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VER RESTORATION

검색결과 547건 처리시간 0.036초

영산강의 주운복원과 활용방안 연구 (A Study on the Waterway Restoration and its Utilization of the Yeongsan River)

  • 김종일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0-53
    • /
    • 2005
  • 영산강은 내륙수로로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였으나, 1981년 영산강하구둑 축조 이후에 주운기능이 소멸되었다. 그 이후에 영산강 하류지역을 중심으로 주운복원과 활용방안에 대한 주장이 제기되어 지금까지 지속되고 있으나, 이러한 논의들이 영산강의 지형적, 수문학적인 특성에 충분히 기초하지 못하고 있다. 영산강 주운복원 및 활용은 과학적인 타당성을 기초로 추진되어야 하는데, 영산강의 특성을 고려할 경우, 주운복원은 구진포에서 영산강하구둑까지 수심이 얕은 일부 구간의 저수로를 준설하여 환경탐사, 생태관광을 목적으로 하는 소형 선박을 운항하는 방안이 바람직하다. 영산강 주운복원 및 활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자치단체, 유관기관, 전문가, 민간단체 등이 거버넌스에 입각하여 참여와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 PDF

청계천복원사업의 조경설계안 변경 요인 분석 (A Study on the Analysis of Factors for Landscape Architect Scheme Modification for the Restoration Project of Cheonggyecheon)

  • 김유리;양병이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16-28
    • /
    • 2007
  • In this study, the implications for landscape architecture in the restoration Project of Cheonggyecheon will be shown through the analysis of factors for landscape architect scheme modification. The method of study consists of theoretical study, analysis of the plan and design of landscape architecture of the restoration project of Cheonggyecheon, and deduction of implications thereof. The controversial feints included the many difficulties in realizing the productive design of landscape architecture due to the selective collecting of public opinion and the problems of settling the complications, the design limit of the turnkey and MA systems, the lack of hydraulic knowledge and technology and the shortage of vegetation monitoring data and experimental materials. The alternative proposals are as follows: 1) there should be agreement between the government organization and the civil group, 2) in the turnkey bidding for the river restoration projects, the river restoration design based on the volume divided into some parts should be reconsidered in order to maintain consistency in the total design, 3) in order to maintain consistency in the planning policies, MA designs should also be introduced and applied from the first stage of the project through its completion, and 4) data such as the safe water level in case of flooding for the facilities and the vegetation and data in connection with the ecological restoration of river should be accumulated. If these controversies are not settled effectively, the river restoration project will be delayed due to complications with the citizens and wasted time and effort will result from the frequent design changes. In addition, landscape architecture in this kind of restoration project is bound to decrease in the future due to frequent changes in the hydraulic-centered design.

다기준 의사결정을 활용한 자연형 하천 대안 선정 (Decision of River Rehabilitation Plan using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 조홍제;황재호;윤종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87-93
    • /
    • 2010
  • 하천의 다양성을 반영할 수 있는 하천복원 계획수립 및 선정방법이 필요하다. 한편, 하천복원의 궁극적인 목적은 하천 본래의 자연성 회복에 있으며, 최근에는 친수적 증진을 포함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형 하천복원 대안선정에 하천자연도을 적용하였다. 또한 하천자연도는 국내실정에 맞도록 다기준 의사결정을 활용하여 개발된 하천자연도평가법을 사용하여 산정하였다. 대상하천의 하천자연도 평가항목은 하천의 특성을 고려하여 선택한 후, 복수의 대안을 구성하고 대안별 하천자연도를 산정하여 비교하면, 각 대안별 자연성 회복효과 및 성과를 측정하는 것이 용이하였다.

하천 복원 후의 홍수위 안정성 검토 (Evaluation of River Flood Stability after River Restoration)

  • 김병찬;이종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417-426
    • /
    • 2009
  • 자연친화적인 하천복원의 관심이 증폭되면서 하도내 식생은 경관이나 기능적으로 매우 중요한 항목으로 인정받고 있다. 반면에 식생은 통수단면적을 줄어들게 하고, 하천 흐름 저항 증가로 인해 유속이 감소, 이에 따른 수위상승이라는 치수적인 측면에서는 부정적인 역할을 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 복원으로 인해 수리학적 요소가 급변한 하천에서 정확한 조도계수 산정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HEC-RAS와 연직 2차원 수리해석 방법을 이용하여 하천복원 후의 양재천 중하류 구간의 하천조도계수는 주수로 0.011~~0.159, 식생 설치를 하지 않았을 시의 홍수터 0.031, 식생을 설치했을 경우에는 0.034~0.505의 값을 도출할 수 있었다. 또한 홍수터에 추가로 식생 밀도를 30% 증가시켜 본 결과, 양재천에서의 수위 상승은 식생후 보다 0.13~0.34m로 모의되어, 홍수터의 추가 식생에 의한 수위변동은 미비한 것으로 판단된다.

생태하천복원을 위한 물리서식처 모형의 적용 : 안양천 중류를 대상으로 (Test of a Physical Habitat Model for Stream Restoration : A Case Study on Midstream of Anyang-Cheon)

  • 백경오;김창환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5-41
    • /
    • 2015
  • This study focuses on whether a physical habitat model, River2D, is useful to assess and design stream restoration. To achieve the aim, the habitat suitability for Zacco Platypus was analyzed using River2D at midstream of the Anyang-Cheon through modifying the low flow channel and changing the flow discharge. The River2D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inhabited environment for Zacco Platypus is improved by increasing the sinuosity of the low flow channel, and vice versa. Also the inhabited environment for Zacco Platypus gets worse when there is no additional flow for maintenance water supply at the stream flowing through cities. In this respect, the physical habitat simulation study based on the River2D model is useful because it provides a practical guidance in designing stream restoration.

하천식생 복원모형의 홍수위 분석과 하상변동 예측 (Flood Stage Analysis and Prediction of River Bed Change for Stream Corridor Restoration Model with River Vegetation)

  • 송중근;김병찬;이종석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9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37-441
    • /
    • 2009
  • 현대사회는 하천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할 정도로 우리 삶의 중심에 있는 자연의 중요한 일부라고 할 수 있다. 하천은 단순한 치수와 이수뿐만 아니라 다양한 자연 그대로의 환경적 잠재 기능을 복원하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러한 하천 복원의 필수적 요소는 식생이나 이것은 하천의 흐름저항을 크게 하여 홍수시 수위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식생에 따른 조도계수의 변화와 흐름저항으로 인한 수리학적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하천복원에서 중요한 요소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식생 복원모형에서의 홍수위 분석과 하상변동을 예측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공주대교 상 하류 구간에 HEC-RAS와 RMA-2 모형을 적용하여 홍수위 분석을 실시함과 동시에 SED-2D 모형을 적용하여 하상변동을 예측하였다.

  • PDF

생태하천복원사업 전후 경제적 가치 비교분석 (Ex-ante and Ex-post Economic Value Analysis on Ecological River Restoration Project)

  • 이윤;장훈;윤태연;정영근;박희영
    • 지역연구
    • /
    • 제31권3호
    • /
    • pp.39-54
    • /
    • 2015
  • 본 연구는 서울시에서 추진한 청계천 복원사업에 대한 경제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심층출구면접조사 방식으로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여행비용법(Travel Cost Method, TCM)을 적용하였다. 가산자료의 특성을 감안하여 분석모형은 포아송모형(Poisson Model, PM), 음이항모형(Negative Binomial, NB), 절단된 포아송모형(Zero-truncated Poisson, ZTP), 그리고 절단된 음이항모형(Zero-truncated Negative Binomial, ZTNB)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추정계수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고 일반적인 소비자경제이론에 부합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조사된 자료에서 과산포현상(Over-dispersion)이 발견되었으며 모형적합도검정을 통해서 절단된 음이항모형(Zero-truncated Negative Binomial, ZTNB)이 청계천 방문객의 수요를 추정하는 데 최적모형으로 선정되었다. 생태하천복원사업인 청계천복원사업의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기 위해 방문객의 연평균 방문횟수와 최적모형에서 추정된 계수를 통해서 분석한 결과 청계천의 경제적 가치는 2013년 기준으로 연간 약 1,902 원으로 추정되었다.

Ecological Consideration for Restoration of the Degraded Urban River

  • Lee, Chang-Seok;You, Young-Han
    • 한국생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태학회 2002년도 VIII 세계생태학대회
    • /
    • pp.113-118
    • /
    • 2002
  • Vegetation and riverine structures were compared among urban and several semi-natural rivers by applying direct gradient analysis and ordination method. Urban rivers showed different species composition from the semi-natural ones. Species composition of semi-natural rivers depended on the geographical positions, such as the upstream, midstream, and downstream and on micro-topographies, such as the waterside, flooding bed, and embankment. Semi-natural rivers showed gentle change in micro-topography, whereas urban one did not so. Our restoration plan to improve the ecological quality of the degraded urban river by imitating semi-natural river was prepared based on those data.

  • PDF

Ecological Consideration for Restoration of the Degraded Urban River

  • Lee, Chang-Seok;Yon, Young-Ha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5권4호
    • /
    • pp.247-252
    • /
    • 2002
  • Vegetation and riverine structures were compared among urban and several semi-natural rivers by applying direct gradient analysis and ordination method. Urban rivers showed different species composition from the semi-natural ones. Species composition of semi-natural rivers depended on the geographical positions, such as the upstream, midstream, and downstream and on micro-topographies, such as the waterside, flooding bed, and embankment. Semi-natural rivers showed gentle change in micro-topography, whereas urban one did not so. Our restoration plan to improve the ecological quality of the degraded urban river by imitating semi-natural river was prepared based on those data.

생태하천복원을 위한 하도 생물서식처 유형 구분 (The Classification of Instream Habtats for Ecological River Restoration)

  • 안홍규;이동준;김시내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1권2호
    • /
    • pp.82-93
    • /
    • 2014
  • 최근 들어 하천의 치수와 이수 그리고 환경적 측면을 고려한 '생태하천복원'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개별적 특성이 뚜렷한 각각의 하천에서 그 하천을 기반으로 생활하는 생물들의 서식조건을 충분히 고려하였다고 보기는 어려운 상황이며, 제한된 공법의 사용으로 획일화된 인공하천 조성 및 관행적 하도정비에 그쳐 하도서식처가 빈번하게 교란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하천을 서식기반으로 살아가는 생물들의 서식공간에 대하여 검토한 기초적 연구로서, 국내하천을 하천특성에 따라 모래하천과 자갈하천으로 구분하고, 각 하천의 구간을 도심구간과 자연하천구간으로 나누어 각각의 서식유형을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모래하천보다는 자갈하천에서 보다 다양한 형태의 생물서식처 유형이 검토되었으며, 하천복원사업을 이미 시행한 도심하천구간에서도 생물서식처 유형이 자연하천구간에서 나타나는 생물서식처유형의 약 56.3 %정도에 머무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