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in radar

검색결과 188건 처리시간 0.03초

레이더 강우와 지상강우 비교에 대한 임계값의 영향 평가 (Effect of Threshold on the Comparison of Radar and Rain Gauge Rain Rate)

  • 윤정수;하은호;유철상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522-522
    • /
    • 2015
  •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hreshold applied to the radar rain rate on the comparison of the radar and rain gauge rain rate was theoretically examined. The result derived was also evaluated theoretically, using the Bernoulli random field, and empirically, using Mt. Kwanak weather radar data.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the application to the Bernoulli random field, it was found that the comparison of the radar and rain gauge rain rate with threshold does not introduce any systematic bias. (2) The same results could also be derived in the application to Mt Kwanak weather radar data. In all cases with several radar bin sizes and thresholds considered, the bias was estimated to be far less than 10% of the mean of the rain gauge rain rate. (3) However, in the comparison with threshold applied to both the radar and rain gauge rain rate, the bias was estimated to be higher than 20%. That is, the systematic bias was introduced.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comparison with threshold applied to both the radar and rain gauge rain rate should not be used.

  • PDF

Combined Microwave Radiometer and Micro Rain Radar for Analysis of Cloud Liquid Water

  • Yang, Ha-Young;Chang, Ki-Ho;Kang, Seong-Tae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12-15
    • /
    • 2013
  • To combine the micro rain radar and microwave radiometer cloud liquid water, we estimate the cloud physical thickness from the difference between the MTSAT-1R cloud top height and cloud base height of visual observation of Daegwallyeong weather station, and the cloud liquid water path of micro rain radar is obtained by multiplying the liquid water content of micro rain radar and the estimated cloud physical thickness. The trend of microwave radiometer liquid water path agrees with that of the micro rain radar during small precipitation. We study these characteristics of micro rain radar and microwave radiometer for small precipitation to obtain the combined cloud water content of micro rain radar and microwave radiometer, constantly operated regardless to the rainfall.

강우 레이더 전파간섭 분석 (An Analysis of Radio Interference in the Rain Radars)

  • 김영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7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강우 레이더간 간섭 현상과 강우 레이더의 스퓨리어스 방사 신호로부터 발생되는 인접 무선국에 대한 간섭 현상을 분석한다. 강우 레이더는 강우강도를 측정하고 강우를 예측하기 위하여 수평 지향각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높은 출력으로 동일 또는 인접대역의 통신기기 및 레이더간 간섭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S대역 주파수 영역의 전파 특성과 강우 레이더의 전파 간섭 보호비를 도출하여 강우 레이더간 간섭 현상과 인접 무선국의 간섭 영향을 분석한다. 아울러 인접 무선국에 대한 강우 레이더의 전파 간섭영향과 강우 레이더의 스퓨리어스 방사 특성으로부터 강우 레이더의 방사 스펙트럼 특성을 제안한다. 인접 무선국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105 dB 이상의 스퓨리어스 억압 특성을 가져야 하며, 레이더간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운용 시각 및 PRF를 다르게 설정하여 운용하여야 한다.

강우 레이더 전파간섭 분석 (Analysis of Interference Protection among the Rain Radars)

  • 나상근;김군중;지석근;김영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53-556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강우 레이더간 간섭 현상과 강우 레이더의 스퓨리어스 방사 신호로부터 발생되는 인접 무선국에 대한 간섭 현상을 분석한다. 강우 레이더는 강우 강도를 측정하고 강우를 예측하기 위하여 설치 운영되고 있으며, 높은 출력으로 동일 또는 인접 대역의 통신기기 및 레이더간 간섭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S 대역 주파수 영역의 전파 특성과 강우 레이더의 전파간섭 protection ratio를 도출하여 강우 레이더의 전파 간섭 현상을 분석한다. 아울러 강우 레이더의 스퓨리어스 방사 특성으로부터 인접 무선국에 미치는 전파 간섭 영향을 분석하여 강우 레이더의 방사 스펙트럼 특성을 제안한다.

  • PDF

강우 레이더와 지상 우량계의 통합관측효과 (Effect of Combined Rainfall Observation with Radar and Rain Gauge)

  • 유철상;김경준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0권11호
    • /
    • pp.841-849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우량계와 강우 레이더를 함께 이용하는 경우의 통합관측 효과를 검토하였다. 통합관측효과는 서로 직교하는 관측방법의 결합에 따른 관측오차의 감소를 고려함으로써 평가된다. 구체적인 적용 예로서 금강유역에 대하여 강우 레이더가 추가로 설치되는 경우 우량 관측망 밀도를 어느 정도까지 조정할 수 있는지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North and Nakamoto(1989), Yoo et al. (1996), 유철상(1997)의 관측오차 관련 연구를 응용하였으며, 강우장의 모형화를 위해서는 그 구조가 간단한 NFD 모형을 이용하였다. 모형의 매개변수는 금강유역의 28개 우량 관측소 시자료를 이용하여 추정된 강우장의 특성치(상관거리 및 상관시간)를 이용하여 결정하였고, 레이더의 운영 특성은 임의로 가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WMO(1994)의 추천 우량관측 밀도와 금강유역에 설치된 우량 관측 밀도를 고려하여 레이더의 도입으로 인한 우량 관측 밀도의 조정 방안을 제시하였다.

레이더에 의한 개선된 강우강도와 면적 강우량의 실시간 추정 (Improvement of Radar Rainfall Intensity and Real-time Estimation of Areal Rainfall)

  • 정성화;김경익;김광섭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643-646
    • /
    • 2006
  • An operational calibration is applied to improve radar rainfall intensity using rainfall obtained from rain gauge. The method is applied under the assumption of the temporal continuity of rainfall, the rainfall intensity from rain gauge is linearly related to that from radar. The method is applied to the cases of typhoon and rain band using the reflectivity of CAPPI at 1.5km obtained from Jindo radar. The CAPPI is obtained by bilinear interpolation. For the two cases, the rainfall intensities obtained by operational calibration are very consistent with the ones by the rain gauges. The present study shows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ainfall intensity by operational calibration and rain gauges is better than the one between the rainfall intensity by M-P relationship and rain gauges.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total rainfall intensity obtained by operational calibration and rain gauges in typhoon and rain band cases are 0.99 and 0.97, respectively. Areal rainfalls are estimated using the field of calibration factor interpolated by Barnes objective analysis. The method applied here shows an improvement in the areal rainfall estimation. For the cases of typhoon and rain b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real rainfall by operational calibration and rain gauges is better than the one between the area rainfall by M-P relationship and rain gauges.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areal rainfall obtained by operational calibration and rain gauges in typhoon and rain band cases are 0.97 and 0.84, respectively.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the operational calibration is very useful for the real-time estimation of rainfall intensity and areal rainfall.

  • PDF

지상우량계와 기상레이더 강우강도의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Rainfall Intensity Between Ground Rain Gauge and Weather Radar)

  • 류찬수;강인숙;임재환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4권3호
    • /
    • pp.229-237
    • /
    • 2011
  • Today they use a weather radar with spatially high resolution in predicting rainfall intensity and utilizing the information for super short-range forecast in order to make predictions of such severe meteorological phenomena as heavy rainfall and snow. For a weather radar, they use the Z-R relation between the reflectivity factor(Z) and rainfall intensity(R) by rainfall particles in the atmosphere in order to estimate intensity. Most used among the various Z-R relation is $Z=200R^{1.6}$ applied to stratiform rain. It's also used to estimate basic rainfall intensity of a weather radar run by the weather center. This study set out to compare rainfall intensity between the reflectivity of a weather radar and the ground rainfall of ASOS(Automatic Surface Observation System) by analyzing many different cases of heavy rain, analyze the errors of different weather radars and identify their problems, and investigate their applicability to nowcasting in case of severe weather.

레이더 반사도 유형분류 알고리즘을 이용한 청주 부근에서 관측된 강우시스템의 사례 분석 (Case Study of the Precipitation System Occurred Around Cheongju Using Convective/Stratiform Radar Echo Classification Algorithm)

  • 남경엽;이정석;남재철
    • 대기
    • /
    • 제15권3호
    • /
    • pp.155-165
    • /
    • 2005
  • The characteristics of six precipitation systems occurred around Cheongju in 2002 are analyzed after the convective/stratiform radar echo classification using radar reflectivity from the Meteorological Research Institute"s X-band Doppler weather radar. The Biggerstaff and Listemaa (2000) algorithm is applied for the classification and reveals a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nvective and stratiform rain diagnosed from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the radar reflectivity. The area satisfying the vertical profile of radar reflectivity is well classified, while the area near the radar site and the topography-shielded area show a mis-classification. The seasonal characteristics of the precipitation system are also analyzed using the contoured frequency by altitude diagrams (CFADs). The heights of maximum reflectivity are 4 km and 5.5 km in spring and summer, respectively, and the vertical gradient of radar reflectivity from 1.5 km to the melting layer in spring is larger than in summer.

Measurements of Cloud Raindrop Particles Using the Ground Optical Instruments and Small Doppler Radar at Daegwallyeong Mountain Site

  • Oh, Sung-Nam;Jung, Jae-Won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93-306
    • /
    • 2013
  • Hydrometeor type and Drop Size Distribution (DSD) in cloud are the fundamental properties that may help explain the rain formation processes and determine the parameters of radar meteorology. This study presents a preliminary analysis of hydrometeor types and DSD data of cloud measured with a PARSIVEL (PARticle SIze and VELocity) optical disdrometer at the site of Cloud Physics Observation System (CPOS, $37^{\circ}41^{\prime}N$, $128^{\circ}45^{\prime}E$, 843 m from sea level) in Daegwallyeong mountainside of Korea. The method has been validated by comparing the observed rainfall rates with the computed ones from the fitted distribution, using the physical data such as DSD, terminal velocity, and rain intensity which were measured by a Micro-Rain Radar (MRR) and a PARSIVEL optical disdrometer. The analysis period started in three cases: on rainy days with light rain (15.5 mm), moderate rain (76 mm), and heavy rain (121 mm), from March to November 2007, respectively.

레이더 강우의 편의 보정을 위한 지역적으로 편중된 우량계망의 평가: 강화 강우레이더의 사례 연구 (Evaluation of Spatially Disproportionate Rain Gauge Network for the Correction of Mean-Field Bias of Radar Rainfall: A Case Study of Ganghwa Rain Radar)

  • 유철상;윤정수;김병수;하은호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2권6호
    • /
    • pp.493-503
    • /
    • 2009
  • 레이더 강우의 편의 추정은 근본적으로 레이더 강우의 평균과 참값으로 가정되는 우량계 강우의 평균과의 차이를 결정하는 문제이다. 두 관측치의 차이를 정확히 결정하기 위해서는 두 관측치의 차이에 대한 분산이 매우 작아야 하며, 따라서 비교되는 관측치의 수가 충분히 확보되어야 한다. 즉, 이 문제는 두 관측치의 차이에 대한 분산의 규모를 주어진 조건에 맞추기 위해 필요한 우량계의 수를 결정하는 것이 된다. 본 연구에는 특히 일부 지역에만 우량계의 설치가 가능한 경우를 대상으로 하고자 한다. 이는 임진강 유역에 대해 강우레이더를 운영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문제이며, 또한 바다와 접한 지역에서 레이더를 설치 운영할 경우에도 발생하는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임진강 유역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전체 유역의 약 1/3정도인 하류유역에서만 우량계 자료가 가용한 경우와 전체 유역에 대해 우량계 강우가 가용한 경우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임진강 유역 전체 지역에 고르게 우량계가 분포할 경우의 관측정도를 얻기 위한 하류유역의 우량계 밀도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