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NA primer

검색결과 353건 처리시간 0.029초

지하수 중 Aichivirus A 모니터링을 위한 특이적 및 고감도 이중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 검출법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Specific and High Sensitivity Reverse Transcription Nested Polymerase Chain Reaction Method for the Detection of Aichivirus A Monitoring in Groundwater)

  • 배경선;김진호;이시원;이진영;유경아
    • 생태와환경
    • /
    • 제54권3호
    • /
    • pp.190-198
    • /
    • 2021
  • 사람 아이치바이러스(Aichivirus A; AiV-A)는 positivesense single-strand RNA 비외피 바이러스로 지난 10년 동안 하수, 강, 지표 및 지상의 다양한 물환경에서 전 세계적으로 검출이 보고되고 있다. 지하수 등 물환경에서 AiV-A 진단을 위한 고감도 및 특이성이 우수한 방법의 개발이 요구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기존 및 신규 설계된 프라이머 세트를 기초로 역전사(RT) 및 이중 중합효소연쇄반응이 가능한 조합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방법을 국내 음용 지하수 시료에 적용 및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지하수 시료에서 AiV-A를 성공적으로 검출 및 동정할 수 있는 RT-nested PCR primer sets가 선정되었고 후속적으로 동정할 수 있는 절차가 고안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지하수 등 물 환경에서 AiV-A 오염을 탐지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마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오징어류 종 판별을 위한 다중 유전자 검사법 개발 및 검증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to Determine Squid Species Based on 16s rRNA Gene)

  • 김현수;서용배;최성석;김진희;신지영;양지영;김군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43-5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오징어류에 해당하는 대왕오징어, 오징어, 문어, 한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식품에 대해서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활용한 시험법을 검토하였다. 시료 중 원료성분 확인을 위하여 오징어류 4종에 대해 최적의 종 특이 프라이머를 디자인하였으며, 시료로부터 직접 genomic DNA를 추출하여 PCR을 실시하였다. PCR 수행과정에서 반응을 저해하는 염 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증류수를 이용하여 3~4회 세척 후 PCR을 실시한 결과, Single PCR의 경우 대왕오징어(552 bp), 오징어(463 bp), 문어(247 bp), 한치(354 bp)에 해당하는 종 특이적인 증폭산물을 확인하였으며, Multiplex PCR 의 경우 서로 다른 종 사이의 교차반응없이 동시다발적으로 증폭이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들 4종에 대해 PCR 민감도를 조사한 결과, 모두 약 $0.1ng/{\mu}l$의 농도까지 검출이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multiplex PCR의 경우 약 $0.25ng/{\mu}l$의 농도까지 검출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오징어류가 함유된 수산물 가공식품 8건에 대해 적용성을 검토한 결과, 모든 시료에서 유효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작된 오징어류 4종에 대한 종 특이적 프라이머는 생물 상태뿐만 아니라 수산물 가공식품에 대해서도 이를 판별할 수 있어 식품안전관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Gene Expression of Arginine Vasotocin in Ovarian and Uterine Tissues of the Chicken

  • Saito, N.;Grossmann, R.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2권5호
    • /
    • pp.695-701
    • /
    • 1999
  • The hypothalamus is the classic site of synthesis of arginine vasotocin as neurohypophyseal hormone in the chicken. However, high concentrations of arginine vasotocin were also measured in ovarian tissues by radioimmunoassay. At first, we observed specific positive signal of mRNA encoding AVT in the hypothalamus by Northern hybridization. However, we could not find any specific bands in ovarian and uterine tissues. For evidence of transcription of the arginine vasotocin gene ingonadal tissues of the chicken, this study has applied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as a highly sensitive assay. The hypothalamus, the four largest preovulatory ovarian follicles and the shell gland (uterus) were collected at 4 h and 20 h before oviposition. The ovarian follicular tissues were separated into granulose theca interns and theca externa layers. The uterine tissues were separated into myometrium and endometrium The extracted mRNA was converted to cDNA by reverse-transcriptase using oligo-$d(T)_{15}$ primer. Then, the cDNA was amplified by Vent polymerase and arginine vasotocin specific primers. The amplification reaction was incubated by 30 cycles successively, $95^{\circ}C$, $55^{\circ}C$ and $72^{\circ}C$ earth for 1 min. Te comparisons of the mRNA levels encoding arginine vasotocin between the tissues were determined by semi-quantification methods. After amplification of the cDNA, the PCR products were detected in hypothalamus, ovarian tissues and uterine tissues. The results of semi-quantification showed that the levels of arginine vasotocin mRNA in ovarian iud uterine tissues were about from 1/50 to 1/1000 when compared to that in the hypothalamus. The very low levels of mRNA encoding arginine vasotocin in ovarian and uterine tissues probably led us to conclude that arginine vasotocin may play a role of local mediate acting autocrine and/or paracrine.

조기 난소 부전증(Premature Ovarian Failure, POF) 환자에서 난포 자극 호르몬 수용체 유전자 변이 및 발현 양상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Gene Mutation and Expression Level of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Receptor in Premature Ovarian Failure(POE) Patients)

  • 김정욱;염혜원;이형송;송견지;천강우;박용석;김계현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4권1호
    • /
    • pp.61-66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조기 난소 부전증 환자를 대상으로 난포 자극 호르몬 수용체 유전자의 돌연변이와 발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돌연변이 분석을 위해 환자의 말초혈액에서 genomic DNA를 분리하고 nucleotide 566을 포함하고 있는 exon 7에 특이적인 primer쌍을 이용하여 중합효소 연쇄 반응을 시행하였다. 전기 영동으로 반응산물을 확인한 다음, 돌연변이 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제한효소 절단분석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을 시행한 결과, 대조군과 조기 난소 부전증 환자군 모두에서 돌연변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난포 자극 호르몬 수용체의 발현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시험관아기 시술과정 중 난자 채취과정에서 얻어진 황체화 과립세포에서 total RNA를 추출하여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 반응을 시행하였다. 반응 산물을 전기 영동하여 발현양상을 비교해 본 결과, 대조군에 비해 조기 난소 부전증 환자군에서 난포 자극 호르몬 수용체 유전자의 발현이 다소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조기 난소 부전증 환자에서 난포 자극 호르몬 수용체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발견할 수 없었으며 난포 자극 호르몬 수용체 유전자의 발현이 대조군에 비해 낮아 과배란 유도시에 생식소 자극 호르몬에 대해 저적응증을 보이며 난포형성과정에도 장애를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Human Liver로부터 Cloning한 cDNA성장호르몬 수용체의 기능성 검토 (Assembly of a Functional cDNA for Human Liver Growth Hormone Receptor: Cloning of Assembled hGHR cDNA)

  • 장규태;지선병홍;손동수;서원진삼;고교적웅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59-172
    • /
    • 1998
  • 사람 성장호르몬 수용체(hGHR) cDNA는 PCR방법에 의하여 fagment로서 보고되어진 바 있으나, liver cDNA로 부터 전장을 cloning한 보고는 없는 실정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능을 가진 약 4.6kbp의 cDNA hGHR을 cloning 하는데 성공하였다. 먼저 cloning하기 위하여 human liver mRNA와 human breast cancer tissue로부터 회수한 mRNA를 RT-PCR방법에 의하여 human cDNA library와 cloning에 필요한 probe를 제작하였다. human library mRNA는 GT-PCR방법에 의하여 증폭하여 증폭되어진 산물은 λZAP Vector를 이용하여 cDNA library를 구축하였고,screeing을 위하여 임 보고 되어진 hGHR fragment native sequence를 기초로 N-terminal부분의 primer를 설계하여 950bp의 probe를 얻는데 성공하였다. 이 probe를 이용하여 준비된 human liver cDNA library로부터 2.5$\times$10 6개의 plaque로부터 6개의 positive clone을 획득하였고, 이들중 poly Asignal인 "AATAAA"를 포함하고 있는 가장 긴 약 3.8kbp의 clone을 sequencing한 결과 open reading frame을 포함하고 있었으나, 5'부분의 결손되어 있었다. 그리하여 이 부분은 human breast cancer tissue로 부터 회수한 mRNA를 RT-PCR에 의하여 증폭하였고, sequencing결과 이미 보고되어진 native hGHR와 비교한 결과 하나의 nucleotide가 silent mutation으로 판명되었다.한편 human liver cDNA library로부터 cloning한 3.8cp의 positive clone의 5'end의 결손된 부분에 silent mutation된 PCR 산물을 연결함으로써 native hGHR와 유사한 cDNA hGHR subcloning에 성공하였다. 이러한 cDNA hGHR의 clone이 function을 가지고 있는지를 검토하기 위하여 eukaryotic 발현 vector인 pCXN2에 의거 ligation한 후 chinese hamster ovary cell[CHO-KI]에 transfect를 실시하였다. Dexamethasone은 첨가하지 않고 hGH만의 존재하에서 이들 cell을 배양시키고 cell menbrane에서 발현 여부를 판정키 위하여 hGHR monocloual antibody를 사용하여 flow cytometery해석을 실시하는 한편 125I-hGH binding assay에 의하여 hGH binding activity를 측정하였다. 최종적으로 GH signal transduction의 target genedf으로 알려져 있는 serine protease inhibitor 2.1(Spi 2.1) gene의 promotor activity를 검토한 결과 hGHR을 transfect한 CHO Cell에 있어서 hGH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증가되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cloning한 cDNA hGHR는 native hGHR와 같은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판명되었다.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

A New ColE1-like Plasmid Group Revealed by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plication Proficient Fragments of Vibrionaceae Plasmids

  • Pan, Li;Leung, P.C.;Gu, Ji-D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8호
    • /
    • pp.1163-1178
    • /
    • 2010
  • Plasmids play important roles in horizontal gene transfer among Vibrionaceae, but surprisingly little is known about their replication and incompatibility systems. In this study, we successfully developed a bioinformatics-assisted strategy of experimental identification of seven Vibrio plasmid replicons. Comparative sequences analysis of the seven Vibrio plasmid replicons obtained in this study together with eight published Vibrionaceae plasmid sequences revealed replication-participating elements involved in the ColE1 mode of replication initiation and regulation. Like plasmid ColE1, these Vibrionaceae plasmids encode two RNA species (the primer RNA and the antisense RNA) for replication initiation and regulation, and as a result, the 15 Vibrionaceae plasmids were designated as ColE1-like Vibrionaceae (CLV) plasmids. Two subgroups were obtained for the 15 CLV plasmids, based on comparison of replicon organization and phylogenetic analysis of replication regions. Coexistence of CLV plasmids were demonstrated by direct sequencing analysis and Southern hybridization, strongly suggesting that the incompatibility of CLV plasmids is determined mainly by the RNA I species like the ColE1-like plasmids. Sequences resembling the conserved Xer recombination sites were also identified on the CLV plasmids, indicating that the CLV plasmids probably use the host site-specific recombination system for multimer resolution like that used by ColE1-like plasmids. All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15 plasmids form a new ColE1-like group, providing a basis for the rapid characterization and classification of Vibrionaceae plasmids.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 선충(Nematode: Philometridae)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동정 및 PCR 검출법 개발 (Molecular Identification and Development of a PCR Assay for the Detection of a Philometrid Nematode i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서한길;서정수;류민경;이은혜;정승희;한현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731-738
    • /
    • 2015
  • Nematode infection in the epithelial tissue of cultured rockfish Sebastes schlegeli was first reported in 2012. Since then, nematode infections have caused serious economic losses in rockfish aquaculture on the west coast of Korea. Taxonomic and life cycle information for this parasite are currently unknown. In this study, 18S rRNA and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COI) genes were used for molecular identification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to detect the invisible stages of this parasite. Nucleotide sequences of the 18S rRNA of the rockfish nematode showed 98% identity with that of Philometra morii. Therefore, this rockfish nematode was classified to the Philometridae family. However, we could not identify it to genus level using 18S rRNA. Its COI nucleotide sequences shared 85% and 82% identities with those of Bursaphelenchus sinensis and Philometra overstreeti, respectively. In addition, two gene-specific primer sets were designed based on the 18S rRNA gene to detect the intermediate host and nematode larvae. These primers were specific to this rockfish nematode without cross-reacting to other pathogens. The detection limit of the PCR assay using these primers was 1,000 copies of nematoda plasmid DNA. Therefore, the PCR assay described here is suitable for the detection of nematode DNA within rockfish. In addition, this PCR assay could be used to detect nematode larvae and the intermediate host.

흰점박이꽃무지로부터 Metarhizium속 사상균의 분리 및 ribosomal DNA 염기서열에 의한 동정 (Identification of Metarhizium sp. Isolated from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Kolbe) Using Ribosomal DNA Sequence)

  • 최지영;김철학;제연호;최영철;김종길;박규택;김근영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65-70
    • /
    • 2003
  • 곤충자원의 대량사육을 위한 병 발생 예방과 해충의 효과적인 방제를 위하여 흰점박이꽃무지 이병충으로부터 곤충병원 사상균을 분리하였다. 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분리균주 KMA-1은 Metharizium속의 전형적인 쇠사슬형의 분생자를 paliside-like masse에 형성하였다. 따라서, 정확한 동정을 위하여 28S rRNA와 ITS염기 서열을 바탕으로 제작한 특이 프라이머쌍을 사용하여 PCR 반응을 수행하였다. 각각의 프라이머쌍을 사용한 PCR반응으로부터 특이 밴드가 검출되었으며 이 증폭 산물들의 염기 서열을 결정, 비교하였다. 분리 균주 KMA-1의 PCR산물인 28S rRNA와 ITS DNA염기서열을 GenBank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염기서열 정보와의 상동성을 검색한 결과, 모두 Metarhizium anisopliae와 가장 높은 서열 상동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서 본 실험에서 분리 명명된 KMA-1는 M. anisopliae로 동정되었다.

Functional Analysis of the Invariant Residue G791 of Escherichia coli 16S rRNA

  • Song, Woo-Seok;Kim, Hong-Man;Kim, Jae-Hong;Sim, Se-Hoon;Ryou, Sang-Mi;Kim, Sang-Goo;Cha, Chang-Jun;Cunningham, Philip R.;Bae, Jee-Hyeon;Lee, Kang-Seok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5권5호
    • /
    • pp.418-421
    • /
    • 2007
  • The nucleotide at position 791(G791) of E. coli 16S rRNA was previously identified as an invariant residue for ribosomal function. In order to characterize the functional role of G791, base substitutions were introduced at this position, and mutant ribosomes were analyzed with regard to their protein synthesis ability, via the use of a specialized ribosome system. These ribosomal RNA mutations attenuated the ability of ribosomes to conduct protein synthesis by more than 65%. A transition mutation (G to A) exerted a moderate effect on ribosomal function, whereas a transversion mutation (G to C or U) resulted in a loss of protein synthesis ability of more than 90%. The sucrose gradient profiles of ribosomes and primer exten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loss of protein-synthesis ability of mutant ribosomes harboring a base substitution from G to U at position 791 stems partially from its inability to form 70S ribosomes. These findings show the involvement of the nucleotide at position 791 in the association of ribosomal subunits and protein synthesis steps after 70S formation, as well as the possibility of using 16S rRNA mutated at position 791 for the selection of second-site revertants in order to identify ligands that interact with G791 in protein synthesis.

$CO_2$ 처리에 의한 배추 화주 유전자의 특이적 발현 연구 (Differential expression of pistil genes induced by $CO_2$ treatment in chinese cabbage)

  • 홍문영;김기태;민병훈;백남권;이철우;정용윤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95-98
    • /
    • 1999
  • $CO_2$ gas 처리가 배추 자가불화합성 타파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배추 inbred line의 암술에서 mRNA를 분리하여 DD-PCR을 수행하였다. $CO_2$ gas를 처리한 암술에서 분리한 mRNA와 처리하지 않은 꽃에서 분리한 암술 mRNA 발현과의 특이적인 차이를 DD-PCR로 조사한 결과 세 가지 각기 다른 anchor primer에 대해 모두 18개의 특이적 증폭 DNA fragment를 얻을 수 있었다. 이 결과로 미루어 보아 $CO_2$ gas 처리에 의한 암술 mRNA발현의 변화가 배추 자가불화합성 타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