하악 우측 제2유구치 부위에 발생한 치성각화성낭종에 대한 증례로써 전신마취하 낭종적 출술을 시행하였다. 낭종에 포함된 제1,2유구치, 유견치 및 제1소구치 치배를 발거하였으며, 현재 공간유지장치를 장착후 주기적으로 내원중이다.

  • PDF

한국인 성인 안면두개골의 형태적 분류와 특징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CRANIOFACIAL MORPHOLOGIC PATTERNS RELAYED TO DIFFERENT FACIAL TYPES IN KOREAN ADULTS : A CEPHALOMETRIC ANALYSIS)

  • 조상원;최영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85-199
    • /
    • 1999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craniofacial patterns in Korean male and female adults, and to compare morphologic differences between different facial types. In order to get configurational groupings, standardized lateral and P-A cephalograms of 174 Korean adults were measured and analyzed with seven angular, nineteen linear, four ratio, and two index measurements. Ward's minimum variance cluster analysis was employed to divide the sample into groups having similar craniofacial morphology, and thereafter, inductive statistics(t-test) was used to characterize morphologic differences of the divided groups. And also,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o assess correlation between the cranial dimensions and upper/lower anterior facial height(UAFH, LAFH) in each facial types for both male and fema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existed sexual dimorphism in most of variables except SN-FH angle, palatal plane angle, facial axis angle, facial index, lower anterior facial height ratio and upper facial height ratio. 2. A brachycephalic headform ($0.84{\pm}0.05$) with leptoprosopic facial form ($0.92{\pm}0.05$) was appeared in male, and a mesocephalic headform ($0.86{\pm}0.06$) with leptoprosopic facial form ($0.92{\pm}0.04$) was exhibited in female. 3. Facial types in both male and femal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A (mesoprosopic facial type) and Group B (leptoprosopic facial type). The morphologic differences between Group A and Group B were as follows: a. Cranial measurements including index, angular and linear measurements were not found to be different between Group A and Group B in both sexes. b. Increased UAFH, LAFH, and upper/lower anterior dental heights were exhibited in Group Bs of both male and female. c. In both male and female, ramus height and mandible length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Group A and Group B. However, genial angle was found to be larger in Group B than Group A. Therefore, the morphologic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male and female were closely related to less favorable anatomic morphology of the mandible. 4. LAFH and UAFH showed no relationships with cranial dimensions in male and female.

  • PDF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of mandibular foramen and lingula for mandibular anesthesia

  • Ahn, Byeong-Seob;Oh, Song Hee;Heo, Chong-Kwan;Kim, Gyu-Tae;Choi, Yong-Suk;Hwang, Eui-Hwan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50권2호
    • /
    • pp.125-132
    • /
    • 2020
  • Purpose: The positions of the mandibular foramen (MnF) and the lingula affect the success rate of inferior alveolar nerve block.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spects of the MnF and the lingula relevant for mandibular block anesthesia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Materials and Methods: Fifty CBCT scans were collected from a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s system. All scans were taken using an Alphard Vega 3030 (Asahi Roentgen Co. Ltd., Kyoto, Japan). Fifty-eight MnFs of 30 subjec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position of the MnF, the size of the MnF, the position of the lingula, the size of the lingula, and the shape of the lingula were measured and recorded. All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at a significance level of P<0.05. Results: The position of MnF was 0.1 mm and 0.8 mm below the occlusal plane in males and females, respectively.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MnF was slightly anterior to the center of the ramus in males and in the center in females (P<0.05).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MnF was lower in females than in males(P<0.05). The MnF was an oval shape with a longer anteroposterior dimension. The height of the lingula was 9.3 mm in males and 8.2 mm in females. The nodular type was the most common shape of the lingula, followed by the triangular, truncated, and assimilated types. Conclusion: CBCT provided useful information about the MnF and lingula. This information could improve the success rate of mandibular bloc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