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RE SPECIES

검색결과 852건 처리시간 0.028초

Actual distribution and present status of a threatened aquatic plant, Sagittaria aginashi (Alismataceae), in Korea

  • Shiga, Takashi;Tsubota, Kazumasa;Choi, Hyeok Jae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80-188
    • /
    • 2017
  • We evaluated the actual distribution, present status, and number of remnant individuals of Korean Sagittaria aginashi (Alismataceae) based on herbarium specimens and field surveys. We also reidentified Korean S. aginashi by analyzing sequence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We found nine specimens of S. aginashi in herbaria from four localities housed at the Osaka Museum of Natural History (OSA) and at the Korea National Herbarium (KH). During our field research, we could not confirm the current statuses of two collection localities (Taereung and Ansan-si), though this was not the case for Ulsan-si. In addition, we found two new localities in Ulsan-si and Yangsan-si. These three remnant populations are distributed in wetlands in mountainous areas (elev. 480-740 m). With regard to the number of flowering and immature individuals in the three localities, there were <50 and <2,000, respectively, in total. ITS sequences demonstrated that the sequences of Korean and Japanese S. aginashi are uniform and distinct from other Sagittaria speci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 aginashi is a rare and threatened species in Korea. It should be listed as an endangered species on the Korean Red List and requires urgent protection by conservation programs, including the extensive surveys of other possible natural habitats.

창날개뿔나방과 모래창날개뿔나방속(Alloclita Staudinger, 1859)의 국내 첫 기록 (First record of Alloclita Staudinger, 1859 (Lepidoptera, Cosmopterigidae) from Korea)

  • 손재천;세르게이 시네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0권3호
    • /
    • pp.331-334
    • /
    • 2021
  • 창날개뿔나방과의 모래창날개뿔나방(Alloclita mongolica Sinev)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 본 보고는 모래창날개뿔나방속(Alloclita)의 국내 첫 기록이며, 모래창날개뿔나방의 세계 분포 상 최남단 기록이기도 하다. 국내 채집기록으로 보아 모래창날개뿔나방은 주로 해안사구에 서식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희귀종의 외부 형태 및 수컷 생식기의 특징을 기술하고 사진을 도시하였다.

A report of the second chloroplast genome sequence in Veronica nakaiana (Plantaginaceae), an endemic species in Korea

  • LEE, Yae-Eun;LEE, Yoonkyung;KIM, Sangtae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109-114
    • /
    • 2021
  • Veronica nakaiana Ohwi (Plantaginaceae) is an endemic taxon on Ulleungdo Island, Korea. We report the second complete chloroplast genome sequence of V. nakaiana. Its genome size is 152,319 bp in length, comprising a large single-copy of 83,195 bp, a small single-copy of 17,702 bp, and a pair of inverted repeat regions of 25,711 bp. The complete genome contains 115 genes, including 51 protein-coding genes, four rRNA genes, and 31 tRNA genes. When comparing the two chloroplast genomes of V. nakaiana, 11 variable sites are recognized: seven SNPs and four indels. Two substitutions in the coding regions are recognized: rpoC2 (synonymous substitution) and rpl22 (nonsynonymous substitution). In nine noncoding regions, one is in the tRNA gene (trnK-UUU), one is in the intron of atpF, and seven are in the intergenic spacers (trnH-GUG~psbA, trnK-UUU, rps16~trnQ-UUG, trnC-GCA~petN, psbZ~trnG-GCC, ycf3~trnS-GGA, ycf4~cemA, and psbB~psbT). The data provide the level of genetic variation in V. nakaiana. This result will be a useful resource to formulate conservation strategies for V. nakaiana, which is a rare endemic species in Korea.

Characterization of a Peptide Antibody Specific to the Adenylyl Cyclase-Associated Protein of Acanthamoeba castellanii

  • Kim, Min-Jeong;Lee, Hae-Ahm;Quan, Fu-Shi;Kong, Hyun-Hee;Moon, Eun-Kyung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60권1호
    • /
    • pp.7-14
    • /
    • 2022
  • Acanthamoeba keratitis (AK) is a rare infectious disease and accurate diagnosis has remained arduous as clinical manifestations of AK were similar to keratitis of viral, bacterial, or fungal origins. In this study, we described the production of a polyclonal peptide antibody against the adenylyl cyclase-associated protein (ACAP) of A. castellanii, and evaluated its differential diagnostic potential.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revealed high titers of A. castellanii-specific IgG and IgA antibodies being present in low dilutions of immunized rabbit serum. Western blot analysis revealed that the ACAP antibody specifically interacted with A. castellanii, while not interacting with human corneal epithelial (HCE) cells and other causes of keratitis such as Fusarium solani, Pseudomonas aeruginosa, and Staphylococcus aureus. Immunocytochemistry (ICC) results confirmed the specific detection of trophozoites and cysts of A. castellanii co-cultured with HCE cells. The ACAP antibody also specifically interacted with the trophozoites and cysts of 5 other Acanthamoeba speci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CAP antibody of A. castellanii can specifically detect multiple AK-causing members belonging to the genus Acanthamoeba and may be useful for differentially diagnosing Acanthamoeba infections.

Infection by a Filarial Nematode from the Family Onchocercidae in the Wild Bird Anas falcata

  • Kim, Young Ji;Jang, Jin Ho;Kim, Min Chan;Park, Young-Seok;Kim, Hye Kwon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of the Republic of Korea
    • /
    • 제3권4호
    • /
    • pp.221-226
    • /
    • 2022
  • A filarial nematode was found in a blood sample of an Anas falcata individual collected in South Korea in 2018.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partial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COI) sequences placed the nematode as a novel genus of the family Onchocercidae and as closely related to Mansonella species, Chandlerella quiscali, and filarial nematodes recently reported in avian species. However, different phylogenetic relationship was observed in the NADH dehydrogenase subunit 5 and 12S rRNA-based phylogenetic trees, which might indicate the filarial nematode found in this study was not defined to belong to the known specific genera of the family Onchocercidae. The screening of 105 additional avian blood samples retrieved only one 12S rRNA-target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positive sample, which indicates that filarial nematode infection is rare in wild birds or that it occurs below the detection limit of PCR in blood samples. Nevertheless, considering the recent findings about ancient interactions between birds and human pathogenic filarial nematodes and their pathogenic potential in several avian species, additional exploration of novel filarial nematodes in wild birds remains necessary.

청옥산(경북 봉화) 산림습원의 식물상 및 식생 (The Flora and Vegetation Structure of Forest Wetlands in Mt. Cheongok(Gyeongbuk Bonghwa))

  • 손호준;김영설;윤주웅;전근우;박완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3호
    • /
    • pp.313-320
    • /
    • 2014
  • 본 연구는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 대현리와 소천면의 경계에 있는 청옥산 산림습원의 현황을 파악하고 습원의 식물상 및 식생조사를 통해 생물종다양성을 확보하여 산림 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조사대상지에 분포하는 자원식물의 종류조성은 72과 167속 209종 2아종 27변종 5품종 총 243종류로 밝혀졌다. 한국특산식물은 7과 9속 9종 총 9종류가 출현하였으며, 희귀식물은 11과 13속 12종 3변종 총 15종류가 출현하였고, 귀화식물은 5과 8속 8종 총 8종류가 분포하였다. 습지출현빈도에 따른 구분은 절대육상식물이 184종(75.72%)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절대습지식물은 4종(4.65%)이 확인되었다. 습한 정도에 따른 구분은 습생식물이 26종류, 정수식물이 2종류 확인되었다. 생육지에 따른 구분은 숲이 136종류(55.97%)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개방지가 70종류(28.81%), 습한 개방지가 35종류(14.40%), 수중이 2종류(0.82%)가 확인되었다. 본 조사지역의 식생구조를 중요치와 종다양성지수로 분석한 결과 목본식물 중에서는 물푸레나무의 중요치가 22.1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초본식물 중에서는 햇사초가 10.40%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이 지역의 평균 종다양성지수는 2.507로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생태적인 복원 및 복구을 위해서 장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백두대간 단목령-구룡령 구간의 산림식생유형 분류 및 종조성 (The Classification of Forest Vegetation Types and Species Composition in the Sector between Danmoknyeong and Guryongnyeong of Baekdudaegan)

  • 김민수;조현제;김준수;배관호;천정화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76-184
    • /
    • 2018
  • 본 연구는 생물다양성이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는 백두대간 일대인 단목령-구룡령 구간의 산림식생을 보다 더 생태적이고 체계적인 보전 및 관리 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총 조사구 142개소에 대해 Z.-M. 학파의 식물사회학적인 방법을 사용하였고 식생조사 및 입지 환경 특성을 조사하였다. 산림식생의 유형은 1개 군락군, 2개 군락, 4개 군, 4개 소군의 단위체계를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상재도급 V형에 해당하는 신갈나무와 당단풍나무는 대체적으로 향존중으로 나타났으며, 조사 지역의 산림생태계 관리 계획에 있어 중점관리대상종이 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종다양성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VT3형에서 우점종들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었고 VT4형의 종들은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종들이 제일 풍부하게 나타났다. 또한, 단목령-구룡령 구간에서는 희귀식물이 다소 분포하였는데 멸종위기종인 벌깨풀과 위기종인 구실바위취, 취약종인 백작약, 두메대극, 금강초롱꽃, 어리병풍, 약관심종인 등칡, 도깨비부채, 참배암차즈기, 미치광이풀, 병풍쌈 등 총 24종의 희귀식물이 나타났다.

백암산(강원, 홍천)일대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Mt. Baegam (Hongcheon-gun, Gangwon-do))

  • 천경식;김경아;유기억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71-188
    • /
    • 2016
  • 강원도 홍천군에 위치한 백암산(1,099 m) 일대의 관속식물상을 2014년 3월부터 2015년 7월까지 조사하였다. 그 결과 증거 표본에 의해 확인된 관속식물은 90과 293속 435종 5아종 58변종 8품종으로 총 506분류군이었다. 조사된 식물 중 한국특산식물은 14분류군, 희귀식물은 16분류군 그리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80분류군(V등급 3분류군, IV등급 7분류군, III등급 22분류군, II등급 21분류군, I등급 27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생태계 교란 야생식물 3분류군을 포함하여 총 36분류군이 조사되었으며, 도시화지수와 귀화율은 각각 11.2%와 7.1%로 산출되었다. 용도는 식용이 207분류군(40.9%)으로 가장 많았고, 목초용 200분류군(39.5%), 약용 146분류군(28.9%), 관상용 58분류군(11.5%), 그리고 목재용 15분류군(3.0%) 등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멸종위기 식물 덩굴용담의 기내번식에 미치는 생장조절제 효과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micropropagation of a rare and endangered species, Tsuru-rindo (Tripterospermum japonicum))

  • 문흥규;김선자;박소영;김용욱;이재선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6권1호
    • /
    • pp.13-17
    • /
    • 2009
  • 멸종위기 식물 덩굴용담의 기내증식법 개발을 위하여 기내증식에 미치는 생장조절제의 효과를 시험하였다. 6가지의 기본배지 시험에서 MS 배지가 줄기증식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싸이토키닌 가운데 BA 처리는 3.0 mg/L농도까지 증식에 유의적인 증식효과를 보였고, 그 이상 농도에서는 증식이 억제되었다. Kinetin과 TDZ는 BA 만큼 증식에 효과적이지 못했다. 발근에 있어 TDZ는 저농도에서도 발근을 현저히 억제하였으나, BA와 kinetin은 저농도 처리 조건에서 자발적인 발근이 이루어 졌다. 한편 지베렐릭산 ($GA_3$)의 처리는 줄기신장의 유의적인 효과가 있었다. 증식중인 줄기는 인공상토에 기외삽목하여 90% 이상 발근이 가능하고 정상적인 생장이 이루어졌다. 대부분의 식물체는 토양이식 다음해에 개화되고 과실을 맺었다.

오음산(강원, 홍천 및 횡성)의 관속식물상 (Flora of the vascular plants of Oeumsan Mountain (Hongcheon-gun and Hoengseong-gun, Gangwon-do))

  • 김경아;천경식;유기억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48-64
    • /
    • 2018
  • 강원도 홍천군 및 횡성군에 위치한 오음산(930 m)에 대한 관속식물 조사를 2016년 3월부터 2017년 9월까지 수행하였다. 조사 결과 분포가 확인된 관속식물은 98과 301속 436종 4아종 57변종 12품종으로 총 509분류군이었다. 특산식물은 9분류군이었으며, 멸종위기야생식물은 2급에 1분류군이었고, 희귀식물은 8분류군이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로는 V등급 1분류군, IV등급 4분류군, III등급 9분류군, II등급 19분류군, I등급 24분류군으로 총 57분류군이 조사되었다. 귀화식물은 생태계교란야생식물 2분류군을 포함하여 총 35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도시화지수와 귀화율은 각각 6.9%와 10.9%로 산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