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cision of River Rehabilitation Plan using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다기준 의사결정을 활용한 자연형 하천 대안 선정

  • Received : 2010.01.21
  • Accepted : 2010.05.13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River restoration plan and selection method are needed to reflect the diversity of river. Meanwhile, the ultimate purpose of river restoration is natural recovery of the river. Recently. hydrophilic enhancement is a tendency to include. In this study, naturalness of a river was used to establish alternative for the natural river recovery. Also, naturalness of a river calculated by using the evaluation of river naturalness that was developed using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to fit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in Korea. After selection the evaluation items for assessing the naturalness of the river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iver, multiple alternatives were constructed and the naturalness of river for each of those alternatives were estimated. Comparing the estimated values has made the measurement of the natural recovery effect for each alternative efficient.

하천의 다양성을 반영할 수 있는 하천복원 계획수립 및 선정방법이 필요하다. 한편, 하천복원의 궁극적인 목적은 하천 본래의 자연성 회복에 있으며, 최근에는 친수적 증진을 포함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형 하천복원 대안선정에 하천자연도을 적용하였다. 또한 하천자연도는 국내실정에 맞도록 다기준 의사결정을 활용하여 개발된 하천자연도평가법을 사용하여 산정하였다. 대상하천의 하천자연도 평가항목은 하천의 특성을 고려하여 선택한 후, 복수의 대안을 구성하고 대안별 하천자연도를 산정하여 비교하면, 각 대안별 자연성 회복효과 및 성과를 측정하는 것이 용이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경기도, 차탄천수계 하천기본계획, pp. 250-251,2007.
  2. 김혜주, 자연형 하천계획 ․ 설계, 태림문화사, pp.29-42, 2005.
  3. 박봉진, 신종이, 정관수, 하천의 생물서식처 복원을위한 하천자연도평가: I 평가방법의 제안,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8권, 제1호, pp. 44-46, 2005.
  4. 박태선, 계층분석법을 이용한 하천의 중요도 평가기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제35권, 제6호, pp. 686-688, 2002.
  5. 울산광역시 울주군, 회야강 마스터플랜, pp. 95-101, 2008.
  6. 울산광역시 울주군, 회야강 친수공간 조성공사 실시설계, 2008.
  7. 이상일, 이상신, 한강에서의 강변여과수 개발을 위한 적지선정 및 개발가능량 산정(1),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1권, 제8호,pp. 828-829, 2008.
  8. 이재문, 이상일, AHP기법을 이용한 계획하폭 선정-입천에의 적용 사례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0권, 제12호, pp. 932-933.
  9. 한국수자원공사, 하천자연도 평가지침, pp. 9-20, 2003.
  10. 환경부, 수생태 건강성 회복을 위한 하천복원 모델과 기준, 조사계획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I) 모델 및 계획, pp. 54-59, 2007.
  11. European Commission, Urban river basin enhancement methods work packages 5 & 9, pp. 5-6, 67-72,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