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diation balance

검색결과 193건 처리시간 0.021초

위성자료를 이용한 한반도 주변 해상 대기표층의 열속 (Heat Fluxes in the Marine Atmospheric Surface Layer around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Satellite Data)

  • 홍기만;권병혁;김영섭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7권2호
    • /
    • pp.209-217
    • /
    • 2005
  • The energy balance of the surface layer of the water (the Yellow Sea, the East China Sea and the East Sea) was examined using satellite data. Variations of the net heat flux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latent heat flux which was more intensive than the sensible heat flux. The sensible heat flux was affect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a surface temperature and the air temperature and was less important over the Yellow Sea. The maximum of the latent heat flux occurred in autumn when the air is drier and the wind is stronger. The shortwave radiation flux decreased with the latitude and depended on the cloudiness as the longwave radiation flux does. Annual variations of heat fluxes show that the latent heat flux was more intensive over the East China Sea than the East Sea and the Yellow Sea, while the spatial differences of the other heat fluxes were weak.

An Improved Estimation of Outgoing Longwave Radiation Based on Geostationary Satellite

  • Kim, Hyunji;Seo, Minji;Seong, Noh-hun;Lee, Kyeong-sang;Choi, Sungwon;Jin, Donghyun;Huh, Morang;Han, Kyung-Soo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95-201
    • /
    • 2019
  • The Outgoing Longwave Radiation (OLR) is an important satellite-driven variable for understanding the Earth's energy budget balance. The geostationary OLR retrievals require angular and spectral integration using an empirical equation for irradiance flux-to-OLR from a regression analysis, which determines the accuracy of the narrowband satellite-based OLR. We selected homogeneous pixels which is satisfied less temporal-spatial variability of cloud, on three infrared channels (6.7, 10.8, $12.0{\mu}m$) of the first multipurpose geostationary satellite in Korea, namely the 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Meteorological Imager (COMS/MI).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retrieve OLR with improved accuracy using selected parameters based on theoretical and physical significance. This algorithm yielded retrieval with higher accuracy than broadband-based OLR retrieval: RMSE of 10.54 to $3.81W\;m^{-2}$, and bias of -8.49 to $-0.07W\;m^{-2}$.

자연모사 기반 광대역 새싹 안테나 설계 (Design of a Nature-inspired Wideband Sprout-leaf Antenna)

  • 우동식;배성현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536-542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광대역 지향성 방사패턴을 가지는 자연에서 영감을 얻은 새싹 모양 안테나를 제안한다. 모션감지 센서 응용을 위해 넓은 빔폭을 가지는 새싹 모양의 기울어진 방사체를 설계하였다. 확장된 잘려진 접지면을 반사기로 작용하도록 하여 지향성 방사패턴을 가지도록 하였다. 평형 방사체를 급전하기 위하여 우수한 진폭 및 위상 평형도를 가지는 광대역 발룬을 활용하였다. 제안된 안테나는 8.5에서 14.5 GHz의 넓은 주파수 대역폭과 넓은 빔폭을 가졌으며, 방사 효율은 90% 정도이었다. 측정된 이득은 4에서 5dBi이며, 전후방비는 10~20dB이었다. 제안된 안테나는 광대역 넓은 빔폭과 지향성 방사패턴을 요구하는 이미징 센서, 위상 배열 시스템 및 레이더 등에 활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옥수수 군낙초관부(群落草冠部) 위에서의 주간순복사량(晝間純輻射量) 추정(推定) (Estimation of Daytime Net Radiation above Corn Canopy)

  • 이량수;정영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14
    • /
    • 1988
  • 옥수수 군락상(群落上)에서 측정(測定)한 순복사량(純輻射量)과 일사량(日射量), 온도(氣溫)의 관측치(觀測値)를 이용(利用)하여 일사량(日射量)과 순복사량(純輻射量)의 관계식을 구하고 복사수지식(輻射收支式)의 각항(各項)에 관(關)한 경험식(經驗式)을 이용(利用)하여 주간순복사량(晝間純輻射量)으르 추정(推定)하는 모델을 제안(題案)하였으며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일사량(日射量)과 주간순복사량(晝間純輻射量)의 관계식(關係式)은 $R_n(+)=0.6659$ $R_s$로 일사량(日射量)과 주간복사량(晝間純輻射量)의 비율(比率)이 66%이상(以上)이었다. 2. 일조율(日照率)이 35%이상(以上)인 흐린날의 일사량(日射量)과 주간순복사량(晝間純輻射量)의 관계식(關係式)은 $R_n(+)=0.7295{\cdot}R_s$로 흐린날에 옥수수 군락(群落)의 일사량(日射量)에 대(對)한 주간순복사량비율(晝間純輻射量比率)이 약간 큰 경향(傾向)이었다. 3. 복사수지식(輻射收支式)을 이용(利用)하여 일사량(日射量)과 기온(氣溫)으로 주간순복사량(晝間純輻射量)의 추정식(推定式) {$(0.9R_s-(352-227{\times}10^{-10}{\times}Ta^4) (1.11R_s/R_{so}-0.05)$}을 얻었다.

  • PDF

수레바퀴 암 치료법에 대한 근거중심적 연구 (Evidence Based Approach of Wheel Balance Cancer Therapy: A Review)

  • 정홍매;윤정원;유화승;조종관
    • 대한암한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6
    • /
    • 2012
  • Background : Integrative cancer treatment is a holistic approach embracing body, mind, and spirit incorporating conventional treatments of surgery, chemotherapy, radiation and personalized complementary treatments. Wheel Balance Therapy (WBT) of East-West Cancer Center(EWCC), Dunsan Oriental Hospital of Daejeon University was developed to balance out all factors involved in cancer care based on the traditional theories of oriental medicine. Objective : This work aims to analytically review literatures on WBT and its related components. Methods : Literatures published from January 1st, 1990 to April 30th, 2011 were reviewed focusing on 4 main components of WBT; herbal medicine, immune activation, anti-cancer diet, and breathing/meditation. Data were retrieved from medical search engines and electronic data bases including Pubmed,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CNKI), and Korea's National Digital Library (KNDL). Results : In this review, EWCC's most commonly prescribed formulas are explored. The composition of the formulas, their use in clinical settings as well as the background studies and other therapeutic efficacies are explained. Information on incorporating anti-cancer dietary support and breathing and meditation techniques, other therapies practiced as part of the center's integrative cancer care are also covered. Conclusion : WBT based on holistic theories of oriental medicine embracing body, mind, and spirit is expected to further contribute in promotion of cancer patients' quality of life and prolonged survival time.

감자밭의 재생종이 및 흑색 플라스틱 필름 멀칭에 따른 지표면 에너지 수지와 토양온도의 변화 (Soil Surface Energy Balance and Soil Temperature in Potato Field Mulched with Recycled-Paper and Black Plastic Film)

  • 최일선;이변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29-235
    • /
    • 2001
  • 사용된 멀칭자재의 광학적 특성, 작물군락의 형성 등에 의하여 토양표면의 에너지 수지는 달라지며, 이러한 토양표면 에너지 수지의 차이에 의해 변화되는 지중열류가 토양온도 변화의 원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일사량, 밀칭표면의 순복사, 지중열류, 멀칭 내외면 온도, 토양온도 등을 연속적으로 측정하였으며, 실측된 자료를 이용하여 토양표면의 에너지 수지 및 지중열류를 추정하여 멀칭처리에 따른 토양온도 변화의 원인을 분석하였다. 감자 출아전인 1998년 8월 30일의 무멀칭처리에서는 지표면의 순복사(10.0 MJ$m^{-2}$${day}^{-1}$ )는 높았지만, 대류에 의한 현열이나 수분증발에 의한 잠열로 대부분의 에너지(9.65MJ m$^{-2}$ day$^{-1}$)가 지면으로부터 빠져나가 토양으로 흐르는 지중열류는 0.36MJ $m^{-2}$${day}^{-1}$ 이었다. 흑색 폴리에틸렌 필름 멀칭에서는 지표면의 순복사는 2.4 MJ $m^{-2}$${day}^{-1}$ 이었지만 멀칭면과 토양표면의 대류에 의한 지표면의 에너지 손실이 1.39 MJ $m^{-2}$${day}^{-1}$ 로 적어져 지중열류는 1.02 MJ$m^{-2}$${day}^{-1}$ 로 무멀칭처리보다 많이 높았다. 종이멀칭처리에서의 지표면의 순복사는 1.30 MJ $m^{-2}$${day}^{-1}$ 로 다른 처리에 비해 낮았고, 멀칭면과 지표면의 대류에 의한 에너지 교환에 의하여 지표면으로부터 1.36 MJ $m^{-2}$${day}^{-1}$ 의 에너지가 손실되어 지중열류는 -0.06 MJ $m^{-2}$${day}^{-1}$ 로 흑색 폴리에틸렌 필름 멀칭이나 무멀칭보다 낮았으며, 특히 주간의 상위층 토양온도가 다른 처리에 비해 많이 낮아졌다. 군락이 형성된 9월 27일의 경우, 멀칭처리에서의 지표면 순복사는 군락이 없는 8월 30일의 경우와 큰 차이가 없었지만 무멀칭처리에서는 군락의 일사 차단으로 순복사가 현저히 낮아졌으며, 흑색 플라스틱 필름 멀칭처리에서는 현열 및 잠열에 의한 손실이 작아 지중열류는 다른 처리에 비해 높았으며, 무멀칭처리에서는 현열 및 잠열에 의한 에너지 손실이 많아 지중열류는 작았다. 이러한 지중열류의 차이에 의해 흑색 플라스틱 필름 별칭처리에서의 지온이 다른 처리에 비해 높아졌고, 종이멀칭처리에서의 지온은 군락이 형성되지 않은 초기에는 무멀칭에 비해 낮았지만 군락이 형성된 후기에는 그 차이가 거의 없었다. 군락의 형성여부와 관계없이 일 최저기온 및 최고기온이 나타나는 시각의 토심에 따른 토양온도의 변화는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일 최고기온이 나타나는 시각에 흑색 플라스틱 필름 멀칭처리에서의 온도는 지표에 가까울수록 급격하게 높았으며, 그 증가추세는 종이멀칭이나 무멀칭에 비해 현저하였다.

  • PDF

고밀도 주거지역에서의 복사플럭스 영향 연구 - 서울시 중랑구 지역을 대상으로 - (Radiation Flux Impact in High Density Residential Areas - A Case Study from Jungnang area, Seoul -)

  • 이채연;권혁기;프레드릭 린드버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6-49
    • /
    • 2018
  • 본 연구는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태양복사모델링을 수행하고 검증하여, 도시 내 열스트레스 완화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지역은 항공 LiDAR 자료를 기반으로 실제 건물과 식생의 형태와 높이가 구현되었고, 보행자높이에서의 단파 및 장파복사 플럭스가 모의될 수 있도록 해상도를 향상시켰다. 고층 및 저층 건물이 고밀도로 존재하는 주거지역 $4km^2$에서 SOLWEIG 모델을 이용하여 복사플럭스를 모의하고, 지표에너지수지시스템의 Net radiometer를 이용한 복사플럭스 관측자료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여름철 맑은 날 가장 높은 정확도를 나타냈고, 같은 날에 대한 평균복사온도를 모의한 결과, 그림자영향이 적은 저층 건물지역과 도로표면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고층 건물지역과 식생지역에서는 그림자의 영향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방법은 보행자높이에서 도시 내 열스트레스 지역 관리를 위한 높은 신뢰도를 보여주었다. 더욱 확장되고 있는 도시재생 및 재개발에 있어서, 새로운 주거환경을 도입하기 위해 도시 기반시설을 계획할 때 자연 및 인공 도시환경 설정과 관련된 많은 기능이 적용될 수 있다.

Evaluation of Water Retentive Pavement as Mitigation Strategy for Urban Heat Island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 Cortes, Aiza;Shimadera, Hikari;Matsuo, Tomohito;Kondo, Akira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10권4호
    • /
    • pp.179-189
    • /
    • 2016
  • Here we evaluated the effect of using water retentive pavement or WRP made from fly ash as material for main street in a real city block. We couple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and pavement transport (CFD-PT) model to examine energy balance in the building canopies and ground surface. Two cases of 24 h unsteady analysis were simulated: case 1 where asphalt was used as the pavement material of all ground surfaces and case 2 where WRP was used as main street material. We aim to (1) predict diurnal variation in air temperature, wind speed, ground surface temperature and water content; and (2) compare ground surface energy fluxes. Using the coupled CFD-PT model it was proven that WRP as pavement material for main street can cause a decrease in ground surface temperature. The most significant decrease occurred at 1200 JST when solar radiation was most intense, surface temperature decreased by $13.8^{\circ}C$. This surface temperature decrease also led to cooling of air temperature at 1.5 m above street surface. During this time, air temperature in case 2 decreased by $0.28^{\circ}C$. As the radiation weakens from 1600 JST to 2000 JST, evaporative cooling had also been minimal. Shadow effect, higher albedo and lower thermal conductivity of WRP also contributed to surface temperature decrease. The cooling of ground surface eventually led to air temperature decrease. The degree of air temperature decrease was proportional to the surface temperature decrease. In terms of energy balance, WRP caused a maximum increase in latent heat flux by up to $255W/m^2$ and a decrease in sensible heat flux by up to $465W/m^2$.

방사선 및 원자력 관련 법제가 반영하는 기본권 (Fundamental Rights Reflected by the Legislation Regarding Radiation and Nuclear Power)

  • 한은옥;이재성;조홍재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1권1호
    • /
    • pp.15-29
    • /
    • 2016
  • 연구배경: 방사선이용 및 원자력발전의 외향적 성장에 비해 국민이 우려하는 건강권, 환경권, 안전권, 알권리, 발전권, 생존권 등 기본권과의 관계 분석은 전무한 상태이다. 재료 및 방법: 방사선 및 원자력 관련 실정법 내용을 가능한 높은 수준의 권리보장이라는 최대주의적 관점에서 다수의 기본권 분석을 통해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법률적 보완 방안을 도출하였다. 결과 및 논의: 한국 헌법에 방사선 및 원자력발전과 직접 관계된 기본권 내용은 최소한 12개 조항으로 다수의 권리와 관계된다. 방사선 및 원자력관련 실정법 14종에 헌법적 기본권이 다양한 조항으로 모두 반영되어 있다. 다수의 기본권이 함께 적용된 방사선 및 원자력 관련 실정법은 인간 삶의 질 향상 목적에서 생존권을 우선으로 한 건강권, 환경권, 알권리, 안전권이 작동되어야 하는 것인지, 생존권, 건강권, 환경권, 알권리, 안전권이 같은 크기로 작동되어야 하는 것인지에 대한 상대적 우위에 대해서는 신중한 결정이 필요하고, 인간영역에서 단시간에 평가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이다. 결론: 원자력, 방사선의 이용증진 측면과 위험 리스크 발생방지 측면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조화롭게 추구해야 하는 정책은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중요한 일이고, 권리 간 조화를 위해 올바른 가치판단이 필요하다.

반사경 배치 및 흡수기 형상에 따른 접시형 태양열 집열기의 열손실 해석 (Analysis of Heat Loss with Mirror Array and Receiver Shapes on the Dish Solar Collector)

  • 서주현;마대성;김용;강용혁;서태범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35-41
    • /
    • 2008
  • The radiative heat loss from a receiver of a dish solar collector is numerically investigated. The dish solar collector considered in this paper consists of a receiver and multi-faceted mirror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 comparison of dish solar collectors, six different mirror arrays and four different receivers are considered. A parabolic- shaped perfect mirror of which diameter is 1.40 m is considered as the reference for the mirror arrays. The other mirror arrays which consist of twelve identical parabolic-shaped mirror facets of which diameter are 0.405 m are suggested for comparison. Their reflecting areas, which are 1.545 $m^{2}$, are the same. Four different receiver shapes are a conical, a dome, a cylindrical, and a unicorn type. The radiative properties of the mirror surfaces and the receiver surfaces may vary the thermal performance of the dish solar collector so that various surface properties are considered. In order to calculate the radiative heat loss in the receiver, two kinds of methods are used. The Net Radiation Method that is based on the radiation heat balance on the surface is used to calculate the radiation heat transfer rate from the inside surface of the receiver to the environment. The Monte-Carlo Method that is the statistical approach is adopted to predict the radiation heat transfer rate from the reflector to the receiver. The collector efficiency is defined as the results of the optical efficiency and the receiver efficiency. Based on the calculation, the unicorn type has the best performance in receiver shapes and the STAR has the best performance in mirror arrays except the perfect mirr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