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C Curve

검색결과 602건 처리시간 0.029초

관상동맥 질환을 가진 환자에서 폐동맥카테터로 측정한 전부하 지표들은 수액부하 반응을 예상할 수 있는가? (Assessment of Parameters Measured with Volumetric Pulmonary Artery Catheter as Predictors of Fluid Responsiveness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Occlusive Disease)

  • 이지연;이종화;심재광;유경종;홍승범;곽영란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1호
    • /
    • pp.41-48
    • /
    • 2008
  • 배경: 전부하의 정확한 평가와 수액요법을 통한 적절한 유지는 관상동맥질환자의 심박출량을 최적화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수액부하에 따른 일회 박출량지수의 변화와 전부하 지표들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이러한 전부하 지표들이 수액부하 반응을 예측할 수 있으며 수액요법의 지침으로 유용한가를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 받은 환자 9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마취유도 10분 후(T1)에 혈역학 변수들을 기록하고, 6% hydroethylstarch 130/0.4를 체중 kg당 10 mL를 20분에 걸쳐 정주하였으며, 이후 10분 후(T2)에 혈역학 변수를 다시 기록하였다. 결과: 수액부하에 따른 일회박출량지수 변화량(%)과 수액부하 전(T1)의 우심실박출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0.272, p=0.017), 중심정맥압, 폐모세혈관쐐기압, 이완기말우심실용적지수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이들 중 어떠한 지표도 ROC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곡선아래 영역이 0.7을 넘지 않았다. 수액부하에 따라 일회박출량지수가 10% 이상 증가한 반응군으로, 증가하지 않은 군을 비반응군으로 정의하였을 때, 반응군은 31명, 비반응군은 65명이었으며, 우심실박출계수를 제외한 수액부하 전 지표들은 두 군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관상동맥 질환 환자에서 폐동맥카테터로 얻을 수 있는 전부하 지표들을 이용하여 수액부하에 따르는 일회박출량지수의 반응을 예측할 수는 없었다.

한국인에서 대사증후군의 선별검사로서 체성분 분석 및 체질량지수의 타당성연구 (Cutoff Values of Body Mass Index and Body Fat Measures for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Population)

  • 이현재;김병권;김준연;김정만;유병철;김은정;홍영습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9-16
    • /
    • 2010
  • 본 연구는 단면조사 연구로 건강검진 수진자 코호트 연구에 참여하는 전국의 10개 의료기관에서 수진한 40세에서 65세 사이의 성인 남녀 10,077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자들에 대해 설문조사, 신체계측, 임상검사 및 체성분 분석을 시행하였고, 대사증후군의 진단에서 ROC 곡선을 이용하여 각 남녀의 체중별 체질량지수와 체성분 분석 결과의 진단적 가치를 비교하였다. 남성 대상자의 대사증후군 진단은 체질량지수 $25.5\;kg/m^2$ 임계점에서 민감도 70.0%, 특이도 72.0%로 나타났으며 26.1%의 비만기준에서는 민감도 60.6%, 특이도 76.4%였다. 여성 대상자의 경우는 체질량지수 $24.1\;kg/m^2$ 기준으로 민감도 73.3%, 특이도 68.8%였고 31.5%의 비만기준에서는 민감도 76.7%, 특이도 65.6%로 나왔다. 본 연구를 통해 전체 남녀 연구대상자의 대사증후군 진단에서 체중 증가에 따른 체질량지수와 체성분 분석결과의 임계점이 증가하는 양상을 확인하였고, 한국의 일반적 비만기준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대사증후군의 진단에서 체성분 분석 결과, 체질량지수의 성별, 체중별 진단적 가치 비교와 대사증후군의 진단에 따른 각각의 임계점은 대사증후군 선별검사의 임상적인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자궁경부암 조직에서 에스트로겐 수용체 알파 mRNA의 진단적 유용성 (Diagnostic Availability of Estrogen Receptor Alpha mRNA on Cervical Cancer Tissue)

  • 김지혁;유광민;김정호;김서용;박선영;안성우;이지영;김성현;박호현;이동섭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449-456
    • /
    • 2018
  • 자궁경부암은 세계적으로 여성에서 네번째로 많이 진단되는 암이다. 개발 지수가 낮은 개발도상국이나 후진국에서는 자궁경부암의 발생률과 사망률이 훨씬 심각하다. 따라서 더 나은 진단법과 치료법이 시급하다. 인유두종바이러스가 자궁경부암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진 이후로 바이러스에 대한 검사가 세포검사 조직검사와 함께 자궁경부암을 진단하는데 일상적으로 쓰이고 있다. 하지만, HPV 검사에서 음성을 보이는 환자가 자궁경부암으로 발전하는 사례가 계속해서 발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HPV 외에 자궁경부암의 원인으로 생각되는 인자들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중에서도 에스트로겐 수용체 알파의 mRNA 발현양을 실시간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통해 분석하였다. 에스트로겐 수용체 알파에 대해서는 예전부터 자궁내막을 성숙시키면서 동시에 자궁경부암의 발암 기전에 연관이 있을 것이라는 추측이 있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해 임상검체를 통해 양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ROC 곡선을 바탕으로, 85%의 민감도와 75%의 특이도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 값은 기존의 HPV 검사법보다 유사하거나 더 높은 값이었다. 나이, 병변의 심한 정도 등을 포함한 임상 정보를 바탕으로 회귀 분석한 결과 폐경 여부와 에스트로겐 수용체 알파의 발현양이 높은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예비 연구의 일종으로, 추후 연구에서 가능성이 확인된 호르몬과 폐경에 관련된 유전자를 대상으로 더 많은 검체로 분석해야 할 것이다.

경동맥 내중막 두께에 따른 죽상경화반의 위험요인과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and Risk Factors for Atherosclerosis)

  • 안현;이효영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339-348
    • /
    • 2019
  • 본 연구는 건강검진을 목적으로 내원하여 경동맥초음파를 실시한 11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경동맥의 내중막 두께는 심혈관 질환 및 뇌혈관 질환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임상에서 선별 검사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경동맥 초음파를 이용하여 경동맥 내중막 두께와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혈청지질수치, 공복 혈당, 당화혈색소, 혈압등이 갖는 연관 관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경동맥초음파상 IMT두께가 0.8 mm 이상을 비정상으로 간주하고 죽상경화증(atherosclerosis)의 유무를 평가하였으며, 혈청검사를 통하여 지질학적 수치 및 공복혈당수치, 당화혈색소를 분류하여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허리둘레(p=.022), 저밀도 콜레스테롤(p=.004), 공복혈당수치(p=.019), 당화혈색소 수치(p=.002)가 죽상경화증(atherosclerosis을 일으키는 예측인자로 분석되었다. ROC 곡선 분석에서 허리둘레에서 민감도 87.80%(95% CI : 73.8-95.9), 특이도 41.67%(95% CI : 30.2-53.9), 저밀도 콜레스테롤에서 민감도 78.05%(95% CI : 62.4-89.4), 특이도 50.00%(95% CI : 38.0-62.0 공복혈당에서 민감도 73.11%(95% CI : 57.1-85.8), 특이도 61.11 (95% CI : 48.9-72.4)), 당화혈색소에서 민감도 82.93%(67.9-91.8), 특이도 43.06%(31.4-55.3)를 나타내었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죽상경화증(atherosclerosis) 발생위험성은 허리둘레(WC)>76 cm에서 0.248배, 저밀도 콜레스테롤(LDL-C)${\geq}124mg/dL$에서 3.475배, 당화혈색소(HbA1C)>5.4%에서 0.618배로 나타났다. 향후 심뇌혈관질환의 효과적인 일차예방 역할을 위해 다수의 대상자를 대상으로 혈액검사수치를 고려하여 혈관의 추적관찰이 용이한 경동맥초음파를 통한 전향적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 된다.

PCL-5(DSM-5 기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체크리스트) 한국판 종단 타당화 연구 (A Longitudinal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PCL-5(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hecklist for DSM-5))

  • 이동훈;이덕희;김성현;정다송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8권2호
    • /
    • pp.187-217
    • /
    • 2022
  • 본 연구는 한국판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체크리스트-5(PCL-5)의 타당화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을 대상으로 두 시점에서 온라인 설문을 1년 간격으로 실시하였고, 1시점에서는 1,077명, 2시점에서는 563명의 자료를 본 연구에서 사용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1요인, 4요인, 6요인, 7요인의 모형 적합도를 확인한 결과, 4, 6, 7요인이 수용가능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7, 6, 4요인 순으로 우수한 적합도를 보였다. 다음으로 내적일치도, 오메가 계수, 개념신뢰도, 분산추출지수,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확인한 결과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한국판 외상 후 스트레스 선별 평가지(K-PC-PTSD-5)와 단축형 간이정신진단 검사-18(BSI-18)와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검사 모두와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한국판 PCL-5가 향후 PTSD, 우울, 불안, 신체화 증상을 예측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1시점에서 한국판 PCL-5로 측정한 PTSD 증상이 2시점의 PTSD, 우울, 불안, 신체화 증상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ROC 곡선 분석을 통해 PCL-5의 PTSD 증상집단 구분에 대한 변별력을 확인하고 최적 절단점을 제시하였다. PCL-5의 한국판 종단타당화 결과, 본 척도가 한국인에게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예측타당도 분석을 통해 한국판 PCL-5가 PTSD 증상뿐만 아니라 우울, 불안, 신체화와 같은 PTSD 관련 증상을 예측가능함을 제시하였으며, PTSD 증상집단에 대한 변별이 가능한 절단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PTSD 증상을 측정하는 기존 타당화 연구와 차별점을 지닌다.

I, II병기 비소세포폐암의 예후에 대한 수술 전 양전자방출 컴퓨터 단층촬영기의 임상적 의의 (Prognostic Value of Preoperativ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in Surgically Resected Stage I and II Non-Small Cell Lung Cancer)

  • 송성헌;손장원;곽현정;김사일;김상헌;김태형;윤호주;신동호;최윤영;박성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1권6호
    • /
    • pp.425-430
    • /
    • 2011
  • Background: High 2-[$^{18}F$] fluoro-2-deoxy-D-glucose (FDG) uptake on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PET-CT) is a prognostic factor for poor survival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especially in Stage I. We determined whether the high FDG uptake value of a primary tumor was associated with recurrence and death in patients with resected Stage I and Stage II NSCLC. Methods: We identified consecutive patients who underwent complete surgical resection for Stage I and II NSCLC between 2006 and 2009, who had preoperative PET-CT, and reviewed clinical records retrospectively. FDG uptake was measured as the maximal standardized uptake value (SUVmax) for body weight.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SUVmax: (i) above or (ii) below the cut-off value (SUVmax=5.9) determined by a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Results: Of 57 patients who were enrolled consecutively, 32 (56%) had Stage I NSCLC and 25 (44%) had Stage II. The 5-year recurrence-free survival (RFS) for patients with high (${\geq}5.9$) and low (<5.9) SUVmax were 31% and 57%, respectively (p=0.014). The 5-year overall survival (OS) rates were 39% and 60%, respectively (p=0.029). In univariate analyses, SUVmax (p=0.014), T staging (p=0.025), and differentiation of tumor tissue (p=0.034)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FS. But, multivariate analyses did not show that SUVmax was an independently significant factor for RFS (p=0.180). Conclusion: High FDG uptake on PET-CT is not an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for poor outcomes (disease recurrence in patients with resected Stage I and II NSCLC).

Comparison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Specific Antigen Stimulation Time for Performing Interferon Gamma mRNA Assay for Detecting Latent Tuberculosis Infection

  • Kim, Sunghyun;Cho, Jang-Eun;Kim, Hyunjung;Lee, Dongsup;Jeon, Bo-Young;Lee, Hyejon;Cho, Sang-Nae;Kim, Young Keun;Lee, Hyeyoung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90-97
    • /
    • 2013
  • The tuberculin skin test (TST) and interferon gamma (IFN-${\gamma}$) release assay (IGRA) have been widely used for diagnosis of latent tuberculosis infection (LTBI). In order to overcome limitations of current LTBI diagnostic methods, the development of a novel molecular assay which is able to measure the IFN-${\gamma}$ messenger RNA (mRNA) expression level after stimulation with Mycobacterium tuberculosis (MTB) specific antigen was recently developed. The ability of a molecular assay to detect MTB infection was similar to commercial IGRA however, the optimal incubation time for stimulating IFN-${\gamma}$ was not yet establishe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direct comparisons of MTB Ag stimulation times (4 and 24 hrs) were performed for diagnosis of MTB infection. Data showed that the coincident rate between QFT-GIT IFN-${\gamma}$ ELISA and IFN-${\gamma}$ RT-PCR (4 hrs) was 88.35% and that of QFT-GIT and IFN-${\gamma}$ RT-PCR (24 hrs) was 70.85%. Based on a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the 4 hrs-MTB specific Ag stimulation time for IFN-${\gamma}$ RT-PCR had the significant P value, 95% CI value, and AUC (P < 0.0001, 95% CI=0.82 to 1.02, and AUC=0.9214) in comparison with 24 hrs-MTB specific Ag stimulation time (P = 0.009, 95% CI=0.06 to 0.94, and AUC=0.7711). These results show that 4-hr was the most optimal MTB Ag stimulation time for performing IFN-${\gamma}$ RT-PCR. Although semi-quantitative RT-PCR had a few analytical limitations, it might be useful as an alternative molecular diagnostic method for detecting MTB infection.

LINE-1 and Alu Methylation Patterns in Lymph Node Metastases of Head and Neck Cancers

  • Kitkumthorn, Nakarin;Keelawat, Somboon;Rattanatanyong, Prakasit;Mutirangura, Apiwat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9호
    • /
    • pp.4469-4475
    • /
    • 2012
  • Background: The potential use of hypomethylation of Long INterspersed Element 1 (LINE-1) and Alu elements (Alu) as a biomarker has been comprehensively assessed in several cancers, including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HNSCC). Failure to detect occult metastatic head and neck tumors on radical neck lymph node dissection can affect the therapeutic measures taken.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INE-1 and Alu methylation status and determine whether it can be applied for detection of occult metastatic tumors in HNSCC cases. Methods: We used the Combine Bisulfite Restriction Analysis (COBRA) technique to analyse LINE-1 and Alu methylation status. In addition to the methylation level, LINE-1 and Alu loci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methylation statuses of two CpG dinucleotides in each allele as follows: hypermethylation ($^mC^mC$), hypomethylation ($^uC^uC$), and 2 forms of partial methylation ($^mC^uC$ and $^uC^mC$). Sixty-one lymph nodes were divided into 3 groups: 1) non-metastatic head and neck cancer (NM), 2) histologically negative for tumor cells of cases with metastatic head and neck cancer (LN), and 3) histologically positive for tumor cells (LP). Results: Alu methylation change was not significant. However, LINE-1 methylation of both LN and LP was altered, as demonstrated by the lower LINE-1 methylation levels (p<0.001), higher percentage of $^mC^uC$ (p<0.01), lower percentage of $^uC^mC$ (p<0.001) and higher percentage of $^uC^uC$ (p<0.001). Using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analysis, $%^uC^mC$ and $%^mC^uC$ values revealed a high level of AUC at 0.806 and 0.716, respectively, in distinguishing LN from NM. Conclusion: The LINE-1 methylation changes in LN have the same pattern as that in LP. This epigenomic change may be due to the presence of occult metastatic tumor in LN cases.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 방법을 이용한 새로운 치아우식 활성 검사법의 유효성 (Validity of the New Caries Activity Test using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 권도윤;김희진;남옥형;김미선;최성철;김광철;이효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54-362
    • /
    • 2018
  • Periogen은 실시간 PCR 방법을 이용한 우식활성 검사법으로, 치아우식 유발균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을 통해 개개인의 치아우식 위험도를 평가한다. 이 연구는 소아에서 Periogen과 치아우식 경험 지수(dmft, dmft indices)와의 상관성을 평가하고, 기존의 치아우식 위험 검사법인 Cariview, 치아우식 평가 도구(Caries Assessment Tool)와 비교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만 6세 미만 83명의 소아를 대상으로 실험이 진행되었다. 시진을 통해 치아우식 경험 지수(dmft, dmft indices)가 기록되었으며, 간단한 설문 조사를 통해 CAT 평가 시행되었다. Periogen, Cariview는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치아우식 위험도 평가 시행되었다. 그 결과 Periogen, Cariview 그리고 CAT는 dmfts index와 상관계수가 각각 0.38, 0.56, 0.66을 보여 모두 중등도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 < 0.01). Periogen, Cariview 그리고 CAT의 민감도와 특이도 분석의 경우, 민감도는 각각 43%, 76%, 95%를 보였으며, 특이도는 각각 80%, 72%, 74%를 보였다. ROC 곡선의 곡선하면적(AUC)는 각각 0.69, 0.81, 0.85를 보였다. Periogen의 경우 다른 기존의 두 가지 검사법에 비해 치아우식 위험도 평가에 있어 더 낮은 유효성을 보였다. 따라서 임상적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더 나은 유효성을 위한 개량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Effect of leukocyte alteration on treatment outcomes following preoperative chemoradiotherapy in patients with rectal cancer

  • Kim, Tae Gyu;Park, Won;Choi, Doo Ho;Park, Hee Chul;Kim, Seok-Hyung;Cho, Yong Beom;Yun, Seong Hyen;Kim, Hee Cheol;Lee, Woo Yong;Lee, Jeeyun;Park, Joon Oh;Park, Young Suk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5권3호
    • /
    • pp.217-226
    • /
    • 2017
  • Purpose: Hematotoxicity following anti-cancer treatment is known to be related to treatment efficacy in several malignanc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hematologic parameters related to the tumor response and survival in patients treated with curative surgery following preoperative chemoradiotherapy (CRT) for rectal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Four hundred eighteen patients with rectal cancer who underwent preoperative CRT and curative surgery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main clinical factors and blood cell counts before and after CRT were investigated with respect to their relationships with tumor downstaging and patient survival. Results: The post-CRT leukocyte coun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umor downstaging group and the non-downstaging group (median, 4740/uL vs. 5130/uL; p = 0.013).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histological grade, circumferential extent, and post-CRT leukocyte count were related to tumor downstaging. In addition, histological grade, post-CRT leukocyte count, and tumor downstaging were related to disease-free survival. The 5-year disease-free survival and overall survival in patients with post-CRT leukocyte count ${\leq}3730/uL$, which is the cut-off value derived from the receiver operation characteristic (ROC) curve analysi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with higher counts (88.0% vs. 71.6%, p = 0.001; 94.4% vs. 84.1%, p = 0.024). Conclusion: Post-CRT leukocyte count of ${\leq}3730/uL$ could be regarded as a good prognostic factor for tumor response and survival in rectal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preoperative C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