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diation Risk

검색결과 892건 처리시간 0.022초

마우스 소뇌과립층의 apoptosis를 지표로 한 진단용 초음파의 안전성 검증 (The evaluation on the biological safety of diagnostic ultrasound using radiation-induced apoptosis in the external granular layer of mouse cerebellum)

  • 오헌;이송은;양정아;조성기;정치영;손창호;김성호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628-634
    • /
    • 1999
  • We have studied, by a nonisotopic in situ end-labeling(ISEL) technique, frequency of apoptosis in the external granular layer(EGL) of the cerebellum of immature mice by ${\gamma}$-rays irradiation from $^{60}Co$ or diagnostic ultrasound exposure. The total number of normal cells and cells showing morphological features of apoptosis were counted. The frequency of apoptotic cells was expressed as a percentage of the total number of cells in EGL. The extent of changes following 200 cGy(1090 cGy/min) was studied at 2, 4, 6, 8, 12, or 24 hours after exposure. The maximal frequency was found 6~8 hours after exposure. The immature mice that received 18, 36, 54, 108, 198, 396 cGy of ${\gamma}$-rays or diagnostic ultrasound(7.5MHz, 4.2mW, $I_{SPTA}=7.9mW/cm^2$, $I_{SPTA}=114.3W/cm^2$) for 10 or 30 minutes were examined 6 hours after irradiation. Measurements performed after ${\gamma}$-ray irradiation showed a dose-related increase in apoptotic cells in each of the mice studied. The dose-response curves were analyzed by a linear-quadratic model ; frequency of apoptotic cell in the EGL was y = $(0.1349{\pm}0.01175)D$+$(-0.0001522{\pm}0.0000334)D^2$+0.048($r^2$ = 0.981, D = dose in cGy). In the experiment of ultrasound exposure, the frequency of apoptotic cell was $0.106{\pm}0.130$(10 minutes exposure) and $0.167{\pm}0.220$(30 minutes exposure). We estimated the relative dose of the yield from the experiment with ultrasound by substituting the yield from ultrasound exposure into the curve from the ${\gamma}$-irradiation. The relative dose of ultrasound exposure compared with ${\gamma}$-irradiation were 0.432 cGy(10 minutes exposure) and 0.885 cGy(30 minutes exposure). We have found that there is no evidence to indicate that diagnostic ultrasound involves a significant risk.

  • PDF

충청북도 일부지역 내 주택 실내 라돈 농도 (A Study on the Concentrations of Indoor Radon for Houses in Chungcheongbuk-do Province, Korea)

  • 지현아;유주희;김가현;원수란;김선홍;이정섭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668-674
    • /
    • 2019
  • Objectives: Modern people spend most of their day indoors. As the health impact of radon becomes an issue, public interest also has been growing. The primary route of potential human exposure to radon is inhalation. Long-term exposure to high levels of radon increases the risk of developing lung cancer. Radon exposure is known to be the second-leading cause of lung cancer, following tobacco smoke. This study measures the indoor radon concentrations in detached houses in area A of Chungcheongbuk-do Province considering the construction year, cracks in the houses, the location of installed detectors, and seasonal effects.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017 to April 2018 on 1,872 private households located in selected areas in northern Chungcheongbuk-do Province to figure out the year of building construction and the location of detector installed and identify the factors which affect radon concentrations in the air within the building. Radon was measured using a manual alpha track detector (Raduet, Hungary) with a sampling period of longer than 90 days. Results: Indoor radon concentrations in winter within area A was surveyed to be 168.3±193.3 Bq/㎥. There was more than a 2.3 times difference between buildings built before 1979 and those built after 2010. The concentration reached 195.4±221.9 Bq/㎥ for buildings with fractures and 167.2±192.4 Bq/㎥ for buildings without fractures. It was found that detectors installed in household areas with windows exhibited a lower concentration than those installed in concealed spaces. Conclusion: High concentrations of indoor radon were shown when there was a crack in the house. Also, ventilation seems to significantly affect radon concentrations because when the location of the detector in the installed site was near windows compared to an enclosed area, radon concentration variation increased.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radon concentration is lower in summer because natural ventilation occurs more often than in winter.

SiCf/SiC 복합체 보호막 금속피복관의 열충격 거동 분석 (Analysis of Thermal Shock Behavior of Cladding with SiCf/SiC Composite Protective Films)

  • 이동희;김원주;박지연;김대종;이현근;박광헌
    • Composites Research
    • /
    • 제29권1호
    • /
    • pp.40-44
    • /
    • 2016
  • 원자력발전소에서 사용되고 있는 핵연료 피복관은 핵분열 생성물들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고온 고압의 냉각수 분위기에서 우수한 산화저항성을 가져야 한다. 그러나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LOCA(Loss-Of-Coolant-Accident)와 같은 중대사고에서 핵연료의 피복관과 수증기 사이의 격렬한 반응으로 인해 급격한 고온산화를 동반한 다량의 수소발생으로 수소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핵연료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핵연료 피복관의 안전성 향상을 위해 내방사선성이 우수하며 높은 강도와 산화, 부식에 대한 내화학적 안정성 및 우수한 열전도도 의 특성을 갖는 SiC와 같은 구조용 세라믹스가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SiC_f/SiC$ 복합체 보호막 금속 피복관은 지르코늄 피복관 튜브에 SiC 섬유를 필라멘트 와인딩 한 후 Polycarbosilane을 polymer로 함침하여 기지상을 형성하는 공정을 이용하였다. 따라서 이렇게 제조한 $SiC_f/SiC$ 복합체 금속 피복관을 Drop Tube Furnace를 이용한 열충격에 따른 시편의 산화 및 미세조직을 분석하였다.

도난방지 시스템의 전자기장이 인공심장 박동기 등의 오동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AS Systems on Pacemakers and ICDs Malfunction)

  • 심영우;김종정;양동인;이문형;김덕원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6권6호
    • /
    • pp.44-49
    • /
    • 2009
  • EAS (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시스템은 상품의 도난 방지를 위한 것으로 상품 판매 자동화 증가로 인해 사용이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EAS 시스템의 전자기장 세기를 측정하였고, EAS 시스템이 pacemaker와 ICD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일반 성인 심장 높이인 130cm에서 6.3 kHz와 14.25 kHz EAS 시스템의 게이트 안쪽의 왼쪽, 바깥쪽의 오른쪽과 가운데 위치에서 전자기장의 세기를 측정하였고, pacemaker와 ICD의 동작 여부를 관찰하였다. 측정 결과 전자기장의 세기는 EAS 시스템에 따라 큰 차이가 났는데 14.25 kHz를 사용하는 EAS 시스템이 가장 강했다. Pacemaker는 고정시 세 위치 모두에서 파형 변화가 관찰되었고, ICD는 이동시와 고정시한 위치에서만 noise reversion, 심실세동이 관찰되었으며, 모두 전자기장 세기가 가장 센 14.25 kHz의 EAS 시스템의 전자기장에 의해 발생하였다. 이에 현재 국내에서는 시행되고 있지 않은 전자기장 방출에 대한 안내문 부착과 이식형 의료기기 시술을 받은 환자의 접근에 대한 위험성 경고문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

조류성장에 미치는 점토탁수의 영향평가 (Impact Assessment of Turbidity Water caused Clays on Algae Growth)

  • 박찬갑;강미아
    • 지질공학
    • /
    • 제16권4호
    • /
    • pp.403-409
    • /
    • 2006
  • 탁수를 유발하는 점토물질들은 물환경에서 유기오염원들과의 결합하거나 입자들의 침강성을 나쁘게 하여 수중 생태계에 심각한 악영향을 초래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수생생태계에서 일차 생산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조류의 성장에 미치는 점토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카오리나이트, 세리사이트 및 몬모릴로나이트 등과 같은 무기점토가 조류성장저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무영향 농도를 산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카오리나이트와 세리사이트의 경우, $72hr-EC_{50}$는 각각 2,752 mg/L과 2,775 mg/L 이었으며, (2) 몬모릴로나이트의 경우에는 대조군과 유사한 $72hr-EC_{50}$을 나타내었다. (3) 한편, UV 가시광선의 투과율을 조사한 결과 투과율이 증가할수록 조류의 증식이 증가하는 결과로부터 가시광선의 투과율은 조류증식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인자임을 밝혔다. (4) 따라서 조류성장저해 정도를 이용하여 점토 탁수가 수생태에 미치는 영향을 간접적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사용후핵연료 저장시스템의 설계기준 설정 인자 고찰 (Determination of Design Basis for a Storage System for Spent Fuel in Korea)

  • 윤정현;이은용;우상인;김태만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13-119
    • /
    • 2011
  • 원자력발전소에서 나온 사용후핵연료 건식저장시스템의 안전한 운영과 유지는 기본적으로 적절하게 선택된 설계기준에 좌우된다. 저장시스템의 가장 중요한 설계목표는 저장된 사용후핵연료로부터 작업자의 안전과 대중에게 과도한 위험이 없이 보관, 취급, 수납 및 감시할 수 있는 신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려면, 시스템의 설계, 사용후핵연료로부터의 잔류 열을 제거하고 방사선 차폐를 제공함과 동시에 설계 기준에 지정된 시스템의 수명동안 격납을 유지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한다. 운영 중 발생가능한 설계사항은 설계 기준에 반영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건식저장시스템의 일반적인 성능 요구 사항을 소개하였다. 저장시스템은 인허가를 위한 규제 요구사항과 연관하여 사용후핵연료를 저장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여기서 최대연소도의 증가는 냉각기간과 맞물려 가감할 수 있다. 이때 열부하와 방사능의 크기가 최대 설계기준 연소도의 기준을 설정하는 주요한 인자가 된다. 이외에 건식저장시스템의 설계기준사고와 다른 분야 즉 기계 및 구조 그리고 차폐 및 방사선적인 요구사항들의 종류가 기술되었다.

석유 부산물의 물리화학적 분석을 통한 화재폭발 특성연구 (A Study on Fire Explosion Characteristics via Physico-chemical Analysis of Petroleum Residues)

  • 김형기;이영석
    • 공업화학
    • /
    • 제30권5호
    • /
    • pp.556-561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석유 부산물인 열분해잔사유의 화재, 폭발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그 물리 화학적 분석을 실시하고 주요 성분을 선정하였다. GC-SIMDIS 및 MALDI-TOF 분석을 통해 열분해잔사유의 주요 성분 분포영역을 확인하였으며, GC-MS 분석을 통해 주요 성분 분포영역에 대한 정성분석을 실시하였다. 아울러 EA, SARA, TGA 등 다양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열분해잔사유의 주요 성분을 선정하였다. 그 결과 benzene, toluene, xylene을 주요 성분을 선정하여 PHAST 분석을 통한 화재 폭발 시 최대 피해영향범위를 고찰하였다. Toluene은 제트 화재 발생 시 $227kW/m^2$의 복사열 및 118 m의 영향범위를 나타내어 가장 높은 위험성을 보였으며, xylene과 benzene은 각각 114와 $151kW/m^2$의 최대 복사열 수치를 나타내었다, 또한, pasquill 안정도 및 풍속에 따른 피해영향범위를 분석한 결과 benzene에서 풍속에 따라 최대 55% 이상의 복사열이 증가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영향범위를 증가시키는 주요인자인 것으로 여겨졌다.

농업지역(밭) 암모니아 등 대기오염물질 계절별 모니터링 연구 (Study on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Air Pollutants from Agricultural Area)

  • 김민욱;김진호;김경식;홍성창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11-218
    • /
    • 2021
  • BACKGROUND: Fine particulate matter (PM2.5) is produced by chemical reactions between various precursors. PM2.5 has been found to create greater human risk than particulate matter (PM10), with diameters that are generally 10 micrometers and smaller. Ammonia (NH3) and nitrogen oxides (NOx) are the sources of secondary generation of PM2.5. These substances generate PM2.5 through some chemical reactions in the atmosphere. Through chemical reactions in the atmosphere, NH3 generates PM2.5. It is the causative agent of PM2.5. In 2017 the annual ammonia emission recorded from the agricultural sector was 244,335 tons, which accounted for about 79.3% of the total ammonia emission in Korea in that year. To address this issue, the agricultural sector announced the inclusion of reducing fine particulate matter and ammonia emissions by 30% in its targets for the year 2022. This may be achieved through analyses of its emission characteristics by monitoring the PM2.5 and NH3. METHODS AND RESULTS: In this study, the PM2.5 concentration was measured real-time (every 1 hour) by using beta radiation from the particle dust measuring device (Spirant BAM). NH3 concentration was analyzed real-time by Cavity Ring-Down Spectroscopy (CRDS). The concentrations of ozone (O3) and nitrogen dioxide (NO2) were continuously measured and analyzed for the masses collected on filter papers by ultraviolet photometry and chemiluminescence. CONCLUSION: This study established air pollutant monitoring system in agricultural areas to analyze the NH3 emission characteristics. The amount of PM2.5 and NH3 emission in agriculture was measured. Scientific evidence in agricultural areas was obtained by identifying the emission concentration and characteristics per season (monthly) and per hour.

Neoadjuvant Chemotherapy and Prognosis of Pregnancy-Associated Breast Cancer: A Time-Trends Study of the Korean Breast Cancer Registry Database

  • Bae, Soo Youn;Kim, Ku Sang;Kim, Jeong-Soo;Lee, Sae Byul;Park, Byeong-Woo;Lee, Seok Won;Lee, Hyouk Jin;Kim, Hong Kyu;You, Ji-Young;Jung, Seung Pil;Korean Breast Cancer Society
    • Journal of Breast Cancer
    • /
    • 제21권4호
    • /
    • pp.425-432
    • /
    • 2018
  • Purpose: Pregnancy-associated breast cancer (PABC) is rare, and its cause and prognosis are not well known. Additionally, treatment is limited with respect to the risk to the fet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trends of PABC and the survival rate according to the treatment. Methods: In the Korean Breast Cancer Society Registry database, women younger than 50 years and who were diagnosed with breast cancer from 1996 to 2015 were included. PABC was defined as breast cancer diagnosed during pregnancy or within 1 year after delivery. Results: We examined 411 patients with PABC and 83,381 patients with non-PABC. Over time, the proportions of patients undergoing breast-conserving surgery and sentinel lymph node biopsy increased, and neoadjuvant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administration rates also increased. In the past, the overall survival of patients with PABC was poorer than that of patients with non-PABC,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overall survival rates in more recent years. There was no difference in overall survival rates between patients who received neoadjuvant chemotherapy (hazard ratio [HR], 1.28; 95% confidence interval [CI], 0.66-2.49; p=0.459), but PABC conferred poorer prognosis than non-PABC in patients receiving adjuvant chemotherapy (HR, 1.63; 95% CI, 1.27-2.08; p<0.001). Conclus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rognosis between patients with PABC and those with non-PABC receiving neoadjuvant chemotherapy. The increase in neoadjuvant chemotherapy according to current treatment guidelines is expected to improve the survival rate of patients with PABC.

다수호기 원전 운영에 따른 원전 해체 작업자에 대한 방사선학적 영향 (Radiological Impact on Decommissioning Workers of Operating Multi-unit NPP)

  • 이은희;김창락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07-120
    • /
    • 2019
  • 다수호기 부지에 위치한 원전의 해체는 인근에 위치한 운영중인 원전으로 인해 작업자에게 추가적인 방사선 피폭 위험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인근의 운영중인 다수호기 원전에 의한 해체 작업자에 대한 피폭 선량 평가가 필요하다. ENDOS프로그램은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에서 개발된 선량평가 전산코드로, 하위 프로그램으로 대기 확산 평가 프로그램인 ENDOS-ATM과 기체 방사성 배출물에 의한 피폭 선량 계산을 수행하는 ENDOS-G가 있다. 이 프로그램들을 이용하여 고리 1호기 해체작업자에 대한 다수호기 원전 운영에 의한 피폭 선량을 계산한 결과, $2.31{\times}10^{-3}mSv{\cdot}y^{-1}$로 일반인에 대한 피폭선량 기준치인 $1mSv{\cdot}y^{-1}$에 비교해 보았을때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판단에 도달할 수 있었다. 앞으로 예상되는 국내 해체 원전의 경우 모두 다수호기 부지에 위치하여 이 연구 방법과 결과가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