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T storage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6초

감마선 조사에 의한 튀김어묵의 품질보존 (Preservation of Fried Fish Meat Paste by Irradiation)

  • 조한옥;권중호;변명우;이미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474-481
    • /
    • 1985
  • 튀김어묵의 위생적인 유통과 보존기간 연장을 목적으로 시료에 0-5kgy 범위에 감마선을 조사한 뒤 $3{\pm}1^{\circ}C$의 저온과 $10{\sim}20^{\circ}C$의 실온에 저장하면서 변패의 원인이 되고 있는 미생물의 살균효과와 저장중 생육상태 및 어묵의 품질에 관련된 이화학적 특성변화를 검토하였다. 튀김어묵의 초기 미생물 오염도는 총세균 $2.2{\times}10^3/g, 효모 및 곰팡이가 $2.8{\times}10^2/g, 대장균군이 $1.0{\times}10^2/g$ 수준이었으나 3kGy 정도의 감마선 조사로서 감균효과가 우수하였고 공기포장과 탈기포장간의 차이는 현저하지 않았다. 저장중 시료의 pH, TBA가 휘발성 염기질소량의 변화는 조사고와 비조사구가 유사한 경향이거나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라 조사구가 다소 우수하였으며, 적정선량 조사는 시료의 texture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저장기간 중 진공포장된 시료의 관능시험 결과에서 3kGy의 감마선 조사는 비조사구에 비해 튀김어묵의 신선도를 실온에서는 약 2배, 저온에서는 $3{\sim}4$배 정도 연장시킬 수 있었다.

  • PDF

호기성 액비화 발효열을 가정한 폐열회수시스템 구성 및 활용 연구 (A Study on Composition and Utilization of Waste Heat Recovery System Assuming Aerobic Liquid-composting Fermentation heat)

  • 임류갑;장재경;강태경;손진관;이동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56-6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가축분뇨 처리시설의 호기성 액비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회수하기 위한 폐열회수 시스템을 고안하여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 장치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또한, 회수된 열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실험 설정을 위해 가축분뇨 처리시설의 액비 발효조에서 발생하는 발효열을 확인하였다. 호기성 액비화를 위한 발효조의 온도가 균일성을 나타낸 특성과 34.5 ~ 43.9 ℃의 범위에서 운영되는 점을 고려하여 실험 온도 수준을 35, 40, 45 ℃로 설정하였다. PE 및 STS 파이프로 구성된 복합열교환기는 53.5, 65.6, 74.4 MJ/h 열에너지를 회수하고, 5 RT 용량의 히트펌프는 95.6, 96.1, 98.9 MJ/h 열에너지를 축열 하였으며, 이때 히트펌프의 난방성능계수는 4.53, 4.62, 4.65이었다. 발효조의 온도를 45 ℃로 가정한 열교환기의 최대 온수 생산능력을 급탕량 산정 방법으로 비교했을 때 56 360 kcal/day의 에너지 공급량을 확인하였다. 축열조와 연계된 FCU의 온풍 난방능력은 20.8 MJ/h, 에너지 이용효율은 96.1 %였다. FCU의 온풍으로 퇴비를 건조하였을 때 초기함수율 50.5 %에서 건조 후 함수율 45.8 %로 4.7 %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구마에서 질소 유도성 유전자의 분리 및 특성분석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itric Oxide-induced Gene in Sweetpotato)

  • 이일환;심동환;이강록;남기정;이신우;김윤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31-63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산화질소 유도성(nitric oxide-induced, NOI) 유전자를 건조 처리된 고구마 실뿌리의 EST 라이브러리에서 분리하였다. 분리된 IbNOI 유전자의 cDNA는 712 bp의 길이이며, 77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Blast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한 결과, 식물에서 보고된 NOI 단백질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RT-PCR과 realtime-PCR을 통해 IbNOI 유전자의 발현수준을 고구마 식물체의 조직별로 조사한 결과, 저장뿌리와 현탁배양세포에서 높은 발현 수준을 보였다. 잎에서 산화질소를 유도하는 SNP와 화합물 스트레스들을 처리시, IbNOI의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고염, 건조와 같은 비생물학적 스트레스 및 병원균 감염에 의해서도 IbNOI의 발현이 유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통해 IbNOI 유전자는 다양한 비생물학적 스트레스 및 병원균 감염 동안 산화질소와 연관된 조절기작을 통해 식물의 방어기능에 관여할 것으로 생각되는 바이다.

간에서 지방산 분할에 대한 지방산결합 단백질 5의 역할 (The role of Fatty acid binding protein 5 (Fabp5) in fatty acid partitioning in the liver)

  • 박재승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8호
    • /
    • pp.283-291
    • /
    • 2019
  • 간성 지방생성과 지방 대사에 있어서 FABP5의 역할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마우스에 바이러스 입자를 이용하여 간에서 FABP5를 과발현 그리고 침묵시켜 이용하였다. 마우스에 서양식 또는 일반 사료를 1주일간 섭취시키고 24시간 동안 금식한 후 희생하였다. 간을 기계적으로 분쇄하여 웨스턴 블?으로 단백질 농도를 측정하였고, mRANA 분석에는 RT-PCR을 이용하였다. 간과 혈청의 지질 분석에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였다. 서양식이나 고농도 포화 지방식을 급식한 쥐에서 FABP5 발현이 높은 증가를 보였으나, FABP5 mRNA 발현은 급식에 비해 단식조건에서 급격히 감소하였다. FABP5를 과발현 시킨 상태에서 급식과 금식을 실시한 결과 간성 TG가 중요하게 증가하였다. 간성 유리 콜레스테롤은 급식상태에서 현저히 감소하였다. FABP5 발현 억제 시 간성 TG가 상당히 감소하였다. 결과들에서 보듯이, FABP5가 간지질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정상 상태 및 탄수화물 유도 조건에서 간성 TG 저장형성에 관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FABP5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대사증후군, 비만 치료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더 나아가, FABP5 발현에 어떤 전사인자가 관여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단독주택용 태양열/지열 융복합시스템의 태양열 급탕성능 평가 (An Evaluation of the Solar Thermal Performance of the Solar/Geo Thermal Hybrid Hot Water System for a Detached House)

  • 백남춘;한승현;이왕제;신우철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7권11호
    • /
    • pp.581-586
    • /
    • 2015
  • In this study, an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performance of the solar water heating system with geo-thermal heat pump for a detached house. This system has a flat plate solar collector ($8\;m^2$) and a 3 RT heat pump. The heat pump acts as an auxiliary heater of the solar water heating system. These systems were installed at four individual houses with the same area of $100\;m^2$. The monitoring results for one year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daily operating time of the solar system appeared to be 313 minutes in spring (intermediate season), and 135 minutes and 76 minutes in winter and summer respectively. The reason for the short operating time in summer is the high storage temperature due to low water heating load. The high storage temperature is caused by a decrease in collecting efficiency as well as by overheating. (2) The geothermal heat pump as an auxiliary heater mainly operates on days of poor insolation during the winter season. (3) Despite controlling for total house area, hot water consumption varies greatly according to the number of people in the family, hot water usage habits, etc. (4) The yearly solar fraction was 69.8 to 91.5 percent, which exceeds the maximum value of 80% as recommended by ASHRAE. So the solar collector area of $8\;m^2$ appeared to be somewhat greater for the house with an area of $100\;m^2$. (5) The observed annual efficiency of solar systems was relatively low at 13.5 to 23.6%, which was analyzed to be due to the decrease in thermal efficiency and the overheating caused by a high solar fraction.

Proteomic analysis of Korean ginseng(Panax ginseng C. A. Meyer) following exposure to salt stress

  • Kim, Sun-Tae;Bae, Dong-Won;Lee, Kyung-Hee;Hwang, Jung-Eun;Bang, Kyong-Hwan;Kim, Young-Chang;Kim, Ok-Tae;Yoo, Nam-Hee;Kang, Kyu-Young;Hyun, Dong-Yun;Lim, Chae-Oh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5권3호
    • /
    • pp.185-193
    • /
    • 2008
  • We evaluated the response to salt stress of two different ginseng lines, STG3134 and STG3159, which are sensitive and tolerant, respectively, to salt treatment. Plants were exposed to a 5 dS/m salt solution, and chlorophyll fluorescence was measured. STG3134 ginseng was more sensitive than STG3159 to salt stress. To characterize the cellular response to salt stress in the two different lines, changes in protein expression were investigated using a proteomic approach. Total protein was extracted from detached salt-treated leaves of STG3134 and STG3159 ginseng, and then separated by two-dimensional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2-DE). Approximately 468 protein spots were detected by 2-DE and Coommassie brilliant blue staining. Twenty-two proteins were found to be reproducibly up- or down-regulated in response to salt stress. Among these proteins, twelve were identified using MALDI-TOF MS and ESI-Q-TOF and classified into several functional groups: photosynthesis-related proteins(oxygen-evolving enhancer proteins 1 and 2, rubisco and rubisco activase), detoxification proteins(polyphenol oxidase) and defense proteins($\beta$-1,3-glucanase, ribonuclease-like storage protein, and isoflavone reductase-like protein). The protein levels of ribonuclease-like storage protein, which was highly induced in STG3159 ginseng as compared to STG3134, correlated tightly with mRNA transcript levels, as assessed by reverse-transcription(RT)-PCR. Our results indicate that salinity induces changes in the expression levels of specific proteins in the leaves of ginseng plants. These changes may, in turn, playa role in plant adaptation to saline conditions.

Growth Retardation and Death of Rice Plants Irradiated with Carbon Ion Beams Is Preceded by Very Early Dose- and Time-dependent Gene Expression Changes

  • Rakwal, Randeep;Kimura, Shinzo;Shibato, Junko;Nojima, Kumie;Kim, Yeon-Ki;Nahm, Baek Hie;Jwa, Nam-Soo;Endo, Satoru;Tanaka, Kenichi;Iwahashi, Hitoshi
    • Molecules and Cells
    • /
    • 제25권2호
    • /
    • pp.272-278
    • /
    • 2008
  • The carbon-ion beam (CIB) generated by the heavy-ion medical accelerator in Chiba (HIMAC) was targeted to 7-day-old rice. Physiological parameters such as growth, and gene expression profiles were examined immediately after CIB irradiation. Dose-dependent growth suppression was seen three days post-irradiation (PI), and all the irradiated plants died by 15 days PI. Microarray (Agilent rice 22K) analysis of the plants immediately after irradiation (iai) revealed effects on gene expression at 270 Gy; 353 genes were up-regulated and 87 down-regulated. Exactly the same set of genes was affected at 90 Gy. Among the highly induced genes were genes involved in information storage and processing, cellular processes and signaling, and metabolism. RT-PCR analysis confirmed the microarray data.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비만 생쥐에서 쑥부쟁이 에탄올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 of Aster Yomena Ethanol Extract in High Fat Diet-induced Obese Mice)

  • 이호재;김현식;서상완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348-355
    • /
    • 2017
  • Aster yomena (AY) have been used as a traditional medicine to treat cough, bronchial asthma, and insect bites in Korea.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inhibition of adipogenesis in 3T3-L1 cells and in high-fat diet (HFD)-induced obese mice by AY ethanol extract. Lipid accumulation measurement indicates that AY markedly inhibited adipogenesis in a dose-dependent manner. qRT-PCR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mRNA expression of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such as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gamma}$ ($PPAR-{\gamma}$) in 3T3-L1 cells were significantly down-regulated by AY treatment. And inhibited the expression of FAS, a protein responsible for lipid synthesis, transport and storage. Oral administration of AY (100, 250, and 500 mg/kg, P.O/daily for 4 weeks) was conducted in high-fat diet induced obese mice and C57BL/6 mice. AY was orally administered for 4 weeks to extract liver and epididymal fat, and hematoxylin and eosin staining(H&E staining) was observed. Observation showed that the fat concentration of liver tissue tended to decrease dose-dependently and decreased significantly at 500 mg/kg concentration. The AY-administered group of HFD-induced mice had a lower body weight gain, along with decreased triglycerides and total cholesterol compared with the control mice, however, the HDL-cholesterol/total cholesterol ratio was increas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Y exhibits anti-obesity effects in obese mice by decreasing in serum lipid levels and lipogenesis related gene.

시설원예를 위한 수평형 지열 히트펌프의 냉방성능 해석 (Cooling Performance of Horizontal Type Geothermal Heat Pump System for Protected Horticulture)

  • 유영선;강연구;강금춘;김영중;백이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90-95
    • /
    • 2008
  • 수직형에 비해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고 냉난방을 동시에 할 수 있는 농업시설에 적합한 10RT 규모의 수평형 지열히트펌프 시스템을 $240m^2$ 면적의 온실에 설치하고, 이 시스템의 냉방성능을 분석하였다. 응축기 출구온도가 $40^{\circ}C$에서 $58^{\circ}C$로 상승함에 따라 소비전력은 11.5kW에서 15kw로 상승하였으며, 고압이 1,617kpa에서 2,450kPa로 변화하였다. 냉방성능계수는 지중온도 $25.5^{\circ}C$에서 2.7 수준이었으며 지온이 상승함에 따라 하강하여 $33.5^{\circ}C$에서 2.0 수준이었다. 또한 온실 내부로부터 흡수하는 열량(냉방열량)은 같은 지중온도 수준에서 각각 28.8kW, 26.5kW이었다. 가동 8시간 후 지열교환기가 설치된 60cm깊이의 지온은 $14.3^{\circ}C$가 상승하였으며 150cm는 $15.3^{\circ}C$가 상승하였다. 반면 지열교환기가 매설되지 않은 60cm 깊이는 2.4, 150cm 깊이는 $4.3^{\circ}C$의 지온상승을 보였다. 열매 체유가 지열교환기를 통과한 후 평균 $7.5^{\circ}C$의 온포가 하강하였으며, 토양온도가 평균 $27.5^{\circ}C$ 수준에서 토양으로 방출하는 열량은 평균 46kw로 지중열교환기의 단위 길이 당 약 36.8W의 열량을 방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팬코일 유닛이 온실로부터 흡수하는 냉방 열량은 평균 28.2kW이었으며, 열매체유의 온도는 $4.2^{\circ}C$ 상승하였다. 축열조내 열전달매체유의 온도가 $26.0^{\circ}C$에서 $2.0^{\circ}C$까지 하강하는데 3시간이 소요되었으며, 평균 축열율은 29.7kW, 총 축열량은 321MJ이었다. 또한 $2.0^{\circ}C$까지 냉열을 축열한 후 $25.4^{\circ}C$까지 방열되는 시간은 외기온이 평균 $28.5^{\circ}C$일 때 4시간이었고, 총 313.0MJ의 에너지가 방열되었으며, 이때 평균 방열율은 21.7kW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냉동 보존 전후의 사람 탯줄 유래 줄기세포의 특성 분석 (Stem Cell Properties of Human Umbilical Cord-derived Stem Cells after Cryopreservation)

  • 강현미;박세아;윤진아;허진영;김해권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2권3호
    • /
    • pp.221-229
    • /
    • 2008
  • 줄기세포를 임상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체외에서 증식 과정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배아줄기세포와는 달리 성체줄기세포는 체외에서 증식할 경우 일정시간이 지나면 줄기세포의 특성을 잃기 때문에 임상사용에 있어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줄기세포의 특성을 잃지 않게 세포를 보존하는 방법이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탯줄 유래 줄기세포를 동결 보존한 후 해동시켜 줄기세포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사람의 탯줄 유래 세포를 분리하여 체외에서 배양한 후 2번째 또는 3번째 계대의 세포를 25% FBS와 10% DMSO가 첨가된 냉동배양액에 넣어 $-196^{\circ}C$에서 동결보존한 후, 6개월 뒤에 해동시켜 세포의 성장 속도와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을 살펴보았다. 냉동 보존한 후 세포를 해동시킨 결과 74%의 생존율을 보였으며, 이 세포를 체외에서 배양하였을 경우, 냉동보존하기 전의 세포와 유사하게 방추사 모양의 섬유 아세포의 형태를 나타냈다. 또한, 성장 속도 역시 냉동보존하기 전의 세포와 똑같이 10번째 계대까지 배양되었으며, 42번 분열 능력을 나타냈다. RT-PCR 결과, 냉동 전후 세포 모두에서 Oct-4, nanog, SCF, NCAM, nestin, GATA4, BMP4, HLA-1 유전자는 모두 발현하였으며, Brachyury와 HLA-DR은 발현하지 않았다. 면역세포 화학 염색 결과, 배아줄기세포 단백질로 알려진 SSEA-3, -4, Oct-4 그리고 중간엽줄기세포 단백질인 Thy-1은 모두 발현하였으며, vimentin, fibronectin, HLA-1, HCAM, ICAM 모두 발현하였다. 그러나 SSEA-4과 Thy-1, vimentin, fibronectin, HLA-1는 냉동보존한 후 배양된 탯줄질의 발현은 냉동보존하기 전후의 탯줄 유래 세포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 냉동 보존된 탯줄 유래 세포는 세포의 분열능력과 유전자 및 단백질의 발현이 냉동 보존 전 세포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냉동보존법이 임상적으로 세포 치료 시 적절한 세포의 수나 시간을 맞추는데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