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AW264.7 세포

Search Result 1,087,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RAW264.7 대식세포에서 표고버섯과 다시마 혼합 추출액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hiitake Mushroom and Kelp Mixture Extracts in RAW264.7 Cell)

  • 김수봉;강순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35-542
    • /
    • 2023
  • We investigat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hiitake mushroom and kelp (SMK) mixture extracts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murine RAW 264.7 cells. Treatment of RAW 264.7 cells with LPS significantly increased NO (nitric oxide) production, pro-inflammatory cytokines (tumor necrosis factor (TNF)-α, interferon (IFN)-γ, interleukin (IL)-6, and IL-1β), and inflammation-related genes (COX-2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In cytotoxicity testing using RAW 264.7 cells, SMK mixture extracts in the range of 1-16 ㎍/mL did not inhibit cell proliferation. However, SMK mixture extracts significantly inhibited NO produc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p<0.05). SMK treatment significantly decreased TNF-α, IL-6, IFN-γ, and IL-1β levels compared to the LPS group, and similarly, pro-inflammatory cytokine mRNA levels also decreased. SMK mixture extracts reduced the mRNA expression of COX-2 and iNOS in RAW 264.7 cells compared to LPS (p<0.05). The above results show that SMK mixture extracts suppressed the inflammatory response induced by LPS. In particular, the extracts were shown to regulate the inflammatory response by suppressing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and inflammation-related enzymes.

삼내자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 효과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Effects of Hot Water Extracts from Kaempferia Galanga L)

  • 진정원비너스;이지안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218-22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삼내자(Kaempferia Galanga)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세포독성, 항염 효능을 조사하여 화장품 성분으로서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항산화 활성 평가를 위해 DPPH, ABTS 라디컬 소거능 활성, FRAP 환원력, 총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다. 쥐의 대식세포인 RAW264.7 세포를 대상으로 MTT assay를 수행하여 세포독성을 확인하였다. 항염 효능을 알아보기 위해 LPS로 유도된 RAW264.7 세포에서 nitric oxide(NO), $TNF-{\alpha}$ 분비 및 iNOS, $TNF-{\alpha}$ mRNA 발현 수준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은 농도 의존적으로 라디칼 소거 활성이 증가하였다. FRAP 값은 5 mg/mL에서 24.5 uM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총폴리페놀 함량은 $1.28{\pm}0.064mg\;GAE/g$로 나타났다. KG 추출물 농도 0.625~2.5 mg/mL에서 세포독성은 보이지 않았다. 또한 RAW264.7 세포에서 LPS 유도에 의한 NO, $TNF-{\alpha}$ 분비 그리고 iNOS, $TNF-{\alpha}$의 mRNA 발현이 KG 추출물에 의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삼내자 열수추출물이 안전하고 효과적인 화장품 원료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지단백산화(脂蛋白酸化)에 따른 대식세포(大食細胞) 활성(活性)에 미치는 삼기음(三氣飮)의 영향(影響) (Effects of Samkieum on LDL Oxidation in Macrophage Cell)

  • 이희조;황귀서;김경준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8-117
    • /
    • 2006
  • The oxidative notification of low density lipoprotein(LDL) has been implicated in the development of atherosclerosis. Oxidized LDL are found in macrophage foam cell, and it can induce an macrophage proliferation in atherosclerotic plaqu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hypothesis that Samkieum may reduce atherosclerosis by lowering the oxidiazability of LDL, To achieve this goal, we examined the effect of Samkieum on LDL oxidation nitric oxide production in mouse macrophage cell line, RAW264.7, and the effect of Samkieum on cupuric sulfate-induced cytotoxicity, LDH release, and macrophage activity. Samkieum inhibited the generation of oxidized LDL from native LDL in RAW264.7 cell culture, and decreased the release of LDH from cupric sulfate-stimulated RAW264.7 cell. In other experiments, Samkieum activated RAW264.7 cell, and prolonged the survival time, and increased nitric oxide production in Raw 264.7 cells.

  • PDF

Bacillus amyloliquefaciens(SRCM 100730)로 발효된 청국장 추출물의 RAW 264.7 대식세포 면역증강 활성 (Immunomodulating Effect of Extract of Cheonggukjang Fermented with Bacillus amyloliquefaciens (SRCM100730) on RAW 264.7 Macrophages)

  • 추승빈;양혜;정도연;정성엽;류명선;오광훈;유영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1호
    • /
    • pp.1300-1307
    • /
    • 2017
  • 청국장은 한국의 전통발효식품으로서 다양한 생리활성이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B. amyloliquefaciens 균종에 속하는 신규한 균주인 B. amyloliquefaciens(SRCM 100730)에 의한 발효 청국장이 선천면역 세포인 RAW 264.7 대식세포를 활성화하는 효과를 가지는가를 검토하였다. 청국장 추출물을 RAW 264.7 세포에 처리한 결과 처리농도에 의존하여 $TNF-{\alpha}$와 NO의 생성이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면역조절 물질의 증가는 iNOS와 $TNF-{\alpha}$ mRNA 발현에서도 확인되었다. 또한, 청국장 추출물에 의한 대식세포 활성화와 관련한 세포 내 작용기전을 해석한 결과 청국장 처리에 의해 p38과 ERK와 같은 MAPK의 인산화와 $NF-{\kappa}B$ 활성화가 유도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MAPK에 속하는 JNK에 대해서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청국장 추출물을 LPS와 함께 처리한 실험에 있어서 청국장 추출물은 LPS에 의한 대식세포 활성화를 촉진하여 $TNF-{\alpha}$와 NO의 생성을 증가시키는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들 결과로부터 B. amyloliquefaciens(SRCM 100730) 균주로 발효한 청국장 추출물은 대식세포를 활성화하여 선천면역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RAW 264.7 Cell에서 납에 의한 NO 생성의 조절에 미치는 Glutathione의 효과 (Effect of Glutathione on Lead Induced Modulation of NO Synthesis in RAW 264.7 Cell)

  • 오경재;권근상;윤욱희;신새론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5권4호
    • /
    • pp.269-274
    • /
    • 2002
  • Balb/c 마우스의 복강내에 Abelson leukemia virus (A-MuLV)를 주입하여 발생시킨 대식세포주 RAW 264.7 세포의 배양조건에 납과 NAC및 BSO를 첨가하여 세포생존율과 NO 및 ATP 생성량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납을 처리한 기본배양조건에서 RAW 264.7 세포의 생존율은 각 농도에서 차이가 없었으며 NO의 생성량은 $0.5{\mu}M$의 납농도에서부터 용량 의존적으로 감소하였으나 ATP의 생성량은 각 농도군에서 차이가 없었다. NAC을 전처리하고 납을 처리한 배양조건에서의 NO 및 ATP의 생성량은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BSO를 전처리하고 납을 처리한 배양조건에서의 NO의 생성량은 납만 처리했을 때와 달리 각각의 농도군에서 대조군과 차이가 있었다. ATP생성량은 역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납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ATP의 생성량은 변화가 없으면서 NO가 감소하는 것을 볼 때, 납에 의한 대식세포에서 NO생성의 억제기전은 수은 및 카드뮴 등과 같이 미토콘드리아에 영향을 미쳐 ATP생성이 억제됨으로 L-arginine-NO경로에서 ATP를 필요로 하는 iNOS가 작용을 못하여 NO 생성이 저하되는 기전과는 다른 기전이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iNOS의 조효소인 세포내 GSH를 증가시키는 NAC을 전처리했을 때 NO의 생성량이 대조군 수준으로 회복되고 세포내 GSH를 감소시키는 BSO를 전처리했을 때는 오히려 NO의 생성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납의 농도에서조차 NO 생성의 감소가 일어난 것으로 볼 때 GSH는 대식세포에서 NO생성을 저하시키는 납의 독성에 보호작용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Raw264.7 세포에서 황기와 산초 1:1 혼합물의 면역 증진 효과 (Immune stimulating effects of Astragalus membranaceus and Zanthoxylum schinifolium 1:1 mixture in Raw264.7 cells)

  • 조일제;유영은;이상민;김은옥;박준흠;구세광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6권
    • /
    • pp.519-526
    • /
    • 2023
  • 본 연구는 마우스 대식세포 유래 Raw264.7 세포주에서 황기와 산초 1:1 혼합물(AZM-1:1)의 면역 증진 효능을 탐색하였다. Raw264.7 세포에 100-400 ㎍/mL의 A ZM-1:1 처치는 세포 생존율의 변화 없이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mRNA의 발현 증가와 함께 nitric oxide의 생성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더불어 A ZM-1:1은 처치 농도 의존적으로 cyclooxygenase-2 mRNA의 유도와 함께 세포 배양액 중 prostaglandin E2의 함량을 증가시켰다. 또한, AZM-1:1은 tumor necrosis factor-α, interleukin-1β, interleukin-6 및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의 전사를 촉진하였다. Immunoblot 분석을 통하여 AZM-1:1은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의 인산화를 증가시키고, inhibitory-κBα의 인산화를 매개한 분해를 촉진하며, p65의 인산화를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ZM-1:1의 처치는 녹색 형광으로 표지된 대장균 파편의 탐식작용을 촉진하였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는 A ZM-1:1가 대식세포를 포함한 내재면역을 증진시키는 기능성 식의약 소재가 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가미십전대보탕의 RAW 264.7 세포에서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Kamisipjeondaebotang in RAW 264.7 Cells)

  • 명정호;이명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1호
    • /
    • pp.1271-1277
    • /
    • 2017
  • 가미십전대보탕(이하 KSD로 표기) 추출물은 생약 성분으로 인체 및 동물에 투여 시 세포 독성 및 장기에 중금속 등에 의한 독성 물질이 발생할 수 있어 안전성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KSD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중금속 검사, 간과 신장 기능 지표 검사 및 RAW 264.7 세포 생존 시험을 거친 후 RAW 264.7 세포를 이용하여 KSD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알아보았다. KSD 추출물에서 중금속은 발견되지 않거나 기준치 미만으로 검출되었다. 간기능지표인 AST, ALT는 정상군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며 신기능 지표인 Cr, BUN도 정상군과 같거나 낮아 인체에 안전함을 확인하였다. RAW 264.7 세포 독성은 대조군 대비 농도별 생존율에 차이가 없었다. KSD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 측정 결과 DPPH 라디칼 소거능과 ABTS 라디칼 소거능은 $10{\mu}g/mL$ 이상의 농도에서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였다. 항염증 효과 측정 결과 NO 생성량은 대조군에 비해 10, $100{\mu}g/mL$에서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였으며, $IL-1{\beta}$와 IL-6는 농도 의존적으로 발현량이 감소하였고, $TNF-{\alpha}$는 유의적 차이점을 발견할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보아 KSD는 골절 치료를 위한 생약으로 안전성 및 항산화 및 염증 감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꽃송이버섯 추출물이 RAW 264.7 세포에서 TNF-α, iNOS, IL-1β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ter Extract of Sparasis crispa on the Expression of TNF-α, iNOS and IL-1β Genes in RAW 264.7 Cells)

  • 한효상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63-171
    • /
    • 2021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parassis crispa (SC). SC is a well-known traditional herbal remedy and its mushroom is used for treatment of inflammation. Many diseases that are increasing recently have characteristics of inflammatory diseases. Researchers are finding bioactive substances from natural products that can promot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inflammation.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water extracted from SC on the expression of effector genes involved in the function of RAW 264.7 cells. Methods : Effects of RAW 264.7 cells on cell viability, antioxidation, and mRNA expression were examined using water extracts from SC. A 3-(4,5-dimethylthiazol-2-yl)-5-(3-carboxymethoxyphenyl)-2-(4-sulfophenyl)-2H-tetrazolium (MTS) assa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water extracts from SC on cell viability in RAW 264.7 cells. Inflammation of RAW 264.7 cells induced by lipopolysaccharide (LPS) treatment and expression levels of inflammatory cytokine TNF-α, iNOS and IL-1β gene were analyzed using 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 PCR (qRT-PCR) analysis. Results : The MTS assay was performed on RAW 264.7 cells after treatment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water extracts of SC. Treatment of RAW 264.7 cells with water extracts from SC and LPS at a concentration of 0.125, 0.5 mg/㎖ for twenty four hours promoted mRNA expression of TNF-α, iNOS and IL-1β. Conclusion : MTS assay was applied to RAW 264.7 cells after various concentrations of water extracts of SC. Through experimental demonstration of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water extracts from SC, we suggest that SC is a valuable material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various inflammatory diseases.

바이칼레인(baicalein)이 poly-IC와 lipoteichoic acid로 자극된 마우스 대식세포 RAW 264.7의 hydrogen peroxide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aicalein on hydrogen peroxide productions in RAW 264.7 mouse macrophages stimulated by poly-IC and lipoteichoic acid)

  • 박완수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1-19
    • /
    • 2023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aicalein (BA) on the production of hydrogen peroxide and nitric oxide (NO) in RAW 264.7 mouse macrophages stimulated with polyinosinic-polycytidylic acid (poly-IC) and lipoteichoic acid. Methods : RAW 264.7 co-stimulated with poly-IC and lipoteichoic acid were incubated with baicalein at concentrations of 25 and 50 μM. Incubation time is 16 h, 18 h, 20 h, 22 h, and 24 h. After incubation, The production of hydrogen peroxide in RAW 264.7 was measured with dihydrorhodamine 123 assay. Chrysin was used as a comparative material. NO production was evaluated by griess assay. Results : For 16 h, 18 h, 20 h, 22 h, and 24 h incubation, BA at the concentration of 25 and 50 μM significantly inhibited the production of hydrogen peroxide in RAW 264.7 stimulated by poly-IC and lipoteichoic acid (p <0.001). In details, production of hydrogen peroxide in 'poly-IC and lipoteichoic acid'-stimulated RAW 264.7 treated for 16 h with BA at concentrations of 25 and 50 μM was 82.36% and 77.24% of the control group treated with poly-IC and lipoteichoic acid only, respectively; the production of hydrogen peroxide for 18 h was 83.15% and 77.91%, respectively;production of hydrogen peroxide for 20 h was 82.88% and 77.82%, respectively; production of hydrogen peroxide for 22 h was 83.27% and 78.17%, respectively; production of hydrogen peroxide for 24 h was 83.54% and 78.35%, respectively. Additionally, BA at the concentration of 50 and 100 μM significantly inhibited NO production in lipoteichoic acid-induced RAW 264.7 (p <0.001). Conclusions : BA might have anti-oxidative activity related to its inhibition of hydrogen peroxide production in 'poly-IC and lipoteichoic acid'-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구절초 꽃 추출물의 항산화, 항염증 및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ti-oxidative, Anti-inflammatory, and Melanin Inhibitory Effects of Chrysanthemum Sibiricum Extract)

  • 유선희;문지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762-770
    • /
    • 2016
  • 본 연구는 구절초 꽃 추출물이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관찰하기 위하여 항산화 활성과 피부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항염증, 멜라닌 생합성 억제능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 결과 구절초 꽃 추출물에서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높은 함량과 뛰어난 DPPH radical 소거작용을 확인하였고, Raw 264.7세포와 B16F10세포에 대해 유의한 세포독성을 나타나지 않았으며, Raw 264.7세포에서 LPS에 의해 유도된 NO 생성을 유의하게 억제함으로써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절초 꽃 추출물이 B16F10세포에 ${\alpha}$-MSH로 멜라닌 생성을 유도한 후 멜라닌 생합성 억제능을 측정한 결과 멜라닌의 생성 증가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보아 구절초 꽃 추출물은 세포에 대한 독성이 낮고, 높은 항산화 활성과 항염증, 미백효과를 가진 기능성 화장품소재로써의 활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