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dish bud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42초

추출용매 및 발아시기에 따른 무순 추출물의 생리활성 비교 (Comparison of Physiological Activities of Radish Bud (Raphanus sativus L.) according to Extraction Solvent and Sprouting Period)

  • 한진희;문혜경;정신교;강우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549-55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무순을 추출용매 및 발아시기에 따라 추출하여 아질산염 소거능, SOD 유사 활성, tyrosinase 저해 활성,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 그리고 ACE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에서는 pH 1.2의 Z2조건에서 각 추출물들이 81.44~89.71%로 가장 높은 소거능을 나타내었고 pH 1.2와 pH 4.0의 조건에서 발아 4일째와 8일째의 무순 추출물이 발아 12일째의 무순 추출물보다 높은 소거능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 추출용매에 따라 소거능의 차이는 보였으나 물로 추출한 추출물이 상대적으로 다른 용매 추출물에 비해 소거능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pH 6.0 조건에서는 에탄올 추출물이 16.12%의 활성을 보여 발아 12일째 무순의 에탄올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의 소거능 효과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무순 추출물의 SOD 유사 활성은 4.57~27.05%의 범위를 보였고 비교물질인 L-ascorbic acid의 활성이 52.15%로 무순 추출물의 활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냈다. 추출물 중에서는 발아 8일째의 아세톤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의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발아 12일째의 무순 추출물의 SOD 유사 활성은 4.57~15.59%로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yrosinase 저해 활성은 발아 8일째와 12일째의 무순 추출물의 활성이 좋았으며, 추출용매는 메탄올 추출물이 62.65~84.89% 측정되어 가장 좋은 저해 활성을 보였다.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은 발아 4일째의 무순 추출물이 21.26~29.52%로 아세톤 추출물이 가장 높은 저해능을 나타내었고 발아초기에 비해 발아가 진행됨에 따라 저해능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발아시기와 추출용매에 따른 ACE 저해능은 12.48~51.78%의 저해 활성을 보였으며, 발아 8일째의 에탄올 추출물이 51.78%로 각 추출물 중 가장 높은 저해 활성을 보였다. 이와 같은 생리활성 결과를 기초로 하여 천연 기능성 식품의 소재 발굴 및 식품 개발에 있어 연구 활용의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일반적으로 섭취하여 큰 효능을 기대하기 어려운 무순을 유효성분만을 추출하여 소재화 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현행 건강기능식품법에 따르면 물, 주정, 핵산 등의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으므로 용매의 종류 및 추출방법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큰 기대 효과를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Microspore-derived Embryo Formation and Morphological Changes during the Isolated Microspore Culture of Radish (Raphanus sativus L.)

  • Han, NaRae;Kim, Sung Un;Park, Han Young;Na, Haeyoung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3호
    • /
    • pp.382-389
    • /
    • 2014
  • Raphanus sativus L. cv. Taebaek, a efficiently microspore-derived embryo (MDE)-forming cultivar, and 'Chungwoon', a non-MDE-forming cultivar were selected as donor plants for isolated microspore culture. Radish flower bud of 2.0 (small, S), 4.0 (medium, M), and 6.0 (large, L) ${\pm}$ 0.5 mm in length were isolated to determine the temporal relationship between flower bud size and MED yield. Anatomical observations revealed no difference in the structure of the flower buds between the two cultivars. In both cultivars, the stigmas were much longer than the floral leaf in M-sized flower buds. The MDE yields for 'Taebaek' per petri dish were 6.6 and 1.3 for M- and L-sized of flower buds, respectively, but MDE formation was not induced in the S flower buds. On the other hand, 'Chungwoon' failed to form MDEs in all flower buds. The microspore density of 'Taebaek' was 1.3 times more than that of 'Chungwoon' for M sized flower buds. Of the M-sized buds from 'Taebaek' and 'Chungwoon', 92.1 and 81.6%, respectively, were in the late uninucleate microspore stage,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highest frequency of MDE formation. Anatomical observations of MDE formation revealed that the microspores were able to divide to form a primordium from which cell division took place continuously in the 'Teabeak' cultivar. However, the microspores of 'Chungwoon' failed to progress beyond the primodium stage, resulting in lack of MDE formation. By contrast, after the formation of the primordium, various developmental stages of embyos from microspore were observed in the 'Taebaek' cultivar.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determine MDE forming potentials of radish cultivars.

성장시기별 무순의 화학적 조성 변화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 of Radish bud (Raphanus sativus L.) during Growth Stage)

  • 한진희;문혜경;김종국;김귀영;강우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596-602
    • /
    • 2003
  • 성장 중 무순의 비타민 C 및 총페놀 함량은 성장 초기인 4일에 각각 22.19 mg% 및 4.99 mg%로 낮았으나 성장 최적기로 판단되어지는 8일에 각각 25.85 mg% 및 17.87 mg%로 가장 높은 값을 보이다 성장 12일경에는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리당은 sucrose glucose, fructose 3종류가 확인되었으며, sucrose 함량은 4일에서 2.07 mg/g으로 다른 유리당에 비하여 다소 낮게 검출되었으며, 8일에는 점점 감소하였다. glucose 함량은 8일에서9.94 m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성장 4일과 성장 12일 후의 값이 각각 7.63 mg/g 과 7.99mg/g로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fructose 함량은 4일과 8일에서 3.66 mg/g 과 4.65 mg/g으로 점차 증가하다 성장 12일경에 2.94 mg/g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무순의 성장 단계에 따른 아미노산은 총 16종의 아미노산이 발견되었고, glycine 은 검출되지 않았다. 총 아미노산은 성장 단계가 길어질수록 감소하였고 비 필수 아미노산을 제외한 필수 아미노산은 약 40 %였으며 역시 성장단계가 길어질수록 감소하였다. 또 glutamic acid 와 alanine, aspartic acid가 아미노산 중 39%를 차지하였으며, 그 중에서 glutamic acid가 약 46 % 많은 양을 보였다. 비휘발성 유기산은 oxalic acid, levulinic acid, malic acid, citric acid가 발견되었으며, 4 일에서 levulinic acid 와 malic acid 는 1.02mg/g 및 0.92mg/g 로 낮았으나 성장 8일에서 증가하기 시작하여 성장 12일경에는 각각 3.02 mg/g 및 1.66mg/g 으로 높은값을 보였다. citric acid 는 성장 초기인 4 일에는 0.75 mg/g 로 성장 8일 까지 증가하다 성장마지막 단계인 12일경에는 0.47mg/g 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 결과에 따르면 성장시기에 따른 무순의 화학적 특성은 발아 후 4일에서 8일 사이에 채취한 무순이 영양학적 측면이나 외관상으로 적당하며, 페놀과 비타민C 함량이 많아 천연 항산화제로의 이용과 유리당 유기산 및 아미노산도 골고루 함유되어 있어 영양학적인 측면이나 맛에 직접 관여함으로써 고기능성 식품 개발에 크게 기여하리라 생각된다.

추출용매 및 발아시기에 따른 무순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Radish Bud (Raphanus sativus L.) According to Extraction Solvents and Sprouting Period)

  • 한진희;문혜경;정신교;강우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1호
    • /
    • pp.1767-177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무순을 발아시기별로 70% 에탄올, 80% 메탄올, 75% 아세톤, 물 등 용매종류에 따라 추출한 후 폴리페놀 함량과 전자 공여능, TBARS, 산화안정도 측정, 과산화물가 등 항산화특성을 확인하는 실험을 하였다. 폴리페놀 함량은 발아 4일째에서 에탄올추출물이 296.51 mg/g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메탄올추출물이 219.39 mg/g으로 많았다. 발아 8일째에서는 에탄올추출물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메탄올추출물과 아세톤추출물은 각각 197.72 mg/g, 200.45 mg/g으로 유의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에서 발아 4일째에 물추출물이 86.67%로 가장 높은 소거능을 보였으며 아세톤추출물에서 77.23%로 낮은 소거능을 보였다. 발아 8일째 라디칼 소거능은 아세톤추출물이 89.18%로 가장 높았으며 에탄올추출물이 70.14%로 가장 낮은 소거능을 보였다. 또 발아 12일째의 라디칼 소거능은 4일째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TBARS를 통한 지질과산화 억제효과 측정에서 발아 4일째 무순추출물의 TBARS값은 70% 에탄올추출물이 71.48%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발아 8일째가 되면서 TBARS값이 상승하여 메탄올추출물이 78.99%로 높은 값을 보였고, 아세톤 추출물의 값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발아 12일이 되면서 TBARS값은 상대적으로 낮아졌으며, 발아 4일째와 유사한 경향의 값을 나타내었다. Rancimat에 의한 산화안정도 측정에서 발아 4일째의 산화유도기간은 메탄올추출물이 6.07시간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항산화지표는 1.16의 수준을 보였다. 발아 8일째의 산화유도기간은 발아 4일째 산화유도기간보다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메탄올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 아세톤추출물은 비슷한 경향을 보이며 유의차가 없었으나 물추출물의 산화유도기간이 낮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였다. 발아 12일이 되면서 전반적인 산화유도기간이 5.25~5.91시간으로 낮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으며 메탄올추출물을 제외한 나머지 추출물은 발아 4일째와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항산화지표 또한 1.00~1.13의 수준을 나타냈다. 과산화물가 측정에서 무순추출물의 과산화물가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발아 4일째 저장기간 0일에서 각 추출물들이 3.02~4.21 meq/kg oil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저장기간 60일에서 물추출물이 43.83 meq/kg oil과 메탄올추출물에서 45.42 meq/kg oil을 나타내어 두 추출물이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 황산화 효과가 높았으며 발아 8일째와 발아 12일째의 무순추출물에서도 모두 비슷한 경향을 보이며 저장기간이 늘어날수록 과산화물가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무순추출물은 총 페놀 함량이 높고 항산화활성도 높게 나타나 천연항산화제와 같은 식품첨가물 및 식품보존제 등 기능성소재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Vitamin U in Medicinal Food Plants

  • Kim Gun-Hee
    • 한국식품영양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4년도 Annual Meeting and International Symposium
    • /
    • pp.224-231
    • /
    • 2004
  • Vitamin U levels in 26 kinds of food plants are well known to healthy vegetables in Asian or Western countries were determined. Spinach showed the highest level of 452.04 mg/kg and in order Pack-choi (343.18 mg/kg) > Kale (234.18 mg/kg) > Somssukbujaengi (197.66 mg/kg) > leaf mustard (196.21 mg/kg) > aralia bud (192.50 mg/kg)> broccoli (189.03 mg/kg) >Asparagus (187.35 mg/kg). Among Korean wild medicinal plants, Sumssukbujaengi showed the highest value followed by Sanmanul (a kind of wild garlic) level of 143.46 mg/kg. For Chinese cabbages and cabbages, vitamin U showed different levels according to the parts of plant such as core, middle, outward leaves. In both samples, middle parts of leaves including midribs contained the highest level of vitamin U. The level of vitamin U was dependent on the part of the plant sample and cultivars. Leaf parts of turnip and white radish showed higher value of 84.82 mg/kg and 124.62 mg/kg than those of roots which were in order of middle (112.39 mg/kg), top (84.84 mg/kg) and bottom (84.61 mg/kg) portions in the white radish. In the analysis of amino acids, we didn't find either distinctive relationship between methionine and vitamin U synthesis or significant connection various free amino acids and vitamin U level in food plants.

  • PDF

Microspore-derived Embryo Formation in Response to Cold Pretreatment, Washing Medium, and Medium Composition of Radish (Raphanus sativus L.)

  • Chun, Chang-Hoo;Na, Hae-Young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5호
    • /
    • pp.494-499
    • /
    • 2011
  • Cold pretreatment, washing medium and composition of nutrient media may have marked effects on microspore embryogenesis. When microspores isolated from radish (Raphanus sativus L. cv. Gwanhun) flower buds were washed with Nitsch & Nitsch (NLN) medium liquid medium containing $130g{\cdot}L^{-1}$ sucrose (NLN-13), yields of microspore-derived embryos were greater than when using B5 liquid medium containing $130g{\cdot}L^{-1}$ sucrose. Microspore viability is known to decrease rapidly with storage; however, in this experiment, microspore viability was maintained for 24 h at $4^{\circ}C$ without media. Among the various medium concentrations used ($0.25{\times}$, $0.5{\times}$, $1.0{\times}$, $2.0{\times}$, and $4.0{\times}$ NLN liquid medium), $0.5{\times}$ NLN liquid medium induced the most efficient formation of microspore-derived embryos. In addition, microspore-derived embryos yields were greater when microspores were cultured in $0.5{\times}$ NLN liquid medium supplemented with $0.25{\times}$, $0.5{\times}$, and $1.0{\times}$ NLN microelements, compared to medium not supplemented with microelements. In this study, the highest yield of microspore-derived embryos was observed when the microspores derived from flower buds were washed using NLN-13 liquid medium and then cultured on $0.5{\times}$ NLN liquid medium supplemented with $0.25{\times}$ NLN microelements, followed by incubation at $25^{\circ}C$ for 30 days.

온라인 판매 농산물 잔류농약 실태 및 안전성 평가 (Monitoring and Safety Assessment of Pesticide Residues on Agricultural Products Sold via Online Websites)

  • 박덕웅;김애경;김태순;양용식;김광곤;장길식;하동룡;김은선;조배식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2-31
    • /
    • 2015
  • 본 연구는 2014년도 온라인으로 판매되고 있는 농산물의 잔류농약 실태와 안전성 평가를 시행하였다. 총 124건의 농산물(엽채류 98건, 엽경채류 26건)을 2014년도 3월부터 8월까지 6차례 20곳의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무작위로 수거 및 전처리 후 GC-ECD/NPD와 LC-MS/MS를 사용하여 208종의 농약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깻잎, 깻순, 부추, 쑥, 열무, 대파, 취나물 7종 11건(8.9%)의 농산물에서 11종의 농약 19건이 검출되었다. 농산물 중 2건(깻순, 쑥)에서는 잔류허용기준치 이상의 농약이 검출되었다. 검출된 농약의 EDI(Estimated daily intake)와 ADI(Acceptable daily intake)를 비교하여 안전성 평가를 시행한 결과 %ADI가 100%를 넘는 대상은 없었으나 클로로타로닐이 잔류허용기준치 이상 검출된 깻순에서는 95.7%의 결과를 보이는 등 안전성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앞으로 국가 농산물 잔류농약 안전성 검사 정책 결정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Tyrosinase 활성을 저해하는 식물체의 탐색 (Screening of Tyrosinase Inhibitor from Plants)

  • 정승원;이남경;김석중;한대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891-896
    • /
    • 1995
  • 식품의 효소적 갈변을 일으키며 생체 내에서는 melanin 생합성을 촉매하는 효소인 tyrosinase의 저해제를 천연물로부터 탐색하기 위하여 mushroom tyrosinase와 L-3,4-dihydroxyphenylalanine을 이용한 효소반응 시스템을 도입하여 채소류, 과실류 및 약용식물류 등의 식용식물체 129종 및 수용성 화합물 15종의 tyrosinase 활성 저해능을 측정하였다. 엽경채류의 경우 무순>레드치커리>냉이>쪽파>브로콜리>꽃양배추의 순으로 약 50% 이상의 높은 저해능을 보였으며 근채류, 버섯류 및 다류에서는 무, 마늘, 팽이버섯, 표고버섯, 느타리버섯, 녹차, 홍차가 50% 이상의 저해능을 보였다. 과채류의 경우 홍고추>모과>아보카도의 순으로 높은 효소저해 효과를 보여 50% 이상의 저해능을 나타내었으나 과실류는 전반적으로 저해능이 낮은 편이었다. 약용식물류에서는 오매>계피>복분자>상백피>측백엽>갈근>작약>산사자의 순서로 50% 이상의 효소활성 저해능을 보였으며, 초본류의 경우 올스파이스, 정향, 계피, 겨자가 50% 이상의 저해능을 보였다. 한편, 분석한 몇가지 수용성 화합물에 있어서는 4-hexylresorcinol, L-cysteine, glutathione, sodium bisulfite, kojic acid가 강력한 tyrosinase 활성 저해효과를 나타냈다.

  • PDF

역미셀계를 이용한 지용성 식물체 추출물의 tyrosinase 저해효과 분석 (Ability of Lipophilic Extract Obtained from Plants to Inhibit Tyrosinase Activity in Reverse Micelles)

  • 신유정;한대석;김석중;김인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736-741
    • /
    • 2000
  • 체내에서 멜라닌 생합성을 촉매하는 tyrosinase에 대한 천연의 지용성 저해제 발굴을 위하여, isooctane/AOT(100 mM)/인산완충용액(20 mM, pH 8.0)으로 구성되고 tyrosinase(105.3 units/mL)와 3,4-dihydroxyphenyl-alanine(0.18 mM)을 함유한 역미셀계에서 식물체 75종의 petroleum ether 추출물이 tyrosinase 반응을 억제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조사대상 식물체중에서 마늘이 in vitro 멜라닌 합성 반응을 완전히 저해하였고(100%), 모과, 고구마, 양파, 무순, 사과의 저해활성이 60% 이상이었다. 한약재와 향신료 중에서는 로즈마리, 고수, 계피, 산사자, 측백엽, 오매, 두충, 박하, 정향이 60% 이상의 저해능을 보였다. 그리고 각 식물체의 tyrosinase 저해효과와 더불어 추출수율을 함께 고려했을 때, 단위 원재료로부터 tyrosianse 저해제 생산을 많이 할 수 있는 소재를 선정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역미셀계를 이용함으로서 기존에는 분석이 어려웠던 지용성 물질의 tyrosinase 저해효과를 측정할 수 있었다.

  • PDF

경북지역 초.중.고.대학생의 채소류 기호도와 섭취빈도 비교 (The Differences in Preference for Vegetables among Primary School to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buk Area)

  • 이윤경;김영남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15-424
    • /
    • 2014
  • Objectives: Vegetables are the most left over side dishes in school lunch programs.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preference for vegetables among the students of different age groups in order to determine potential ways of increasing vegetable consumption in this study group. Methods: A total of 308 primary to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buk area were recruited and a questionnaire-based survey was conducted. The preference score (7-Likert scale: very much dislike (1)~so-so (4)~like very much (7)) and intake frequency (5-Likert scale) of 48 kinds of vegetables in 4 vegetable groups, such as vegetable (fruit-, root-, leaf-, and stalk-vegetable), seaweeds, mushrooms, and kimchi were investigated, and data were analyzed by SPSS WIN (ver 12.0). Results: The preference scores of vegetables except for seaweed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school groups, university was the highest, followed by high school. Prim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the lowest preference score, especially for leaf- and stalk- vegetables. The preference score for seaweeds was the highest of 5.28, followed by kimchi of 4.99. With regard to kimchis, the preference score was the highest in university', followed by high school, middle school, and primary school' was the lowest. The number of vegetables with < 4.0 preference score was the highest in primary school of 16, 15 in middle school, 11 in high school, and 7, the lowest in university. The vegetable with preference score of < 4.0 in all 4 school groups were mallow, chard, bud, radish leaf, mugwort, butterbur and sweet potato stalk. With regard to the intake frequency of vegetables, kimchis, an indispensable part of the Korean diet, was the highest of 2 times/day, followed by cooked vegetables of 1.5 times/day.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preference scores and intake frequenci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l groups of vegetables. As for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CV) of preference score, primary school' was the highest and university' was the lowest. The number of vegetables with high CV and high inexperience were highest in primary school students. Conclusions: Providing more opportunities for consuming a variety of vegetables, such as leaf- and stalk-vegetable, it may be possible to increase vegetable consumption, especially for the primary school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