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ilroad alignment improvement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초

지능형 철도 선형개량 계획 및 분석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Intelligent Planning and Analysis Method for Railroad Alignment Improvement)

  • 김정현;이준;오지택;임준범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3권5호
    • /
    • pp.651-657
    • /
    • 2023
  • 국내외 철도사업에서 철도의 신규 건설과 더불어 기존선의 개량을 통한 증속, 고속화 사업도 큰 비중을 차지고 있다. 특히 해외의 개발도상국은 경제수준을 고려할 때 고속철도의 건설은 막대한 규모의 예산소요와 수요를 고려할 때 한계가 있어, 기존 철도의 선형개량을 통한 증속사업이 실현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형개량을 통향 기존선의 증속사업의 효율적 기획과 분석을 위하여, 기존에 신규 철도 건설사업 분석에 활용되고 있는 지능형 철도선형계획 프로그램(ei-Rail)에 선형개량사업 분석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수치지도 또는 기존의 위성사진 자료를 기반의 베이스 맵에 기존의 철도선형을 입력하고, 목표속도등 선형개량사업의 목표를 입력하면, 사업의 비용과 도면, 증속효과 분석 결과 등을 자동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철도선형개량 사업의 기획과 분석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지능형철도선형계획 프로그램(ei-Rail) 기반의 단선철도 복선화 계획 기술개발 (Development of Planning Method for Double-Tracking of Single Track Railroad based on the Intelligent Rail Alignment Planning Program (ei-Rail))

  • 김정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2권6호
    • /
    • pp.837-842
    • /
    • 2022
  • 2013년에 개발된 지능형 철도선형계획 프로그램(ei-Rail)은 주로 해외의 신규 철도건설사업 사전 기획 분석 및 설계 결과 검증 등에 활용되어왔다. 그러나 한국 철도산업의 해외 진출 대상국인 개발도상국에서는 대규모 비용이 소요되는 신규 철도건설사업 보다는 기존 철도의 선형개량을 통한 증속, 또는 단선철도의 복선화 등의 사업이 보다 필요하고 실행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며, 이런 유형의 사업수요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신규 철도건설 사업 분석기능 중심의 ei-Rail 프로그램에 철도복선화 사업 분석기능을 추가하고자, 철도 복선화사업 모듈을 개발하였다. 기존에 운행 중인 철도 선형자료를 기반으로 복선화 사업의 종류와 규모를 반영하고 대상 지역별 공종 단가를 적용하여 공사비를 산출하고 설계도면 제작을 자동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해외의 사례 적용을 통하여 ei-Rail의 복선화 사업 분석기능을 검증하였다. 향후 해외를 대상으로 하는 철도 복선화 사업의 기획 및 분석결과 검증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철도 평면선형 개량시 설계초기조건이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esign Initial Condition on Renewal of Railway Existing Curves)

  • 엄주환;최일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906-2910
    • /
    • 2015
  • 철도 선로선형은 한번 건설되면 변경하기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철도에서 선로선형의 변경은 일반적으로 큰 경제적비용을 수반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고속철도 및 일반철도의 속도향상을 위한 선형개량 시, 경제성을 고려한 평면선형의 허용개량범위 결정에 설계초기조건(교각)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교각(Intersection Angle)이 클수록 직선부에 지장물이 있는 경우가 허용범위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각이 클수록 최대 허용곡선반경은 작아지며, 허용완화곡선장은 길어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교각의 크기 및 지장물 위치에 따른 개량허용범위를 쉽게 예상할 수 있으며, 속도향상 및 선로개선을 위한 선형 개량시 지장물을 고려한 경제적 설계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PSC-beam 교량에서 철도소음 예측 및 저감방안 연구 (A Study on railway noise prediction and reduction of PSC-beam bridge)

  • 임광만;엄기영;조국환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1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20-328
    • /
    • 2011
  • The down town passage segment which follows in the straight line which follows recently in high speed of the railway and rail construction is increasing. Also according to quality of life improvement of the citizens whom follows in national income increase the resident demand only becomes larger day by day about a environmental creation which is comfortable and house environmental etc. Demand of the citizens is not the problem of today yesterday about like this railway mean of transportation and with the fact that continuously will increase in future. This study is to predict and reduce railway noise from the conventional PSC-beam bridges which passes through urban areas under the government strateges of speed and weight increases of railwa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mmend a proper noise prediction method for designing pleasant roadside environments. The railway design including existing line reconstructions should minimize curved alignment to increase train speed to 180~200km/hr under the government's long-term planing such as the 4th Comprehensive National Development Plan (2000~2020), National Intermodal Transportation Plan (2000~2019) and National Railroad Network Establishment Plan (2006~2015), Since the PSC-beam bridges are mainly used for bridge structures urban areas, noise measurements were performed and analyzed to recommend the noise prediction methods for each type and speed of train respec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