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dioactive material

검색결과 453건 처리시간 0.03초

방사능테러에 대한 국제동향 분석 및 향후 전망 (International Status and Prospects on Radiological Terrorism)

  • 류재수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03-412
    • /
    • 2003
  • 알 카에다 및 기타 테러집단들은 방사능폭탄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방사성물질을 획득하려고 노력해 온 것으로 밝혀지고 있으며, 방사능폭탄의 제조와 관련된 문서가 발견된 것으로 보도되었다. 이에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국제사회는 방사능테러에 대비한 방사성 물질의 규제 및 보안을 개선하기 위하여 노력해 오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방사능테러의 가능성 및 테러의 수단으로 사용될 방사능확산장치를 조사하고, 방사능테러에 대비한 국제동향 및 향후 전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PDF

Neutron Count Rate Measurement of $UO_2$ powder by Neutron Source

  • Kang Hee-Young;Koo Gil-Mo;Ha Jang-Ho;Kim Ho-Dong;Yang Myung-Seung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대회
    • /
    • pp.344-349
    • /
    • 2005
  • Neutron count rate measurements to assay fissile content of uranium powder have been carried out in a neutron counter. The induced fission neutrons by Cf-252 neutron source are counted as the variation of fissile material in fuel material. The measured counts are compared with equivalent results obtained from calculation. It shows that the measured neutron counts versus quantity of $UO_2$ powder enrichment agreed reasonably well with the calculated values.

  • PDF

The MUF of a Pilot-Scaled ACP Facility and Its Sensitivity

  • W. I. Ko;D. Y. Song;Lee, S. Y.;Kim, H. D.;Park, S. W.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논문집
    • /
    • pp.401-405
    • /
    • 2003
  • The Advanced Spent Fuel Conditioning Process (ACP) have been developed at the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KAERI) as an alternative for the effective conditioning of spent fuel far long-term storage or/and eventual disposal. This paper addresses the safeguardability of a pilot-scaled ACP facility and its sensitivity analysis. For this, a conceptual process and its material flow are analyzed using experiences from conventional fuel cycles, and measurement methods and their uncertainties are assumed for calculating MUF (Material Uncounted For) standards deviation (SD), We concluded from the preliminary analysis of the MUF SD that the pilot-scaled ACP facility with capacity of 30 MTHM/year can meet the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IAEA) safeguards goals.

  • PDF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장의 지상시설에 대한 지진 취약도 평가 (Seismic Fragility Evaluation of Surface Facility Structures in Intermediate-Low Level Radioactive Waste Repository)

  • 박준희;김민규;최인길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57-64
    • /
    • 2012
  • 방사성폐기물의 처리과정에서 발생한 설계하중 이상의 지진은 방사성 물질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으므로 방사성폐기물 처분장은 설계시 지진에 대하여 충분한 여유도를 가지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방폐장의 지상구조물에 대한 지진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지진 취약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지진 취약도 평가에 의하면, 해석모델로 선정된 인수저장 시설과 방사성폐기물 건물은 장방형의 구조물로써 구조물의 축에 따라 지진 성능이 약 23%~43% 다르게 나타났다. 최소 손상수준을 기준으로 할 경우 인수저장시설과 방사성폐기물 건물의 HCLPF성능은 각각 0.52g와 0.93g로 나타났으며, 방사성폐기물 건물은 원전의 격납건물과 유사한 지진성능을 보였다.

방사성폐기물관련 신문의 위험보도내용 분석 (Study on the Risk Communication of Radioactive Waste Material in Newspaper)

  • 김수근;안소현;김종순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논문집
    • /
    • pp.251-255
    • /
    • 2003
  • 방사성폐기물 관리시설에 관한 신문의 관심은 매우 컸으며, 3개월 동안에 480건의 기사를 8개 신문에서 실었다. 사설도 38건이었으나 상황과 사안에 따라 모든 신문이 정형화된 내용과 비판을 하였다. 기사는 대부분 정부의 보도 자료에 의존한 하거나, 시위소식 등을 전하는 단순사안이었고, 심층보도는 이 사업 추진에 가장 큰 장애요소가 되고 있는 지역주민과 시민단체의 반대논리와 여론을 이해할 수 있도록 전달하지 못하였다. 특히 가장 쟁점이 될 수 있는 방사성폐기물의 위험과 안전에 대해서는 68건의 심층 보도 가운데 17건에서만 언급되고 있었는데, 그 내용도 위험성과 안전에 대한 해설이나 분석기사는 아니었다. 결과적으로 신문은 정부와 지역주민간의 갈등을 해결하는 조화의 장을 이끌어 내거나 제공하지 못하였고, 찬성과 반대 측 전문가들에게 공론의 장을 제공하여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는데 기여하지는 못하였다. 오히려 많은 기사 보도의 남발로 방사성폐기물 관리시설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부각시키는 영향만 남았다고 판단된다.

  • PDF

충격완충체의 효과를 고려할 수 있는 운반용기의 파열낙하시험 유한요소해석 방법 (A mite Element Modeling for the Puncture Drop Test of a Cask with the Failure of Impact Limiter)

  • 권기찬;서기석;유길성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9-16
    • /
    • 2009
  • 방사성물질 운반용기는 가상 사고조건에서 구조적 건전성이 유지됨을 실험 및 수치해석을 통해 입증하여야 한다. 가상 사고조건에 포함되는 파열낙하 조건에 대한 기존 유한요소해석의 경우 충격완충체에서 재료의 파손이 발생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유한요소모델에서 이 부분을 무시하고 해석한다. 본 논문에서는 파열낙하 해석에서 충격완충체의 변형으로 인한 낙하에너지 흡수의 효과를 고려하기 위해 요소의 적분점에서 응력 이나 변형율이 재료의 파손 기준치에 도달하면 그 요소를 제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해석방법의 효용성을 보이기 위해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설계중인 핫셀 운반용기에 대해 파열낙하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요소제거 기법의 적용을 통해 낙하 에너지의 80% 정도가 충격완충체에서 흡수되는 것으로 계산되었다. 본 해석방법은 시험조건에 비해 보수성을 가지는 평가방법이며, 기존의 해석방법과 비교해 파열낙하 조건을 보다 근사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방법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