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M-ANOVA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37초

Lung Cancer Knowledge among Secondary School Male Teachers in Kudat, Sabah, Malaysia

  • Al-Naggar, Redhwan Ahmed;Kadir, Samiah Yasmin Abdul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호
    • /
    • pp.103-109
    • /
    • 2013
  • Backgroun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knowledge about lung cancer among secondary school male teachers in Kudat, Sabah, Malaysia. Materials and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among three secondary schools located in Kudat district, Sabah, Malaysia during the period from June until September 2012. The protocol of this study was approved by ethics committee of Management and Science University, Malaysia. The aims were explained and a consent form was signed by each participant. Respondents were chosen randomly from each school with the help of the headmasters.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s, covering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general knowledge of lung cancer, were distributed. Once all 150 respondent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they passed it to their head master for collecting and recording. All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PSS) version 13. ANOVA and t-test were applied for univariate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for multivariate analysis. Results: A total of 150 male second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ir mean age was $35.6{\pm}6.5$ (SD); maximum 50 and minimum 23 years old. More than half of the participants were Malay and married (52%, 79%; respectively). Regarding the knowledge about lung cancer, 57.3% of the participants mentioned that only males are affected by lung cancer. Some 70.7% mentioned that lung cancer can be transmitted from one person to another. More than half (56.7%) reported that lung cancer is not the leading cause of death in Malaysian males. As for risk factors, the majority reported that family history of lung cancer is not involved. However, 91.3% were aware that cigarettes are the main risk factor of lung cancer and more than half (52%) believed that second-hand smoking is one of the risk factor of lung cancer. More than half (51.3%) were not aware that asbestos, ionizing radiation and other cancer causing substances are risk factors for lung cancer. Quitting smoking, avoiding second-hand smoking and avoiding unnecessary x-ray image of the chest (53.3%, 96.0%, 87.3%; respectively) are the main preventive measures mentioned by the participants. For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participants knowledge,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only race was significant. Conclusions: Overall, the knowledge of school male teachers about lung cancer was low. However, few items were scored high: cigarettes are the main risk factor; avoiding second-hand smoking; and avoiding x-rays. Interventions to increase lung cancer awareness are needed to improve early detection behavior. Increase the price of pack of cigarettes to RM 20 and banning smoking in public places such as restaurants are highly recommended as primary preventive measures.

태권도 주춤 서 몸통지르기 유형별 생체역학적 변인 비교 분석 (A Biomechanical Analysis of Four Different Taekwondo Body Punch Types in Horseback-Riding Stance)

  • 강성철;김의환;신현무;김성섭;김태완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01-208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4 different body punch types(type 1: a punch using a shoulder, type 2: a punch using a waist, type 3: a punch using lower extremities, and type 4: a punch with elbows by your side at chest level) in horseback-riding stance and establish suitable teaching theory and method, which would be a useful reference to Taekwondo instructors on the spot(in Taekwondo dojangs all around Korea). Five exhibition players from Korean national Taekwondo exhibition team participated in this study. Each participant was asked to perform the four different types of punches and their kinematic and kinetic data were recorded with 7 vicon cameras(125Hz) and two force plates(AMTI, 1200Hz). We analyzed displacement, time, resultant center of body mass trajectory, velocity, trunk angular velocity, and ground reaction force(GRF) from each body segment in body punch and the result. I performed 1-way ANOVA(RM) for average values of each player after standardization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s p<.05. was as the following ; First, they showed a tendency to take the body punch posture with the biggest motion at a shoulder and on descending order a waist and a knee. Second, a mean time for each body punch on ascending order 0.46sec. for type 2, 0.49sec for type 3, 0.50sec. for type 4, and 0.56sec. for type 1. Third, a mean resultant center of body mass trajectory for each body punch the longest 4.07cm for type 3 and the shortest 2.458cm for type 1. Fourth, a mean of maximal velocity of a fist strike was the fastest 5.99m/s for type 3, 5.93m/s for type 4, 5.67m/s for type 2, and 5.01m/s for type 1 on the descending order. Fifth, a mean of maximal trunk angular velocity of the fastest 495.6deg./sec. for type 4 and 337.7deg./sec. for type 1 on the descending order. Sixth, strongest value was type 3, 2 for anterior-posterior ground reaction force(left -54.89N, right 60.58N), type 4 for medial-lateral GRF(left 83.59N, right -80.12N), and type 3 for vertical GRF(left 341.79N, right 426.11N).

긴장성 두통이 있는 대학생들에게 시청각적 엔터테인먼트와 연부조직 가동술이 압력통각역치, 바이오피드백, 뇌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udio-visual Entertainment and Soft Tissue Mobilization on Pressure Pain Thresholds, Psychophysiological parameters, and Brain waves in University Students with Tension-type Headache)

  • 정대인;이은상;김현중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539-548
    • /
    • 2020
  • 긴장성 두통은 성인들에게 나타나는 두통 중 가장 흔한 일차성 두통이다. 장기간의 두통은 만성 두통을 야기시키고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긴장성 두통의 병원성 요인과 심인성 요인의 관리에 적합한 시청각적 엔터테인먼트와 연부조직 가동술을 통해 긴장성 두통에 기여하는 바를 비교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6개월 이상 간헐적 혹은 지속적인 두통을 호소한 자로 선정된 30명에서 시청각적 엔터테인먼트군, 연부조직 가동술군, 시청각적 엔터테인먼트와 연부조직 가동술군 각각 10명씩 배정하였다. 배정된 군에서는 사전검사 후 4주간 주 3회씩 총 12회의 중재를 받고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평가는 압력통각역치감각과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정신 생리학적 변수, 뇌파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이요인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통해 측정 시점에 따른 군간의 교호작용을 분석하였다. 압력통각역치 결과, 오른쪽 등세모근의 결과에서 교호작용이 나타났으며 (p<.05), 시청각적 엔터테인먼트를 통한 중재군에서 가장 큰 증가의 폭을 보였다. 따라서 병원성 요인의 근육에 대한 직접적인 접근이 아닌 심리학적인 요소에 입각한 시청각적 엔터테인먼트를 통해 근육에 대한 통증역치에 긍정적인 영향이 보였지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던 정신생리학적 변수와 뇌파에도 긍정적인 평균값의 변화량이 관찰되었다. 이를 통해 긴장성 두통의 관리에 있어 시청각적인 자극은 고려되어야 한다고 제언한다.

배드민턴 스트로크 동작에 따른 근활성도 차이 분석 (Analysis of Differences in Muscle Activity according to Badminton Stroke Movements)

  • 김휘태;김기홍;김병관;정환종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2호
    • /
    • pp.519-524
    • /
    • 2023
  • 이 연구는 경기상황과 유사한 점프 동작이 포함된 배드민턴 기술 동작 시 근육의 활성도의 차이를 조사함으로써 효율적인 기술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구성하기 위한 목적이다. 남자 배드민턴 선수 7명을 대상으로 하여 스매시, 드롭, 클리어 기술을 무선배정으로 실시하였으며, 3가지 기술 동작 시행 중 근전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근전도는 RMS로 산출하였으며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스매싱 동작의 근활성도는 부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드롭 동작에서 상지 근육 중 PM의 활성도는 BC, ECR보다 낮았으며, FCR의 활성도는 EC보다 낮았다. ECR의 활성도는 PM, FCR보다 높았다. 몸통 근육 중 ES의 활성도는 RF, GM보다 낮았다. 하지 근육 중 RF의 활성도는 ES, BF보다 높았다. 클리어 동작에서 상지 근육 중 TC의 활성도는 FCR보다 높았다. 몸통 근육 중 ES의 활성도는 BF보다 낮았다. 하지 근육 중 RF의 활성도는 BF보다 높았으며, BF의 활성도는 RF, GM보다 낮았다. GM의 활성도는 BF보다 높았다. 배드민턴 기술에 따른 근활성도는 FCR에서 스매시와 드롭 동작이 클리어 동작보다 높았으며, RA에서 클리어가 스매시, 드롭 동작보다 높았다. 종합하면, 배드민턴 경기 중 근육활동은 기술별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노쪽손목굽힘근은 스매시와 드롭, 배곧은근은 클리어 동작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내측연결형 임플란트에 체결한 지대주의 수직침하에 대하여 반복하중이 미치는 영향 (Effect of cyclic loading on axial displacement of abutment into implant with internal tapered connection: a pilot study)

  • 설현우;허성주;곽재영;김성균;한종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15-322
    • /
    • 2013
  • 연구 목적: 내측연결형 임플란트와 지대주의 연결체에 반복하중을 부여하였을 때 수직 침하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외측연결형 임플란트와 내측연결형 임플란트에 세 종류의 시멘트유지형 지대주를 각각 장착하였다. 즉, 외측연결형 지대주(Ext 그룹), 내측연결형 1-piece 지대주(Int-1 그룹), 내측연결형 2-piece 지대주(Int-2 그룹)를 사용하였으며, 각 그룹마다 7개의 시편을 준비하였다. 임플란트-지대주 연결체에 수직하중을 적용하기 위하여 임플란트 받침대에 고정한 후, 4 Hz의 빈도로 $150{\pm}10N$의 반복하중을 가하였다. 수직침하량은 0, 5, 10, 50, 100, 1,000, 5,000, 10,000회의 반복하중 후에 각각 측정하였다. 반복측정분산분석(RM-ANOVA)를 이용하여 반복하중의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패턴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선형혼합모형(linear mixed model)을 사용하였다. 유의수준은5% 로 설정하였다. 결과: 10,000회 반복하중 후 수직침하량은, Ext 그룹에서 $0.714{\pm}0.488{\mu}m$, Int-1그룹에서 $5.286{\pm}1.604{\mu}m$, Int-2 그룹에서 $11.429{\pm}1.902{\mu}m$를 나타내었다. 패턴분석에서는, Int-1 그룹 및 Int-2 그룹에서 지속적인 수직침하가 관찰되었으며, Ext그룹에서는 수직침하현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10,000회 반복하중 후의 선형혼합모형을 통한 분석에서, Ext그룹은 수직침하현상을 보이지 않았으나, Int-1 및 Int-2 그룹은 지속적인 수직침하현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Int-2그룹에서 Int-1그룹보다 더 많은 수직침하량이 관찰되었다.

콤포지트 레진의 음식물에 따른 착색과 미백에 따른 색 변화 (Color Change of Food Staining and Bleaching on Composite Resin)

  • 최은정;문성희;문소라;박선영;송미정;김은영;황수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477-485
    • /
    • 2012
  • 본 연구는 레진 종류별 착색음식물별 착색시간별 착색정도와 연마, 과산화수소에 의한 미백 후의 색 변화를 관찰하여 착색과 미백이 레진의 CIELAB 색 표시계와 반사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하였다. 시편은 동일 회사의 전구치부겸용 레진(A2), 유동형 레진(A2)을 가로, 세로 11 mm, 높이 3 mm의 직육면체모양으로 30초간 광중합한 시편 총 36개를 사용하였다. 착색원으로는 김치국물, 고추장, 카레, 블루베리즙, 홍차와 대조군으로 증류수를 사용하였으며 각 레진당 음식물별 3개의 시편을 사용하였고 측정은 윗면과 아랫면을 측정하여 각 6개면을 측정하였다. 착색기간은 총 8일, 35% 과산화 수소에 의한 미백은 1시간이 소요되었고, 음식물의 시간에 따른 착색 정도와, 미백 후의 반사율과 색값은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1. 음식물별 시간에 따른 착색의 정도는 전구치부겸용 레진과 유동형 레진 모두에서 착색 1일차부터 L, a, b값과 반사율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그 중 블루베리와 카레의 L, a, b값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2. 음식물별 시간에 따른 착색후 반사율은 블루베리와 고추장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기 때문에(p<0.05) 같은 L, a, b값이더라도 블루베리, 고추장 착색 레진이 시각적으로 더 어둡게 보였다. 3. 전구치부겸용 레진은 과산화수소 미백과 연마를 한 경우가 단일 방법에 비해 ${\Delta}{E_{ab}}^2$의 값이 유의하게 변하였다(p=0.022). 그러나, 유동형 레진에서는 미백 방법에 따른 유의성은 없었다(p=0.385). 레진의 색 안정성을 위해서 착색이 심한 카레와 블루베리의 섭취빈도를 낮추도록 하거나 섭취 후 가급적 빠른 시간내에 입안을 헹구는 것이 레진수복물의 색 안정성을 유지시킬 것으로 사료되었다.

탄산수의 알칼리도 및 총 탄소 측정방법 비교 연구 (A Comparison Study of Alkalinity and Total Carbon Measurements in $CO_2$-rich Water)

  • 조민기;채기탁;고동찬;유용재;최병영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4권3호
    • /
    • pp.1-13
    • /
    • 2009
  • 탄산수를 대상으로 알칼리도 및 총 탄소 측정 방법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산중화 적정법, 역적정법, 침전법, NDIR-TC 측정법 등 다양한 측정방법을 적용하였다. 인공적으로 제조한 탄산수(ACW(Artificial $CO_2$-rich Water): pH = 6.3, alkalinity = 68.8 meq/L, $HCO_3^-$ = 2,235 mg/L)의 알칼리도 및 총 탄소를 측정한 결과, 탄산수 제조와 동시에 측정된 시료에서는 상기한 모든 측정방법에서 비교적 정확한 측정값을 얻어내었다. 이때 퍼센트 오차는 0~12% 수준이었으며,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의 사후 분석 결과 각 측정 방법간 차이는 95% 신뢰수준에서 없는 것으로 판정되었다. 또한 이때 정밀도(분산계수)도 4% 이내로 재현성이 높은 측정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탄산수와 같이 $CO_2$가 탈기(脫氣: degassing)되는 경우 각 측정 방법의 정도관리를 위하여 24시간, 48시간 동안 $CO_2$를 탈기시킨 후 각 측정 방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산중화 적정법과 NDIR-TC 방법으로 측정된 알칼리도는 $CO_2$의 탈기에 상관없이 일정한 값을 유지하고 있었다. 이는 알칼리도의 보존성에 기인한 결과로 해석된다. 반면, 역적정법과 침전법으로부터 구한 알칼리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총 탄소 함량은 꾸준히 감소하여 48시간후에는 최대 약 50%의 $CO_2$가 탈기된 것으로 평가되었다. 역적정법과 침전법으로부터 구한 알칼리도가 높아진 이유는 총 탄소 함량이 다른 방법에 비하여 높게 측정되었고, $CO_2$ 탈기를 모델링 한 결과, 측정된 총 탄소 함량에 평형인 pH보다 측정된 pH가 높기 때문이다. 이는 ACW에 잔류한 $CO_2$ 기포의 영향으로 생각된다. $CO_2$ 탈기에 의해 발생한 $CO_2$ 기포는 pH를 낮추지 못하고 알칼리도에 영향을 주지는 않기 때문에 산중화 적정법과 NDIR-TC 측정에서는 분석되지 않지만 역적정과 침전법을 적용하여 총 탄소를 분석할 경우에는 측정값에 포함된다. 따라서 탄산수에서 알칼리도 및 총 탄소의 측정과 해석을 정확하게 하기 위해서는 역적정법이나 침전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를 비교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의 결과는 탄산수 연구나 $CO_2$ 지중저장에 관련된 연구에 활용될 수 있다. 특히 $CO_2$ 지중저장 연구에 응용될 경우 탈기되지 않는 $CO_2$ 기포의 함량을 반영할 수 있기 때문에 심부 지중의 pH를 보정하거나 $CO_2$의 지중 거동과 $CO_2$ 저장 용량 평가에 응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를 기반으로 고온 고압 환경에서 직접 총 탄소를 정확하고 편리하게 측정하기 위한 방법을 개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