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diometric Calibration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31초

KOMPSAT-3와 Landsat-8의 시계열 융합활용을 위한 교차검보정 (Radiometric Cross Calibration of KOMPSAT-3 and Lnadsat-8 for Time-Series Harmonization)

  • 안호용;나상일;박찬원;홍석영;소규호;이경도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6권6_2호
    • /
    • pp.1523-1535
    • /
    • 2020
  • 원격탐사를 이용한 작황정보 생산은 작물의 생물계절을 이용하여 작물 분류, 생육 모니터링, 생산량 추정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생물계절에 추정을 위한 시계열 영상 자료가 필요하지만 KOMPSAT(Korea Multi-Purpose Satellite)만으로 획득하는 것은 물리적 제한이 있으므로 타 지구관측위성과의 융합 활용이 필요하다. 위성자료의 융합 활용을 위해서는 각 위성이 가지는 고유의 방사학적 센서 특성 차이를 극복해야 한다. 본 연구는 위성자료의 융·복합 활용을 위한 첫 단계로서 KOMPSAT-3와 Landsat-8 위성의 교차검보정을 수행하였다. Libya-4 PICS(Pseudo Invariant Calibration Sites)에서 2년간 수집된 위성자료에 대해 초분광위성을 이용하여 산정된 SBAF(Spectral Band Adjustment Factor)를 적용하여 대기상단 반사도를 비교하였다. 교차검보정 결과 KOMPSAT-3와 Landsat-8 위성은 Blue, Green, Red 밴드에서 약 4%, NIR밴드에서 6%의 반사율 차이를 보였다. 온보드 켈리브레이터가 없는 KOMPSAT-3는 Ladnsat-8에 비해 Radiometric Stability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교차검보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BRDF(Bidirectional reflectance distribution function) 보정 및 지형보정을 통하여 정규화 된 반사율 자료를 생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다목적실용위성 2호 MSC 영상의 절대복사보정을 위한 입력자료 특성 분석 (Analysis of input parameters for the absolute radiometric calibration of KOMPSAT-2 MSC images)

  • 지준화;윤정숙;이규성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0-24
    • /
    • 2007
  • 센서의 광학 해상력에 따라 센서에 도달하는 에너지의 앙은 영상의 화소값으로 변환되므로,이 관계는 위성 영상의 정량적인 광학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바탕이 되며,영상의 질을 유지하기 위한 척도가 되기도 한다. 위성영상의 광학적 특성은 ON 값 을 실제 지표물의 반사에너지 값인 Radiance와 Reflectance로 의 변환을 통하여 추정할 수 있으며,이러한 과정을 절대복사보정(Absolute Radiometric Calibration) 이라고 한다. 절대복사보정 과정에서 센서에 도달하는 태양 에너지의 양을 추정하기 위하여 복사전달모델이 사용된다. 태양 에너지가 대기를 통과함에 따라 여러 가지 상호 작용이 일어나게 되므로 복사 전달모델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입력 변수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입력 변수로는 지표물의 반사율, 대기자료,그리고 센서의 특성 등이 포함되며, 이 연구에서는 KOMPSAT-2 위성의 MSC 영상의 절대복사보정 과정에서 복사전달모델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입력 변수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정지궤도복합위성 기상탑재체 영상의 복사 성능 품질 측정 (Image Radiometric Quality Assessment of the Meteorological Payload on GEO-KOMPSAT-2A)

  • 진경욱;양군호;최재동
    • 항공우주기술
    • /
    • 제12권2호
    • /
    • pp.30-39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정지궤도복합위성 기상탑재체의 보정 과정 및 영상 복사성능 품질 측정 방법에 대한 사항들을 기술하였다. MTF(Modulation Transfer Function), SNR(Signal-To-Noise Ratio), NEdT(Noise Equivalent Delta Temperature) 및 Dynamic Range 등 위성용 가시광선 및 적외선 센서의 복사성능과 관련된 품질 측정을 위한 주요 파라미터들에 초점을 맞추었다. 지상시험과정에서 측정한 이들 파라미터들의 기준 값들을 발사 후 궤도상 시험기간에 측정한 값들을 비교 검토하는 작업이 영상품질 측정의 핵심적인 과정이다. 천리안위성의 궤도상 시험기간 동안 이루어진 기상탑재체의 영상 품질 분석 과정의 사례들을 바탕으로 마련된 정지궤도 복합위성의 기상탑재체 영상의 복사성능 검정 방법에 대한 논의도 기술하였다.

Study on the First On-Orbit Solar Calibration Measurement of Ocean Scanning Multi-spectral Imager (OSMI)

  • Cho, Young-Min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5권1호
    • /
    • pp.9-15
    • /
    • 2001
  • The ocean Scanning Multi-spectral Imager (OSMI) is a payload on the KOrea Multi-Purpose SATellite (KOMPSAT) to perform worldwide ocean color monitoring f the study of biological oceanography. OSMI performs solar and dark calibrations for on-orbit instrument calibration. The purpose of the solar calibration is to monitor the degradation of imaging performance for each pixel of 6 spectral bands and to correct the degradation effect on OSMI image during the ground station date processing. The design, the operation concept, and the radi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solar calibration are investigated. A linear model of image response and a solar calibration radiance model are proposed to study the instrument characteristics using the solar calibration data. The performance of spectral responsivity and spatial response uniformity. The first solar calibration data and the analysis results are important references for further study on the on-orbit stability of OSMI response during its lifetime.

정지궤도 해양관측위성(GOCI-II)의 궤도 성능, 복사보정, 영상기하보정 결과 및 상태 (Current Status and Results of In-orbit Function, Radiometric Calibration and INR of GOCI-II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 2) on Geo-KOMPSAT-2B)

  • 용상순;강금실;허성식;차성용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7권5_2호
    • /
    • pp.1235-1243
    • /
    • 2021
  • 해양탑재체(GOCI-II)가 주탑재체이며 정지궤도복합위성2B호 또는 천리안2B호로 명명된 정지궤도 해양관측위성은 2020년2월에 성공적으로 발사되어 한반도 주변의 해양과 연안을 주간 상시 관측과 감시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해양탑재체는 천리안1호의 해양탑재체(GOCI)의 임무 승계와 향상된 성능으로 해양·연안의 효율적인 관리, 해양재해·재난 저감을 위한 실시간 해양환경모니터링과 어로 비용절감을 위한 어장환경 정보의 생산 등 해양환경감시를 위하여 개발되었다. 발사 후 해양탑채체는 초기 점검시험(IAC) 단계에 모든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됨을 확인하고, 궤도상시험(IOT) 단계에 성능·운영시험, 복사보정과 영상기하보정을 병행 진행하여 그 결과를 핸드오버회의 통하여 보고하고 국가해양위성센터로 운영권을 이관하였다. 주로 온보드 태양광 보정시스템으로 수행되는 복사보정은 사전에 수립된 계획에 따라 주기적으로 진행하여 최종 Gain과 offset 값을 설정, 적용하고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영상기하보정(INR)은 별영상 자료 기반의 네비게이션 필터링과 랜드마크 기반 보정 방식으로 요구규격을 모두 만족함을 확인하고 INR 프로세스를 검증하였다. 본 논문에서 정지궤도 해양위성이 발사 이후 궤도상 성능시험, 복사보정과 영상기하보정의 방법, 절차를 기술하고 결과와 현황을 분석하고 정리하였다.

드론 초분광 영상 활용을 위한 절대적 대기보정 방법의 비교 분석 (A Comparative Study of Absolute Radiometric Correction Methods for Drone-borne Hyperspectral Imagery)

  • 전의익;김경우;조성빈;김성학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03-215
    • /
    • 2019
  • 드론에 탑재가 가능한 초분광 센서가 개발됨에 따라 높은 공간해상도와 분광해상도를 가지는 초분광 영상의 획득이 가능해졌다. 드론 초분광 영상은 저고도에서 획득되므로 대기보정의 중요성이 낮아졌으나, 초분광 영상의 활용하여 지표물의 농도 추정 등의 연구를 위해서는 원자료에서 정규화된 분광반사율로 변환 과정에 관한 연구는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드론 초분광 영상에 대리복사보정과 대기복사전달모델 기반의 대기보정 알고리즘을 적용하고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대리복사보정에는 균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타프의 분광반사율을 이용하여 경험적 선형보정 기법을 적용하였다. 대기보정 알고리즘은 항공 초분광 영상의 대기보정에 널리 사용되는 Modtran-5 기반의 ATCOR-4를 사용하였다. 기준 반사율과의 상관도와 차이의 RMSE를 분석한 결과, 단일 시기의 초분광 영상에서 타프를 이용한 대리보정이 가장 정확도가 높았지만, 초분광 영상의 활용 목적에 따라 대기보정 알고리즘의 활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다중 시기의 영상에 대해 추가적인 대리보정 실험을 통해 정규화된 분광반사율 변환 과정이 이루어진다면 드론 초분광 영상을 활용한 정밀한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Radiometric Characteristics of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 (GOCI) for Land Applications

  • Lee, Kyu-Sung;Park, Sung-Min;Kim, Sun-Hwa;Lee, Hwa-Seon;Shin, Jung-Il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77-285
    • /
    • 2012
  • The GOCI imagery can be an effective alternative to monitor short-term changes over terrestrial environments.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radi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GOCI multispectral imagery for land applications. As an initial approach, we compared GOCI at-sensor radiance with MODIS data obtained simultaneously. Dynamic range of GOCI radiance was larger than MODIS over land area. Further, the at-sensor radiance over various land surface targets were tested by vicarious calibration. Surface reflectance were directly measured in field using a portable spectrometer and indirectly derived from the atmospherically corrected MODIS product over relatively homogeneous sites of desert, tidal flat, bare soil, and fallow crop fields. The GOCI radiance values were then simulated by radiative transfer model (6S). In overall, simulated radiance were very similar to the actual radiance extracted from GOCI data.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calculated from the GOCI bands 5 and 8 shows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MODIS NDVI. In this study, the GOCI imagery has shown appropriate radiometric quality to be used for various land applications. Further works are needed to derive surface reflectance over land area after atmospheric correction.

EO-1 Hyperion 초분광 영상의 밴드 접합 기법을 이용한 Landsat 8 (LDCM) OLI 센서의 방사 특성 검증 (Validation of the Radiometric Characteristics of Landsat 8 (LDCM) OLI Sensor using Band Aggregation Technique of EO-1 Hyperion Hyperspectral Imagery)

  • 지준화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99-406
    • /
    • 2013
  • 위성 영상 자료에 대한 품질의 향상과 안정화는 다양한 목적을 가진 사용자들을 만족시킬 수 있다. 특히 절대 방사 검/보정은 영상의 광항적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척도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초분광 영상 밴드 접합 기법과 분광 반응도를 이용하여 다중 분광 센서의 가상화를 통해 절대 방사 보정 계수의 적합성을 판단하였다. 적합성 분석을 위해 약 30분 차이로 촬영된 EO-1 Hyperion과 Landsat-8 OLI 센서의 영상을 이용하였고, 서로 다른 특성을 지닌 토지 피복으로 구성된 3개 지역을 선정하여 복사 에너지 값을 비교 하였다. 그 결과, 시공간에 따른 차이, 센서 수준의 차이를 제외하고 모든 밴드에서 0.99 이상의 적합성을 보여 주었다.

일사계 교정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alibration Techniques for Thermopile Pyranometer)

  • 조덕기;강용혁
    • 한국태양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61-166
    • /
    • 2008
  • The major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n uncertainty estimate for the calibration of thermopile instruments used to measure solar radiation parameters. We briefly describe the solar radiation parameters most often measured, instrumentation, reference standards, and calibration techniques. The bulk of the paper describes elemental sources of error and their magnitude. We then apply a standard error analysis methodology to combine these elemental error estimates into a statement of total uncertainty for the instrument calibration factor. Our results allow one to evaluate the accuracy of a radiometric measurement using thermopile instrumentation in the light of the application, such as engineering test evaluation or for validation of theoretical mode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