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dicle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28초

당귀속 2종 식물의 수용추출액과 휘발성물질이 종자발아와 유묘생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queous Extract and Volatile Substances of Two Angelica Plants 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 윤경원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69-173
    • /
    • 2006
  • 참당귀와 일당귀의 수용추출액과 휘발성물질이 식물의 종자발아와 유묘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실 실험을 실시하였다. 참당귀의 수용추출액에 의한 참당귀의 종자발아율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일당귀는 추출액의 농도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일당귀의 수용추출액에 의해서는 참당귀와 일당귀의 종자발아가 억제되었다. 참당귀의 수용추출액에 의한 참당귀와 일당귀의 유묘생장은 10%농도에서는 대조구보다 높았으나 50%와 100% 농도에서는 농도증가에 따라 비례적으로 감소하였고, 일당귀의 추출액에 의한 참당귀와 일당귀의 유묘생장은 수용추출액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뚜렷한 억제효과를 보였다. 참당귀와 일당귀의 휘발성물질에 의해서 상추의 종자발아는 전혀 영향을 받지 않았다. 참당귀와 일당귀의 휘발성물질로 처리한 경우, 대조구에 비하여 실험구의 상추의 유근신장이 억제되었지만 농도에 따른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The Effect of Deep Sea Water on Seed Priming of Sweet Pepper (Capsicum annum L.), Rice (Oryza sativa L.) and Ginseng (Panax ginseng C.A.Meyer)

  • Yoon Byeong-Sung;Shrestha Surendra Lal;Kang Won-Hee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11-417
    • /
    • 2006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whether priming with deep sea water results in enhancement of seed germination and to identify the optimum concentration of the priming solution, and duration of priming using sweet pepper (Cv. California wonder), rice (Cv. Ilpum) and ginseng seed. Sweet pepper and rice seeds were primed with 5 various concentrations (5%, 10%, 15%, 20% and 30%) for deep sea water for 48 hours, 24 hours and 12 hours at $25^{\circ}C$ and ginseng seeds in 5%, 10%, 15%, 20%, 25% and 30%, and 2,4,6, and 8 electrical conductivity (EC) which were made by desalinating deep sea water. Priming in deep sea water (DSW) improved the early and final germination percentage, mean germinal on rate, emergence percentage and root and shoot length, compared with plain water, $KNO_3$ and without priming treatments. In sweet pepper, 24 hours priming with 5 percentage DSW significantly improved the early germination percentage and radical length. It has also improved the mean germination and emergence days and early emergence percentage, compared with $KNO_3$ and control. Whereas, in rice, 48 hours priming with 10 percent DSW significantly improved the early germination percentage, plumule emergence percentage, root length and shoot height. Hence the best seed priming treatment on sweet pepper and Rice are 24 hours with 5 percentage DSW and 48 hours with 10 percentage DSW, respectively, whereas in ginseng, priming with EC4, EC8 and 25% DSW had shown better germination.

Pre-Sowing Seed Treatment: Effect of Deep Sea Water Priming on Germination of Wild Vegetables; Gondalbi (Cirsium setidens), Jandae (Adenophora triphylla var. Joponica Hara) and Deoduck (Codonopsis lanceolata Trautv.)

  • Yoon Byeong-Sung;Shrestha Surendra Lal;Kang Won-Hee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680-686
    • /
    • 2006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on wild vegetables; Gondalbi (Cirsium setidens), Deoduck (Codonopsis lanceolata Trautv.), and Jandae (Adenophora triphylla var. Joponica Hara) seed to study whether priming with deep sea water results in enhancement of seed germination and identify the optimum concentration of the priming solution, and duration of priming. Seeds were primed with 5 various concentrations (5%, 10%, 15%, 20% and 30%) of deep sea water (DSW) in 12 hours, 24 hours, and 48 hours at $24^{\circ}C$. Since Jandae had seed dormancy, it was kept for four weeks in refrigerator at $2^{\circ}C$ after priming treatment. In Deoduck, 5 percentage DSW priming significantly improved the early germination percentage, radicle length, and plumule emergence percentage. Among the priming period of treatments, 24 hours priming showed better performance in this treatment whereas, in Jandae, 12 hours priming with 10 percentages DSW significantly improved the germination percentage and germination rate. This treatment had increased the final germination percentage by 54%, 15% and 40% compared with control, plain water and $KNO_3$ priming respectively. But in Gondalbi, priming did not improve the germination of seed. However, among the priming treatments, 12 hours priming with 3% $KNO_3$ and 20% DSW gave better performance. In both the wild vegetables; Deoduck and Jandae, priming in deep sea water had improved the germination percentage and germination rate as compare to plain water, $KNO_3$, and without priming treatment. Hence the best seed priming treatment on Deoduck and Jandae are 24 hours with 5% DSW and 12 hours with 10% DSW respectively.

지모, 일황련 및 황백나무 추출액의 항균활성 (Antifungal Activity of Anemarrhena asphodeloides, Coptis japonica and Phellodendron amurense Extracts against Phytophthora Blight)

  • 도은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51-359
    • /
    • 1997
  • 3가지의 식물체 추출액을 공시하여 P. capsici에 대한 항균 활성 검정, 고추 역병에 대한 방제효과 및 고추에 미치는 약해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3가지 식물체 물 추출액 중에서 일황련 추출애기 균새장 억제효과가 가장 뛰어났으며, 2배의 희석농도에서 70% 이상의 억제 효과가 있었고, methanol 추출액의 경우 1,000배 이상의 희석농도에서도 74.4%의 억제 효과가 있었다. 지모 및 일황련 추출액의 2개 희석농도와 황백나무의 추출원액 처리에 의해 P.capsici의 유주자낭의 발아는 완전히 억제되었다. 2. Methanol에 의한 추출액이 상온에서 물에 의해 추출하거나, 끓여서 추출한 액보다 항균력이 우수하였다. 3. 세 가지 식물체 추출액 모두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고추 역병균에 대한 항균력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4. 세 가지 추출액 모두 고추 역병에 대해서 방제효과가 있었고, 그 중 일황련 추출액이 가자 효과적이며 황백나무 및 지모의 순이었다. 5. 수경 재배형식의 유모검정에서는 고추묘에 약해가 있었으나, pot시험에서는 약해가 없었다. 또한 고추 종자에 추출액을 처리했을 때 발아가 저해되거나 유근의 신장이 억제되는 등 약해가 유발되어쓰나, 고추 잎과 고추 과실에 추출애글 엽면살포 하였을 때에는 아무런 해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제주지역 상동나무의 열매와 종자발아 특성 (Characteristics of Seed-germination and Fruit for Sageretia thea in Jeju Region)

  • 송상철;송창길;김주성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8-12
    • /
    • 2015
  • Characteristic of seed for Sageretia thea fruits collected from the habitat of harvest season in Jeju and their germination ratio in different temperatures were considered. The average weight was 0.2 g, average diameter was 7.2 mm, average length was 6.5 mm, and size distribution range was 5.1 ~ 10.0 mm. The number of seeds per fruit was 1.8, and 1000 grain weight was 7.77 g with diameter of 3.7 mm and thickness of 1.7 mm in size. The fruit maturation was investigated to be from April 27 to June 1, when the best maturation period was about a week, May 11 to May 18. Also, the fruits grown on May 4 to May 11 were seen to have the bigger in transverse size and weight with a tendency of the earlier maturation date has the greater the number of seeds. S. thea seeds pretreated for 24 hours at $50^{\circ}C$ were not germinated, while most of those pretreated for 24 hours at $4^{\circ}C$ were successfully germinated at any degree of temperature (except at a temperature of $10^{\circ}C$). Particularly, the highest germination rate of 55% was made at $15^{\circ}C$, and plumule and radicle were best grown within the temperature range of $25^{\circ}C$.

발아초기의 콩 부위별 Lactate Dehydrogenase 활성변화 및 효소성질 비교 (Comparision of the Activity and Characteristics of Lactate Dehydrogenase Isolated from Different Parts of Soybean Seedling)

  • 이효사;전태홍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6권1호
    • /
    • pp.28-34
    • /
    • 1983
  • 발아초기(發芽初期)에 콩(대두(大豆))의 부위별(部位別)로 Lactate dehydrogenase(LDH)의 Isozyme 존재가능성(存在可能性)을 조사(調査)하기 위한 기초적(基礎的)인 연구(硏究)가 수행(遂行)되었다. 발아가 진행(進行)됨에 따라 자엽부위의 효소활성변화(酵素活性變化)에는 큰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배축이나 뿌리 부위(部位)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4{\sim}7^{\circ}C$에서 배축이나 뿌리로부터 얻은 LDH는 자엽에서 얻은 LDH에 비(比)해 불안정(不安定)했다. 전기영동상의 Rm value가 자엽으로부터 얻은 효소(酵素)에서는 0.25인데 비하여, 배축으로 부터 분리된 LDH는 0.29였다. 배축이나 뿌리로 부터 분리된 LDH는 Biphasic으로 0.45mM과 0.014mM의 두 km값을 보이고 자엽부위에서는 0.45mM 값만 관찰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자엽부위의 LDH와는 다른 성질(性質)을 가진 LDH가 배축이나 뿌리부위(部位)에 존재(存在)할 가능성(可能性)을 보여주고 있다.

  • PDF

염도가 금강소나무의 종자발아와 유묘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alinity on the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Pinus densiflora for. erecta Uyeki)

  • Lee, Ho-Joon;Kim, Seon-Ho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2권4호
    • /
    • pp.219-236
    • /
    • 1989
  • The effect of salinity on the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Pinus densiflora for. erecta Uyeki were studied under the controlled conditions in the growth chamber. The seeds were sorted into three classes in weight such as large ($15.49\pm$1.63mg), medium($10.61\pm$1.38mg), and small ($6.57\pm$1.33mg) to determine the role of seed weight in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the pine. Polymorphic seeds of the pine were germinated an salinity range of 0 to 1.5% NaCl under various temperature ($10^{\circ}$ $-25^{\circ}$ with $5^{\circ}$C interval of constant temperature, and $10^{\circ}$ $-20^{\circ}$C, $15^{\circ}$ $-25^{\circ}$C of alternating temperature) in order to determine their germinability and seeding growth. In control plo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of germination percentage among the seed weight classes, but in saline plot, the larger seeds generally had a higher percentage and rate of germination. There occurred synergistic interaction between salinity and temperature in the germination and the increase of temperature enhanced germination of seeds at the same salinity level. Alternating temperature regimes of $15^{\circ}$-$25^{\circ}$C yielded maximum germination and no germination was occurred at $10^{\circ}C$. The germination at alternating temperature showed higher germination percentage than at constant temperature. The percentage and of germination decreased drastically with increased salinity level to 1.00%; no germination was occurred at 1.50% salinity level. The growth fo sddelings from larger seeds was better than that of smaller seeds at the same salinity and temperature. The hypocotyl and radicle were more sensitive than cotyledon to the increased salinity stress.

  • PDF

벼종자수반진균의 검정 및 종자발아에 따른 깨씨무늬병균의 전염경로 (Detecting Seed-Borne Fungi of Rice and Transmission of Helminthosporium oruzae in Germinating Seed)

  • 이창은;정후섭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19-126
    • /
    • 1979
  • 깨씨무늬병에 심하게 이병된 병팔굉 공시종자는 배양 $5\~7$일에 호영, 내외영 및 주병의 $86\~92\%$ 그리고 과피의 $74\~83\%$가 Helminthosporium oryzae에 감염 되어 있음을 보였다. 동균은 종립전면에 분생포자를 형성하였으며 배유의 약10여세포층까지 감염되어 있었으나 배조직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Fusarium moniliforme는 과피, 경유 및 배조직에서 검출되었으며 F. roseum, Trichoconis padwicku, Curvularia spp., Alternaria tenuis, Cladosporium cladosporoides 및 Phoma sp.는$ 3\%$ 이하의 영 및 과피에서 검출되었다. 배양일주일에 $60\~87\%$가 깨씨무늬 병징을 나타냈으며 $13\~40\%$는 외관상 건전하였다. 깨씨무늬병균은 감염된 종자의 제점으로부터 과피를 거쳐 시아및 유근에 전염 발병케 하였다.

  • PDF

세신(細辛)의 생리활성물질(生理活性物質) Phenylpropanoids의 분리(分離) (Bioactive Phenylpropanoids from Asiasarum sieboldi Roots)

  • 김금숙;박창기;백남인;성재덕;곽용호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26-130
    • /
    • 1997
  • $^1H-NMR,\;^{13}C-NMR$, Dept. NMR의 spectrum으로 compound 1은 safrole로, compoud 2은 o-methyleugenol로 추정(推定)되었으며 처리농도별(處理濃度別) 발아억제(發芽抑制) 효과조사(效果調査)에서 발아억제 물질로 추정한 safrole은 25mg/ml의 처리에서도 발아 및 생육억제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o-methyleugenol의 경우는 5mg/ml의 처리(處理)로 최종발아(最終發芽)는 무처리구에 비해 58% 저해하였으며, 그리고 25mg/ml에서도 92%, 생육(生育)에는 100%의 저해도(沮害度)를 나타내었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를 보면 o-methyleugenol은 세신의 강(强)한 발아저해활성 물질의 하나로 처음 확인되었으며 천연(天然) 제초제(除草劑)로서의 개발(開發) 가능성(可能性)은 추후 재검증(再檢證)해 보아야 하겠다.

  • PDF

저장기간, 배지종류 및 viscin이 멸종위기종 꼬리겨우살이의 기내 종자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orage Duration, Medium and Viscin on in vitro seed Germination in Endangered Species, Loranthus tanakae)

  • 이수광;이송희;강호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4호
    • /
    • pp.618-624
    • /
    • 2010
  • 본 연구는 멸종위기에 처한 꼬리겨우살이 종자로부터 기내배양체계 기반확립을 위해 기내 종자발아 실험을 실시하였다. 꼬리겨우살이 종자는 배지에 치상 1주 후 원기근이 형성되어 발아가 진행되었다. 배지종류와 viscin 유 무에 따른 꼬리겨우살이의 기내 종자발아율은 viscin이 제거된 종자를 SH 배지에 치상하였을 때 가장 높은 발아율(69%)을 나타냈고, 고형지지물 종류와 농도에 따른 발아율은 0.35% gelrite 첨가 시 가장 높은 발아율(75%)을 보였다. 저장 기간과 저장 상태에 따른 발아율은 채집 직후(3일 후) 조건에서 가장 높은 발아율을 나타냈고, 저장기간이 8주, 16주로 길어짐에 따라 발아율은 감소하였다. 흡착판과 흡기근은 White 기본배지에 치상하였을 때 각각 95%, 8%의 형성율을 나타내었다. 꼬리겨우살이의 기내 종자발아과정은 원기근 형성, 흡착판 형성, 흡기근 형성 순으로 진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