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diophotoluminescent glass rod detector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32초

유리선량계를 이용한 감마나이프의 출력인자 결정 (Determination of Output Factors for the Gamma Knife using a Radiophotoluminescent Glass Rod Detector)

  • 라정은;서원섭;신동오;김희선;서태석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8권1호
    • /
    • pp.13-19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유리선량계가 방사선 치료장비의 선량계로서의 적정성 여부를 확인하고자 감마나이프의 출력인자 및 X축 측방선량분포를 측정하였다. 출력인자는 가장 큰 콜리메이터인 18mm의 측정값을 기준으로 하여 14, 8 그리고 4mm에 대해 상대적으로 측정하였고 그 결과 각각 $0.980{\pm}0.013,\;0.949{\pm}0.013$ 그리고 $0.872{\pm}0.012$로 나타났다. 이는 제작회사에서 제공하고 있는 표준데이터와 모든 콜리메이터에서 1.0% 이내에서 잘 일치하는 결과이다. 또한 유리선량계로 측정한 4mm 콜리메이터의 x축 측방선량분포의 반치폭은 5.9mm였다.

  • PDF

유리선량계의 선량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Dosimetric Properties of Radiophotoluminescent Glass Rod Detector)

  • 라정은;신동오;홍주영;김희선;임천일;정희교;서태석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1권4호
    • /
    • pp.181-18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최근 들어 새롭게 소개되고 있는 유리선량계의 재현성 및 선량의 선형성 그리고 에너지 의존성을 조사하였다. 50개의 유리선량계를 5번 판독한 결과, 재현성은 모두 ${\pm}1.2%$(1SD)이내에서 잘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60}Co$ 감마선에서 선량 0.5 Gy부터 50 Gy까지 유리선량계의 반응도를 평가해 본 결과는 0.9998의 선형계수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유리선량계의 에너지의존성은 원통형의 전리함으로 측정한 선량과 비교했을 때 광자선에너지 6, 15 MV 각각에 대해 $^{60}Co$ 감마선의 반응도로 일반화시킨 결과 모두 ${\pm}1.5%$(1SD)이내에서 일치하였다. 이는 고에너지 광자선에 대해 열형광선량계와는 비슷한 결과이며 다이오드 선량계와 비교해서 했을 때는 낮은 에너지 의존성을 가지는 것이다. 따라서 유리선량계는 기존의 다른 선량계에 비해 사용 가능한 선량범위가 넓고 고에너지 광자선에서 에너지의존성이 낮으며 유효크기가 작은 장점 등으로 인해 소조사면의 고선량을 사용하는 방사선 수술분야의 선량측정에 적합한 선량계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리선량계를 이용한 파노라마 검사의 피폭선량 측정 (Measurement dose of Dental Panoramagraphy using a Radiophotoluminescent Glass Rod Detector)

  • 김창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2624-2628
    • /
    • 2011
  • 치과 진료시 파로라마 장치를 이용한 검사에서 유리선량계를 사용하여 피검자의 피폭선량을 측정하였다. 수정체의 피폭선량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안경의 재질에 따라 수정체의 피폭선량을 측정하였다. 치아위치별 피폭선량 측정결과 $82.4-2,340\;{\mu}Sv$ 선량분포로 나타나 최대 300% 이상의 피폭선량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효과적이고 정확한 진단과 피폭선량 관리를 위해서는 장치제조 시 예열시간 단축 과 차폐 등의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안경을 착용하였을 때 착용하지 않았을 때 비하여 수정체의 피폭선량이 안경의 재질에 따라서 1회 검사 시 $20-75\;{\mu}Sv$ 증가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그러므로 피폭선량을 최소화하고 효율적인 검사를 위해 치과 파노라마 검사 시 안경을 벗고 검사할 것을 권고 한다.

유리선량계를 이용한 파노라마 검사의 피폭선량 측정 (Exposure dose of Dental Panoramagraphy using a Radiophotoluminescent Glass Rod Detector)

  • 김창규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2부
    • /
    • pp.907-910
    • /
    • 2010
  • 치과 진료시 파로라마 장치를 이용한 검사에서 유리선량계를 사용하여 피검자의 피폭선량을 측정하였다. 수정체의 피폭선량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안경의 재질에 따라 수정체의 피폭선량을 측정하였다. 치아위치별 피폭선량 측정결과 82.4-2,340${\mu}Sv$ 선량분포로 나타나 최대 300% 이상의 피폭선량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효과적이고 정확한 진단과 피폭선량 관리를 위해서는 장치제조시 예열시간 단축 과차폐등의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안경을 착용하였을 때 착용하지 않았을 때 비하여 수정체의 피폭선량이 안경의 재질에 따라서 1회 검사 시 20-75${\mu}Sv$ 증가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그러므로 피폭 선량을 최소화하고 효율적인 검사를 위해 치과 파노라마 검사시 안경을 벗고 검사할 것을 권고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