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mjet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28초

램제트 엔진의 지상시험용 Vitiated Air Heater의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tiated Air Heater in the Ramjet Engine Ground-Testing)

  • 윤현진;손창현;이충원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51-57
    • /
    • 1999
  • Ramjet 엔진에서 Ramjet 입구의 초음속 유동에 의한 압축과정은 연소기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따라서 고도와 비행조건에 따라 변하는 실제비행조건을 모사하기 위해서는 공기의 온도와 속도를 정확하게 제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Vitiated Air Heater를 제작하여 공기, 수소, 산소의 안을 변화시키면서 Vitiated Air Heater 연소가스(Vitiated Air)의 온도분포와 속도분포, 그리고 연소가스 성분을 측정함으로써 Vitiated Air Heater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Ramjet 엔진의 지상실험범위에 요구되는 Ramjet 연소기 입구의 유입 속도범위(80~120 ㎧)와 온도범위(400~800 K)를 만족하였으며, 균일한 속도 및 온도분포로 대기공기와 같은 산소성분비를 가지는 Vitiated hir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일체형 로켓-램제트 모드 천이 및 불안정 연소 유동장 해석 (Numerical Analysis on the Mode Transition of Integrated Rocket-Ramjet and Unstable Combusting Flow-Field)

  • 고현;박병훈;윤웅섭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5년도 제24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34-342
    • /
    • 2005
  • A numerical analysis is performed using two dimensional axisymmetric RANS (Reynolds Averaged Navier-Stokes) equations system on the transition sequence of the Integrated Rocket Ramjet and the unsteady reacting flow-field in a ramjet combustor during unstable combustion. The mode transition of an axisymmetric ramjet is numerically simulated starting from the initial condition of the boost end phase of the entire ramjet. The unsteady reacting flow-field within combustor is computed for varying injection area. In calculation results of the transition, the terminal normal shock is occurred at the downstream of diffuser throat section and no notable combustor pressure oscillation is observed after certain time of the inlet port cover open. For the case of a small injection area at the same equivalence ratio, periodic pressure oscillation in the combustor leads to the terminal shock expulsion from the inlet and hence the buzz instability occurred.

  • PDF

미 공군의 이중모드 램제트 (DMR) 및 미 해군의 이중연소 램제트 (DCR) 개발 동향 (Research Activities of Dual-Mode Ramjet (DMR) by USAF and Dual-Combustion Ramjet (DCR) by US Navy)

  • 최정열;노진현;원수희;신재렬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00-401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DARPA의 지원하에 미공군이 이중모드 램제트를 이용하여 개발하고 있는 X-51A와 미 해군이 이중연소 램제트를 이용하여 개발하고 있는 HyFly 의 개념 및 연구 개발 활동에 대하여 소개한다.

  • PDF

램제트/스크램제트의 기술동향과 소요기술 분석 I. 램제트 엔진(액체램제트, 덕티드로켓) (Technical Review and Analysis of Ramjet/Scramjet Technology I. Ramjet Engine (Liquid Ramjet, Ducted Rocket))

  • 성홍계;윤현걸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72-86
    • /
    • 2006
  • 램제트 추진기술에 대한 최근 개발동향과 필요 주요기술을 분석하였다. 통합 부스터의 장점을 극대화하면서 부스터의 총역적을 다양하게 조정하는 기술, 램제트 연소실의 길이는 최소화하면서 화염을 안정시키는 기술, 비행 운용범위를 다양하도록 하는 가변노즐 기술, 장시간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열차폐 기술 등이 소개/분석되었다. 여러 나라에서 다양한 램제트 추진기술을 개발해왔으며, 원초적 기술은 어느 정도 성숙되었으며, 군사적 응용과 복합사이클을 사용하는 민수용으로의 적용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보다 효과적으로 다양한 발사 프랫폼에 공통으로 적용 가능한 다용도 램제트 기술 개발을 위하여 최근에 여러 유도탄(미국의 JSSAM, 러시아의 Yakhont)들이 연구되었으며, 이는 기술 신뢰도 향상 및 개발경비 절감을 높일 수 있다는 기대로 도전적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중램제트(이중연소/이중모드)엔진을 위한 램제트/스크램제트의 작동영역분배 및 성능민감도분석 Part I. 작동영역분배 (Performance Load Balancing and Sensitivity Analysis of Ramjet/Scramjet for Dual-Combustion/Dual-Mode Ramjet Engine Part I. Performance Load Balancing)

  • 김선경;전창수;성홍계;변종렬;윤현걸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586-595
    • /
    • 2010
  • 초음속에서 극초음속 영역까지 작동 가능한 이중램제트(이중연소/이중모드) 추진기관의 성능특성을 파악하고 설계인자를 도출하기 위하여 램제트/스크램제트 추진기관의 작동원리에 대한 물리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공기 및 열역학적 관점에서 각 추진기관의 성능특성에 대한 이론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사이클 해석을 기반으로 하여 각 추진기관의 연소기 입구 마하수와 연소기 형상에 따른 성능특성 및 작동영역의 한계를 연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이중램제트의 작동천이 마하수를 파악하고 효율적인 작동영역분배특성을 살펴보았다.

Paraffin-based ramjet missile preliminary design

  • Rogerio L.V. Cruz;Carlos A.G. Veras;Olexiy Shynkarenko
    • Advances in aircraft and spacecraft science
    • /
    • 제10권4호
    • /
    • pp.317-334
    • /
    • 2023
  • This paper presents a basic methodology and a set of numerical tools for the preliminary design of solid-fueled ramjet missiles. An elementary code determines the baseline system configuration comprised of warhead, guidance-control, and propulsion masses and geometries from specific correlations found in the literature. Then, the system is refined with the help of external and internal ballistics codes. Equations of motion are solved for the flight's ascending, cruising, and descending stages and the internal ballistic set of equations designs the ramjet engine based on liquefying fuels. The combined tools sized the booster and the ramjet sustainer engines for a long-range missile, intended to transport 200 kg of payload for more than 300 km range flying near 14,000 m altitude at Mach 3.0. The refined system configuration had 600 mm in diameter and 8,500 mm in length with overall mass of 2,128 kg and 890 kg/m3 density. Ramjet engine propellant mass fraction was estimated as 74%. Increased missile range can be attained with paraffin-polyethylene blend burning at near constant regression rate through primary air mass flow rate control and lateral 2-D air intakes.

일체형 로켓 램제트의 비정상 반응유동장 해석 (Analysis on the Unsteady Reacting Flow-field in Integrated Rocket Ramjet)

  • 고현;박병훈;윤웅섭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494-1498
    • /
    • 2004
  • Transition sequence of rocket to ramjet was simulated numerically for a two-dimensional axisymmetric can-type ramjet engine. Multi-species preconditioned Navier-Stokes equations with $k-{\varepsilon}$ turbulence model and finite-rate chemistry model was employed. To calculate transition sequence, initial flow-field conditions for inlet diffuser with closed port-cover was computed first, and then that result was applied as initial conditions after port-cover opened. Terminal shock was developed as a result of increased pressure in a combustor due to combustion and ramjet operated at supercritical condition. For a smaller nozzle throat area, buzz instability was occurred. Strong pressure oscillations were observed as a result of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erminal shock and those oscillations were not damped out.

  • PDF

램제트 돔 포트 부의 열응력 해석 (Thermal Stress Analysis of Ramjet Dome Port Part)

  • 김승중;최영진;이영신;김재훈;구송회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16-721
    • /
    • 2004
  • In this study, dome port bringing up for discussion where the ramjet occurs in flying it presents the tendency of distribution of thermal contour due to temperature and pressure. It is assumed that the material of ramjet is steel for the ease of result analysis. It applied matrial property which it follows by temperature and input boundary condition that changing temperature and pressure on each region by time difference for transient analysis. Thermal analysis region is decided until dome port part is separated and operate analysis in 0.5 second. Finally we draw tendency of thermal contour in ramjet dome port part by temperature and pressure.

  • PDF

Preliminary Design of Movable Air-Turbo Ramjet Engine Intake

  • Lee, Kyung-Jae;Kang, Sang-Hun;Lee, Yang-Ji;Yang, Soo-Seok;Lee, Dae-Sung;Kwak, Jae-Su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8년 영문 학술대회
    • /
    • pp.480-485
    • /
    • 2008
  • In this study, two types of ramjet intake were designed for the flight condition of Mach number 2 and 5 and numerical analysis was performed. In order to widen the flight envelope range(Mach number $2{\sim}6$), movable intake concept was applied. The central body was designed so that the capture area ratio which is one of most important factors of ramjet intake design could be adjusted. And various types of cowl and movable insert part of shell were designed in order to control throat area which could increase total pressure recovery. The numerical results showed that the designed ramjet intake could be applied in various flights Mach number.

  • PDF

이중램제트(이중연소/이중모드)엔진을 위한 램제트/스크램제트의 작동영역분배 및 성능민감도분석 Part II. 성능민감도 (Performance Load Balancing and Sensitivity Analysis of Ramjet/Scramjet for Dual-Combustion/Dual-Mode Ramjet Engine Part II. Performance Sensitivity)

  • 김선경;전창수;성홍계;변종렬;윤현걸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596-604
    • /
    • 2010
  • 이중램제트(이중연소 및 이중모드) 추진기관의 작동특성 및 주요 설계인자를 파악하기 위하여 램제트/스크램제트 추진기관에 대한 공기 및 열역학적 관점에서 이론적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엔진의 효율계수를 적용한 열역학 사이클 해석을 수행하여 각 추진기관의 성능특성을 파악하고, 흡입구 성능 특성, 연소기 입구 마하수, 연소기 형상 및 당량비(연료분사량)에 따른 성능민감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이중램제트 추진기관의 성능설계방향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