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CIPROCAL AVERAGING METHOD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43초

월악산, 조령산, 주흘산, 보현산의 참나무림 식생경도 (Vegetation Gradients of the Quercus Forests in Mts. Wolak, Choryong, Juhul and Bohyun)

  • 송종석;정화숙;노광수;송승달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1권5_1호
    • /
    • pp.419-426
    • /
    • 1998
  • Twenty-two forest stands and one hundred and fourteen plant species were ordinated by a reciprocal averaging(RA) method to extract the major forest patterns of the Quercus forests in Mts. Wolak, choryong, Juhul and Bohyun. The RA stand ordination on the first and second axes revealed a gradient of vegetation. It is the gradient from the Quercus mongolica-dominated forest to the Quercus serrata-dominated forest or Quercus variabilis-dominated forest. An intermediate zone between the two forest types was recognized by the RA stand ordination. Especially the zone on Mt. Bohyun was evide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mountains. The gradient also showed the environmental one from mesic to xeric habitats and from higher to lower altitudes. The RA species ordination showed the distribution center of each species in the above mentioned patterns of the forest vegetation.

  • PDF

Ordination 방법(方法)에 의한 가야산(伽倻山) 홍류동계곡(紅流洞溪谷)의 식생군집(植生群集)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Vegetational Community of Hongrudong Valley in the Mt. Gaya by Ordination Techniques)

  • 조재창;이경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7권1호
    • /
    • pp.73-82
    • /
    • 1988
  • 가야산(伽倻山) 홍류동계곡(紅流洞溪谷)의 식생군집구조분석(植生群集構造分析)을 위하여 11개 장소에 조사구(調査區)를 설치하고 조사된 식생자료(植生資料)로서 3가지의 ordination 방법(polar,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reciprocal averaging)을 적용한 결과, 삼림군집(森林群集)은 소나무군집(群集)과 갈참나무군집(群集)으로 구분되었다. 각 조사구마다 측정한 환경요소(環境要素)와 ordination 결과의 stand scores와의 상관분석(相關分析)에 의하면 소나무군집(群集)에서 갈참나무군집(群集)으로 이행할수록 토양(土壤) pH, 토양유기물함량(土壤有機物含量), 토양함수량(土壤含水量)의 증가는 유의적(有意的)인 관계가 성립되었다. 식생군집구조분석(植生群集構造分析)의 결과에 의하면 평균상대우점식(平均相對優占植)에서 소나무와 참나무류간에는 부(負)의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소나무의 상대우점치와 종다양도(種多樣度), 균재도(均在度)간에도 부(負)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Ordination 방법중 reciprocal averaging 방법이 본 연구에서는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RA방법에 의하여 추정된 천이과정(遷移過程)은 교목층(喬木層)인 상층(上層)은 소나무${\rightarrow}$굴참나무${\rightarrow}$갈참나무 및 서어나무의 순이었고, 중층(中層)은 참싸리${\rightarrow}$옻나무류, 철쭉${\rightarrow}$쇠물푸레, 생강나무${\rightarrow}$참회나무, 병꽃나무, 작살나무의 순이었다.

  • PDF

보문산 삼림(森林) 군집(群集)의 구조(構造)와 동태분석(動態分析) (II) (The Structural and Dynamic Analysis of the Forest in Mt. Bomun (II))

  • 김지문;송호경
    • 농업과학연구
    • /
    • 제10권1호
    • /
    • pp.22-27
    • /
    • 1983
  • 보문산의 관목시(灌木尸)을 대상(對象)으로 수종(樹種)의 종군(種群) 분류(分類)와 천이(遷移) 계열(系列)을 추정(推定)하기 위하여 $5{\times}5m$의 quadrat 22개소(個所) 선정(選定)하였다. 관목(灌木)의 분석(分析)에는 reciprocal averaging(RA) ordination 방법(方法)을 사용(使用)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보문산에 출현(出現)한 관목수종(灌木樹種)은 45종(種)이었으며 우세종(優勢種)은 Quercus aliena, Quercus serrata, Rhododendron mucronulatum 등(等)이다. 2. RA ordination으로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보문산의 관목(灌木)은 Zanthoxylum schinifolium에서 Spiraea prunifolia for. simpliciflora-Rubus crataegifolius 를 거쳐 Quercus류(類)로 천이(遷移)되며, 또 하나는 Stephanandra incisa-Corylus heterophylla에서 Lespedeza maximowiczii를 거쳐 Quercus류(類)로 천이(遷移)된다.

  • PDF

경상북도 남부 가야산, 비슬산, 운문산, 가지산 일대 참나무림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Phytosociological Study of the Oak (Quercus spp.) Forests on Mts. Kaya, Bisul, Unmun and Kaji in Southern Kyongpook Province)

  • 송종석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4권1호
    • /
    • pp.9-18
    • /
    • 2001
  • 본 연구는 서열법 의 일종인 교호평균법(reciprocal averaging method)과 ZM학파의 식물사회학적 연구방법에 의해 경상북도 남부의 주요 산악지역인 가야산, 비슬산, 운문산, 가지산 일대의 참나무류 삼림을 분류하고 그 환경조건을 해석할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먼저 교호평균법으로 추출된 stand의 제1축상의 종의 배열에 의해 군락분류의 진단종군을 발견하고, 더 나아가 식물사회학적 군락분류의 표징종 및 식별종의 후보종군을 탐색하였다. 이것을 기본으로 이미 연구된 다른 산지의 참나무림의 조성과도 비교, 검토한 결과 이하의 2군락, 2하위군락을 식별하였다: 1, 국수나무-신갈나무군락 1-1 조릿대하위군락 1-2 애기나리하위군락, 2. 큰기름새-졸참나무군락. 상급단위로서 이 두 군락은 제각기 철쭉꽃-신갈나무군단과 조록싸리-졸참나무군단에 속하며, 더욱이 당단풍-신갈나무군목, 너도밤나무군강에 통합된다. 본 연구에서 식별된 두 군단은 우리나라의 냉온대 낙엽활엽수림의 북부형과 남부형에 대응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한편 본 연구와 관련하여 우리나라의 냉온대림의 군락분류학적 문제점을 종조성의 입장에서 논하였다.

  • PDF

서열법과 분류법에 의한 소백산의 신갈나무림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A Phytosociological Study of Quercus mongolica Forest on Mt. Sobaek by Ordination and Classification Techniques)

  • Song, Jong-Suk;Seung-Dal Song;Jae-Hong Park;Bong-Bo Seo;Hwa-Sook Chung;Kwang-Soo Roh;Kwang-Soo Roh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8권1호
    • /
    • pp.63-87
    • /
    • 1995
  •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classify and describe the Quercus mongolica forest on Mt. Sobaek (36°50'∼ 37°07'N, 128°25'∼ 128°35'E), Korea by a reciprocal averaging methol (RA ordination) and the methodology of the ZM school of phytosociology. Atemporal vegetation tabel was prepared by the RA ordination. As a result it showed that the RA ordination on the first axis is very applicable for selecting the character and differential species of vegetation units of the Quercus mongolica forest. The phytosociological investigations were carried out in 34 stands on the mountain. The field data obtained were classified by the tabel comparison method. For the establishment of new vegetation units, the floristic composition of the Quercus mongolica forest was compared with those of the other vegetation units of the Mt. Sobaek, Considering the candidates of the character and differential species derived from RA ordination. As the result,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vegetation units; Fagetea crenatae Miyawaki et al. 1968 Acero-Quercetalia mongolicas Song 1988 em. Takeda et al.1994 Lindero-Quercetalia mongolicae Kim 1990 1. Lindero-Quercetum mongolicae assoc. nov. 1-1. quercetosum serratae subassoc. nov 1-2. typicum subassoc. nov. Rhododendro-Qurcion mongolicas Song 1988 em. Takeda et al. 1994. It is inferred that the Lindero-Quercion mongolicae and the Rhododendro-Quercion mongolicae corresponded to the cool-temperate forests of central and northern areas, respectively, in Korean Peninsula. Syntaxonomical synonyms were also rearrang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present study. On the other hand, the RA ordination of stands and species on the first and second axes revealed some environmental gradients such as altitute, human impact and species richness between the vegetation units. However, the RA ordinations is considered to be less indicative for the gradients of the lower vegetation units than association. With the present study. some phytosociological problems in Korea were discussed here in detail from the floristic viewpoint.

  • PDF

대구, 구미, 김천 시역의 팔공산, 금완, 황악산에 분포하는 참나무류 삼림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Phytosociology of the Quercus spp. Forests on Mts, Palgong, Kumo and Hwangak in the City Areas of Taegu Kumi and Kimchon Kyungpook Province Korea)

  • 송종석;노광수;정화숙;송승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20-233
    • /
    • 1999
  • 본 연구는 서열법(교호평균법)과 ZM학파의 식물사회학적 연구방법에 의해 대구, 구미, 김천 근처의 팔공산, 금오산, 황악산 일대의 참나무류 삼림을 분류하고 그 환경조건을 해석할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교호평균법에서 추출된 stand의 제 1축상의 종의 배열은 식물사회학적 군락분류의 표징종이나 식별종의 후보 종군을 추출하는데 매우 효과적이었다. 이결과와 타지역과 본 연구지역의 낙엽수림의 조성을 비교 검토한 결과 이하의 2군집, 1군락, 2아군집을 식별하였다. 너도밤나무군강(Fagetea crenatae Miyawaki et al. 1968) ; 당단풍-신갈나무목(Acero-Quercetalia mongolicae Song 1988); 조록싸리-졸참나무군단(Lespedezo-Quercion ser-1-1 때죽나무아군집(Styracetosum japonicae subassoc. nov) 1-2 전형아군집(typicum subassoc. ) (Ainsliaeo-Quercetum mongolicae assoc. nov.) 3. 신갈나무-시닥나무군락(Quercus mongolica-Acer teschonoskii var, rubripes community) 본연구에서 식별된 군단은 우리나라의 냉온대 낙엽활엽수림의 북부형과 남부형에 대응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서열법에 의해 계산된 제 1축과 제2축상에의 stand의 배열은 인위와 해발과 같은 환경경도상의 계열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와 함께 본 연구와 관련되는 사항으로 우리나라의 냉온대림의 군락분류학적 문제점을 종조성론의 입장에서 논하였다.

  • PDF

서해안 무창포의 조간대 해조 군집구조의 분석 (The Structure Analysis of Intertidal Algal Community in Muchangpo, Western Coast of Korea)

  • 김영환;이인규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8권2호
    • /
    • pp.149-164
    • /
    • 1985
  • 충남 보영군 무창포해수욕장 일대의 조간대 해조군집에 대하여, 종조성, 우점종과 수직분포의 계절적 변화, 그리고 현존량을 1981년 봄-겨울에 걸쳐 조사하였다. 조사기간을 통하여 총 64종(남조 1종, 연조 3종, 갈조 19종, 홍조 41종)의 해조류가 관찰되었다. 조사지역의 해조류 군집은 Sargassum thunbergii, Gelidium divaricatum 및 Pelvetia siliquosa로 대표되었다. 한편, Gloiopeltis furcata는 조간대 상일중부에서, Corallina pilulifera는 하부에서 높은 피도를 보였다. 식생자료에 대한 classification (UPGMA)과 ordination(RA) 결과, 대체로 조위의 하중이 인정되는 경향성을 보였으며, 계절에 따른 군집구조의 변동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단위면적당 평균현존량은 57,2~92.8 g-dry/$m^2$의 범위로서, 봄에 낮고 여름에 높았다.

  • PDF

보문산 삼림(森林) 군집(群集)의 구조(構造)와 동태(動態) 분석(分析) (The Structural and Dynamic Analysis of the Forest in Mt. Bomun)

  • 김지문;송호경
    • 농업과학연구
    • /
    • 제9권2호
    • /
    • pp.494-506
    • /
    • 1982
  • 보문산의 교목림(喬木林) 군집(群集)을 대상(對象)으로 수종(樹種)의 종군분유(種群分類)와 천이(遷移)계열(系列)을 추정(推定)하기 위하여 $20{\times}20m$의 quadrat를 22개소(個所) 선정하였다. 교목(喬木) 및 토양(土壤)의 분석(分析)에는 reciprocal ave raging(RA) ordination 방법(方法)을 사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보문산에 출현(出現)한 교목(喬木) 수종(樹種)은 20종(種)이었으며, 우세종(優勢種)은 Quercus variabilis, Pinus densiflora, Alnus hirsuta, Pinus rigida 등(等)이다. 2. RA ordination으로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보문산의 교목(喬木) 군집(群集)은 Pinus rigida와 Quercus variabilis-Pinus densiflora 군(群)으로 구별(區別)된다. 3. 천이계열(移系列)에서 교목림(喬木林) 군집(群集)의 극상(極相)은 Quercus variabilis로 추정(推定)된다. 4. 토양(土壤) 요인(要因)으로는 T-N, $NO_3^-$, $NH_4^+$, $P_2O_5$, 유기물, C. E. C, pH, $K^+$, $Ca^{{+}{+}}$, $Mg^{{+}{+}}$가 분석(分析)되었으며, 토양(土壤) 환경(環境)을 지배하는 주성분(主成分)은 T-N, $NO_3$, $NH_4^+$, $P_2O_5$라고 사료(思料)된다.

  • PDF

왕릉의 식생경관구조 및 관리대책에 관한 연구(I) - 동구릉 식생군집의 천이 - (Studies on the Vegetational Landscape Structure and Administration Planning of the Royal Tomb(I) - Successional Trends of Plant Community of Donggu Royal Tomb -)

  • 이경재;오구균;전용준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3-26
    • /
    • 1988
  • ^x This study was executed to analyze the vegetational landscape structure of Donggu Royal Tomb forest by four kinds of ordination techniques(polar,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reciprocal averaging, and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comparison of the couple photographs between 1920s and 1987. Thirteen sites were sampled with clumped sampling method in June of 1987 and five quadrats were examined in each site.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Environmental impact grade 3,4 and 5 area covered 16.11ha and these area should be restored by the input of human energy because self - refair seemed to be impossible. 2. Pinus densiflora community of actual vegetation covered 8.2%, Alnus japonica community 5.7% and quercus aliena community 15.8% of the surveyed area(73.3ha). And afforested vegetation including Pinus koraiensis, Pinus rigida, Alnus hirsuta and Robinia pseudoacacia covered 27.0%. 3. Donggu Royal Tomb forest was divided by Pinus densiflora, P. densiflora-Quercus aliena, Alnus japonia - Q. aliena and A. japonica community. DCA was the most effective method of this study. 4. DCA ordination were showed that succesional trends of tree species seem to be from Pinus densiflora through Prunus sargentii, Quercus serrata, Quercus aliena to Carpinus laxiflora in P. densiflora community and from Alnus japonica through Acer ginnala to Q. aliena in A. japonica community of the upper layer and from Rosa multiflora,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Zanthoxylum schiniflolium through Rhus trichocarpa, Styrax japonica, Rhododendron scilippenbachii to Viburum erosum, Lindera obtusiloba in the middle layer. 5. By the comparsion of the couple photographs beween 1920s and 1987, we can recognize the change of historical landscape composed by P. densiflora and A. japonica community and those community is succeed to Q. aliena.

  • PDF

천부 굴절법 탄성파 탐사 자료의 정보정 (Statics corrections for shallow seismic refraction data)

  • Palmer Derecke;Nikrouz Ramin;Spyrou Andreur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8권1호
    • /
    • pp.7-17
    • /
    • 2005
  • 천부 탄성파 굴절법 탐사를 이용하여 굴절이 발생하는 지층의 속도를 산출하는 것은 ill-posed 문제이다. 계산된 시간 변수들에서의 작은 변화들이 이로부터 산출된 속도들에 커다란 수평적 변화를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종종 역산 알고리듬의 인위적인 오차를 유발한다. 이러한 인위적인 오차들은 모델링을 통해 인지되거나 보정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만약 모델에 근거한 역산을 통해 정밀한 지하 굴절 모델을 얻고자 한다면 정확한 초기 모델이 필요하다. 탄성파속도에서 인위적인 오차의 원인은 일반적으로 불규칙한 굴절면에 있다. 대부분의 경우에 GRM 방법을 이용하면 불규칙한 굴절면을 다룰 수 있고 굴절면의 정밀한 초기 모델을 만들 수 있다. 하지만 지표에 매우 가까운 극천부 지역 또한 불규칙하다면 GRM 방법의 효능은 감소하고 풍화대 보정이 필요하다. 천부 불균질대에 대한 일반적인 보정방법들은 수평적 확장이 제한된 극천부지역의 불균질대의 경우 효과적이지 못하다. 이럴 경우 GRM 평활화 통계적 방법(Smoothing Statics Method; SSM)이 지층의 속도를 좀 더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간단하고 실용적인 방법이다. GRM SSM 방법은 제로 XY 값을 가지고 계산된 시간-심도값들로부터 실제 XY 값을 가지고 얻어진 시간-심도값들의 평균값을 빼줌으로써 평활화 정보정을 수행한다. 심도가 깊어질수록 시간-심도값들이 XY 값에 따라 크게 변하지 않으므로 이들의 평균값은 최적값과 훨씬 더 같아진다. 그러나 극천부의 불균질대에 대해 시간-심도값들은 XY 값들이 증가함에 따라 수평적으로 이동하고 평균화 과정을 통해 대폭 감소한다. 결과적으로, XY값들에 대해 평균화된 시간-심도단면도는 천부의 불균질대에 대한 보정에 효과적이다. 또한 제로 XY 값을 가지고 계산된 시간-심도값들은 천부 불균질대의 영향과 대상 굴절면에 대한 시간-심도값들의 합으로 주어지므로 그들의 차는 정보정을 위해 주시로부터 빼주어야 할 대략적인 값들을 제공한다. GRM SSM 방법은 결정론적인 풍화대에 대한 보정법이라기 보다는 평활화 과정이다. 이 방법은 수평적으로 확장이 매우 제한된 천부 불균질대에 대해 가장 효과적이다. 모델과 현장 적용 결과들을 통해 GRM SSM 방법을 이용하여 불규칙한 굴절면을 가진 지층들에 대해 좀 더 신뢰할 수 있는 정밀한 탄성파 속도를 산출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