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H

검색결과 2,737건 처리시간 0.03초

참개구리, 북방산개구리, 옴개구리 뇌에서 3가지 생식소 자극 호르몬 분비 호르몬(mGnRH, sGnRH, cGnRH II )의 분포 (Localization of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mGnRH, sGnRH and cGnRH II) in the Brain of three species of Frog, R. nigromaculata, R. dybowskii and R. rugosa)

  • 김정우;최완성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61-173
    • /
    • 1994
  • 면역효소법을 이용하여 3종의 한국산 개구리 참개구리(Rono nigromaculuto), 옴개구리(R. rugosa), 북방산개구리(R. 겨대bowskii)의 뇌에서 GnRH 뉴우런의 분포 부위와 GnRH의 종류 등을 연구하였다. 1차 항체로는 anti-rat GnRH, anti-salmon GnRH anti-chicken 11 GnRH 항체를 사용하였다. 3종의 개구리에서 mGnRH cGnRH 11와 sGnRH가 이둔 동정되었으나 3가지 항체에 대한 각 종의 면역 반응성은 종에 따라 달리 나타났다 mGnRH는 옴개구리와 참개구리에서, sGnRH는 북방산개구리에서 강한 면역 반응을 나타냈으며 cGnRH 11는 3종의 개구리에서 중간 정도의 면역 반응을 나타냈다. 각각의 GnRH의 상대적인 양에는 차이가 있으나 일부 경우를 제외하고는 뇌의 동일한 지역에 분포하였다. 참개구리에서는 GnRH가 중격 내측핵(NMS), Broca band 핵(NDB)에 집단으로 분포하였다. 북방산개구리에서는 GnRH가 중격 내측핵, Broca bnad 핵에서 등쪽에서 배쪽으로 길게 선상으로 가장 협소하게 분포하였으며, 번식기와 직전(1월-3월)에만 면역 반응을 나타냈다. 옴개구리의 뇌에서 가장 광범위한 지역, 즉 종뇌의 중격 내측핵, Broca band 핵, 아래 교차 지역(SCA)과 간뇌에 GnRH 신경세포가 분포하였으며. 제3뇌실 맥락얼기에서 mGnRH 신경세포가 처음으로 동정되었다. 3종에서 공통적으로 중격 내측핵과 Broca band 핵에서 유래한 신경섬유는 복측 시상하부를 거쳐 정중융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결과는 GnRH가 뇌하수체에서 생식소 자극 호르몬의 분비 조절에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뜻한다.

  • PDF

Rhizopus屬의 染色體에 關한 硏究(第二報) -II. Rhizopus 17種에 對하여- (Chromosomal studies on the genus of Rhizopus -II. Chromosomal studies on 17 species of the genus Rhizopus-)

  • 민병례
    • 미생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97-205
    • /
    • 1984
  • After the previous paper, this chromosomal studies on the fungi were dealt with 17 species in genus of Rhizopus. The results are sumarized as the followings; The haploid chromosome number of 17 species were confirmed as of 6(Rh. oligosporus), 8(Rh. homothallicus, Rh. liquefaciens, Rh. shanghaiensis, Rh, acetorinus), 12(Rh. microsporus, Rh. pseudochinensis, Rh, rhizopodiformis, Rh, thermosus, and Rh. kazanensis), 14(Rh. stolonifer), and 16(Rh. suinus), respectively. Referring to the above fact and the previous paper, it is strongly presumed that the basic chromosome number of Rhizopus are 4.

  • PDF

홍조 Rhodochorton 속의 분류학적 연구 (Some Members of Rhodochorton (Rhodophyta) in Korea)

  • 이인규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7권1호
    • /
    • pp.36-52
    • /
    • 1974
  • Nine members of Rhodochorton appearing in coastal waters of Korea were investigated diagnostically. Among them, Rh. densum, Rh. magnificum, Rh. robustum and Rh. codicola were identified previously, while Rh. terminale, Rh. sancti-thomae, Rh. daviesii, Rh. hyalosiphoniae, and Rh. rhizoideum were identified and described for the first time in this country.

  • PDF

유방촬영용 X선관 target/filter 조합에 따른 MTF영상평가에 관한 고찰 (Evaluation of MTF Image by Target/Filter Combined of X-ray Tube Using Mammography)

  • 양한준;주미화;고신관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0권2호
    • /
    • pp.113-119
    • /
    • 2007
  • 인체의 유방은 조직 간의 엑스선 흡수차가 작기 때문에 엑스선관 Target/Filter의 적절한 조합으로 피사체의 대 조도를 높이는 일이 중요하다. 최근 장비들은 다양한 유방두께와 유선조직 밀도에 따라서 Target/Filter의 조합을 변화시켜 환자의 피폭 선량 경감 및 진단에 알맞는 화질을 얻고 있다. 본 실험은 Target/Filter의 조합에 따라 해상력 챠트를 이용하여 MTF 영상의 평가와 유방 팬톰 영상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아크릴 두께(2 cm, 3 cm, 4 cm)의 조합(Mo/Mo, Mo/Rh. Mo/Al, Rh/Rh, Rh/Al)에 따라 고유원자번호에 의해 엑스선 에너지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2. MTF 곡선에서 선예도를 나타내는 MTF 0.5에서의 Lp/mm 값은 아크릴 2 cm일 때 Mo/Mo은 2.4 Lp/mm, 4 cm일 때 Mo/Rh은 2.63 Lp/mm, 6 cm일 때 Rh/Rh은 2.9 Lp/mm로 높게 나타났다. 3. 분해능을 나타내는 MTF 값은 아크릴 2 cm일 때 Mo/Mo은 6.0 Lp/mm, 4cm일 때 Rh/Al은 4.60 Lp/mm, 6 cm일 때 Rh/Al은 6.03 Lp/mm로 MTF 값이 높게 나타났다. 4. 시각적 식별이 가능한 2.5 Lp/mm에서 MTF 값은 2 cm일 때 Mo/Mo은 0.48 Lp/mm, 4 cm일 때 Mo/Rh은 0.53 Lp/mm, 6 cm일 때 Rh/Rh은 0.59 Lp/mm로 높게 나타났다. 5. 유방 팬톰 영상평가에서는 Mo/Mo일 때 12점, Mo/Rh일 때 11점, Rh/Rh일 때 10.5점, Mo/Al일 때 10점, Rh/Al일 때 9점 순으로 나타났다.

  • PDF

Effects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on in vitro Gonadotropin Release in Testosterone-Treated Immature Rainbow Trout

  • Kim, Dae-Jung;Kim, Yi-Cheong;Aida, Katsumi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3권4호
    • /
    • pp.429-437
    • /
    • 2009
  • The control mechanism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 on gonadotropin (GTH) release was studied using cultured pituitary cell or cultured whole pituitary obtained from Testosterone (T) treated and control immature rainbow trout. The release of FSH was not changed by salmon type GnRH (sGnRH), chiken-II type (cGnRH-II), GnRH analogue ([des-$Gly^{10}D-Ala^6$] GnRH ethylamide) and GnRH antagonist ([Ac-3, 4-dehydro-$Pro^1$, D-p-F-$Phe^2$, D-$Trp^{3,6}$] GnRH) in cultured pituitary cells of T-treated and control fish. Indeed, FSH release was not also altered by sGnRH in cultured whole pituitary. All tested drugs had no effect on the release of LH in both culture systems of control fish. The levels of LH, in contrast, such as the pituitary content, basal release and responsiveness to GnRH were increased by T administration in both culture systems. In addition, the release of LH in response to sGnRH or cGnRH-II induced in a dose-dependent manner from cultured pituitary cells of T-treated fish, but which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in both GnRH at the concentration examined. Indeed, LH release was also increased by sGnRH in cultured whole pituitary of T-treated fish. GnRH antagonist suppressed the release of LH by sGnRH ($10^{-8}\;M$) and GnRH analogue ($10^{-8}\;M$) stimula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from cultured pituitary cells of T-treated fish, and which were totally inhibited by $10^{-7}\;M$ GnRH antagonis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ensitivity of pituitary cells to GnRH is elevated probably through the T treatment, and that GnRH is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LH release. GnRH-stimulated LH release is inhibited by GnRH antagonist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effects of gonadal steroids on FSH levels are less clear.

Evolutionary Viewpoint on GnRH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in Chordata - Amino Acid and Nucleic Acid Sequences

  • Choi, Donchan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2권2호
    • /
    • pp.119-132
    • /
    • 2018
  • GnRH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is a supreme hormone regulating reproductive activity in most animals. The sequences of amino acid and nucleic acid of GnRH reported up to now are examined from the evolutionary framework of Chordata. All identified GnRH are classified into GnRH1, GnRH2, or GnRH3. In all three forms of GnRH both N-terminal and C-terminal are conserved, which allows for effective binding to their receptors. The three amino acids in the middle of GnRH1 sequence have altered diversely from the primitive Chordata, which is indicative of the adaptation process to the ambient environment. GnRH2 and GnRH3 sequences are well conserved. There are more diverse modifications in the nucleic acids than in amino acid sequence of GnRH1. These variations can result from meiosis, mutation, or epigenetics and indicate that GnRH is the product of natural selection.

흰쥐 생식소에서 GnRH-like mRNA의 발현과 세포내 분포 (Expression and Cellular Localization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like Messenger Ribonucleic Acid in the Rat Gonad)

  • Park, Wan-Sung;Lee, Sung-Ho;Kim, Hyun-Sup;Cho, Sa-Sun;Young Namkung;Yoon, Yong-Dal;Paik, Sang-Ho;Cho, Wan-Kyoo;Kim, Kyungjin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35-445
    • /
    • 1990
  • 시상하부에서 합성, 분비되는 gonadotropin releasing horrnone (GnRH)의 면역반응성이 생식소를 비롯한 여러 부위에서도 검출됨이 알려졌으나, 이 펩타이트가 과연 생식소에서 국부적으로 합성되는 지에 관해서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흰쥐 생식소에서 GnRH유전자발현을 연구하기 위하여 GnRH-like mRNA와 GnRH펩타이트의 발현과 세포내 분포 양상을 조사하였다. GnRH 방사면역측정법과 GnRH를 크로마토그라피 방법으로 분리한 결과,시상하부에서 합성되는 GnRH와 유사한 GnRH 면역반은이 흰쥐 생식소 추출물에서 상당량 검출되었다. GnRH-면역반응이 흰쥐 난소의 다양한 세포군에서 나타냄에 반하여, GnRH-like mRNA는 granulsa,theca 그리고 luteal 세포에서만 주로 발현되었다. 또한 흰쥐 정소에서 GnRH면역반응성은 원시정세포, Sertoli,Leydig 세포에서만 검출된 반면에, GnRH-like mRNA는 정세관내의 Seertoli세포에서만 발현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생식소에 존재하는 GnRH는 생식소 내에서 국부적으로 합성, 발현되는 결과라고 사료되며, 생식소 내에서 생성된 GnRH는 생식소내 세포군간의 정보교환의 매개자로서 역활을 수행하고 있다고 추정된다.

  • PDF

임신초기 사람의 태반조직에서 GnRH-II mRNA와 Peptide의 발현 (Expression of the Second Isoform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Chicken GnRH-II Type) in the First Trimester Human Placenta)

  • 천강우;홍성란;이형송;강인수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5권1호
    • /
    • pp.81-88
    • /
    • 2001
  • GnRH는 1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호르몬으로서 생식기능을 조절, 관장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임신 중에는 태반에서 hCG의 분비를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 사람의 두 번째 GnRH 유전자가 발견되었으며 그 10개의 아미노산 서열은 닭에서 두 번째로 발견된 GnRH (chicken GnRH-II)와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제까지 사람에서의 두 번째 GnRH (GnRH-II)의 발현은 중뇌와 신장에서 보고된 바 있으며, 본 연구자들에 의해서 처음으로 사람의 자궁내막에서의 발현이 보고되었다 (Cheon et al., 2001).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임신초기의 태반조직에서 GnRH-II의 mRNA와 Peptide가 발현되는가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태반에서 발현되는 GnRH-II mRNA는 두 가지 형태라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GAP 부위에 21개의 뉴클레오티드 결실을 갖는 작은 전사체는 조직 특이적인 alternative splicing 기작에 의하여 태반조직에서만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면역화학염색법을 이용하여 GnRH-II peptide의 발현을 조사한 결과, 세포영양막과 융합영양막의 세포질에서 모두 발현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세포영양막에서 더 많은 양이 발현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임신초기 태반에서 기존의 GnRH (GnRH-I)이외에도 다른 아미노산 서열의 GnRH-II가 발현된다는 사실을 말해주며 이는 GnRH-II 역시 태반조직에서 임신의 유지 및 생식기능의 조절에 관여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하겠다.

  • PDF

Successful Heart Transplantation Despite Rhesus Blood Type Mismatch: A Case Report

  • Ji Hong Kim;Yu-Rim Shi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7권2호
    • /
    • pp.217-219
    • /
    • 2024
  • Matching for the rhesus (Rh) blood group is currently not taken into account in the organ allocation system. However, in Rh-mismatched transplantation, the primary concern is the potential for RhD-negative recipients to develop sensitization and produce anti-D antibodies if they receive a transfusion of RhD-positive blood. It is estimated that over 80% of RhD-negative recipients may experience Rh allosensitization when exposed to RhD-positive blood, although this occurrence is less common in recipients of solid organs. In theory, RhD-negative recipients who receive organs from RhD-positive donors are at risk of alloimmunization and the production of anti-D antibodies, which could complicate future blood product transfusions. However, our understanding of the impact of donor-recipient Rh mismatch on transplant outcomes, particularly in heart transplantation, is limited. We report a case of successful Rh-mismatched heart transplantation, which was effectively managed through the use of preoperative RhD immunoglobulin and plasmaphere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