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Nase T1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32초

박테리오파지 T4 tRNA의 프로세싱에 관여하는 몇가지 RNase들 (Some RNases Involved in the Processing of Bacteriophage T4 RNA)

  • 고동성
    • 대한화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396-402
    • /
    • 1982
  • RNase Ⅲ, RNase E, 및 RNase P가 각각 홀로 또는 복합적으로 결핍되는 E. coli 돌연변이 균주들 내에서의 박테리오파지 T4 tRNA의 전구 RNA로 부터의 합성을 연구하였다. RNase E$^-$균주에서는 9S RNA로 볼 수 있는 한 RNA 띠가 축적되었으며 RNase$ P^-$균주에서는 6S 이중띠의 하부띠가 축적되었다. RNase Ⅲ$^-$균주에서는 T4 tRNA 유전인자 떼(cluster)에 의하여 코드되는 (coded) tRNA$^{Gln}$의 생성이 심하게 억제되며 T4 DNA에 의하여는 코드되지만 T4 tRNA 유전인자 떼에 의하여 코드 되는 6S 이중 띠의 상부 띠는 RNase Ⅲ$^+$균주의 경우에 비하여 더 크게 축적된다. 그러나 6S 이중 띠의 상부 띠 RNA와 tRNA$^{Gln}$ 사이에는 precursor-product 관계가 없다고 판단되며 RNase Ⅲ이 precursor RNA을 가수분해 절단 한다고 생각하는 개념을 지지할만한 근거가 없음을 지적할 수 있다.

  • PDF

RNase P-dependent Cleavage of Polycistronic mRNAs within Their Downstream Coding Regions in Escherichia coli

  • Lee, Jung-Min;Kim, Yool;Hong, Soon-Kang;Lee, Young-Hoo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9권6호
    • /
    • pp.1137-1140
    • /
    • 2008
  • M1 RNA, the catalytic subunit of Escherichia coli RNase P, is an essential ribozyme that processes the 5' leader sequence of tRNA precursors (ptRNAs). Using KS2003, an E. coli strain generating only low levels of M1 RNA, which showed growth defects, we examined whether M1 RNA is involved in polycistronic mRNA processing or degradation. Microarray analysis of total RNA from KS2003 revealed six polycistronic operon mRNAs (acpP-fabF, cysDNC, flgAMN, lepAB, phoPQ, and puuCBE) showing large differences in expression between the adjacent genes in the same mRNA transcript compared with the KS2001 wild type strain. Model substrates spanning an adjacent pair of genes for each polycistronic mRNA were tested for RNase P cleavage in vitro. Five model RNAs (cysNC, flgMN, lepAB, phoPQ, and puuBE) were cleaved by RNase P holoenzyme but not by M1 RNA alone. However, the cleavages occurred at non-ptRNA-like cleavage sites, with much less efficiency than the cleavage of ptRNA. Since cleavage products generated by RNase P from a polycistronic mRNA can have different in vivo stabilities, our results suggest that RNase P cleavage may lead to differential expression of each cistron.

Escherichia coli 리보핵산 내부분해효소 RNase E의 돌연변이체 선별 및 특성분석 (Identification and Functional Analysis of Escherichia coli RNase E Mutants)

  • 신은경;고하영;김영민;주세진;이강석
    • 미생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25-330
    • /
    • 2007
  • 대장균의 필수적인 리보핵산 내부분해효소인 RNase E는세포내에서 여러 RNA의 분해와 가공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 단백질의 효소활성부위를 포함하는 N-말단부위의 498 아미노산(N-Rne)만의 발현으로도 세포의 생장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RNase E의 특성을 활용하여 다양한 표현형을 가지는 N-Rne 돌연변이체들을 분리, 동정할 수 있는 효율적인 유전학적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얻어진 효소활성부위 돌연변이체들을 표현형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S1 도메인의 6번째 아미노산의 치환(I6T)을 가진 변이체는 야생형 N-Rne의 기능을 대체하지 못하였고, Small 도메인의 488번째 아미노산의 치환(R488C)을 가진 변이체는 야생형 N-Rne의 발현양보다 현저히 작게 발현시켜도 세포의 생장을 정상적으로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DNase I 도메 인의 305번째 아미노산의 치환(N305D)을 가진 변이체는 야생형 N-Rne의 발현양보다 과발현시켰을 때만 세포의 생장을 가능하게 하였다. 각각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는 N-Rne를 한정적으로 과발현시켰을 때의 ColEl-타입 플라스미드의 복제 수에 대한 영향을 측정한 결과, 돌연변이체 N-Rne의 세포생장에 대한 영향은 이 변이체들의 세포 내 효소활성 정도에 기인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실험결과는 이 연구에서 개발한 유전학적 시스템을 이용하여 다양한 표현형을 가진 RNase E 변이체를 선별할 수 있으며, 이 변이체들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RNase E가 RNA의 안정성을 조절하는데 있어서 각각의 세부 도메인의 역할을 규명할 수 있으리라는 것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