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R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32초

한탄강 유역의 홍수량 산정을 위한 RAR 자료의 적용성 평가 (Assessment of RAR for Flood Estimation on Hantan River Basin)

  • 유명수;이재응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6년도 학술발표회
    • /
    • pp.20-20
    • /
    • 2016
  • 본 연구는 레이더를 이용한 강우 추정 시 과소 추정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상청에서 실시간으로 생산하고 있는 레이더 반사도를 AWS로 보정한 RAR (RADAR-AWS Rain rate) 자료의 수문 분석을 통한 적용성을 평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대상유역을 한탄강홍수조절댐 유역으로 선정하고 9개 소유역에 대한 시간 단위 지상 관측 자료와 RAR 자료의 유역평균 강우량을 산정 및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미계측 유역이 80%가 넘는 1번 소유역에서 지상 관측 자료와 RAR 자료의 유역평균 강우량은 상관성이 낮게 분석되었다. 두 자료의 유역평균 강우량을 이용하여 2012년부터 2015년까지 홍수기간에 대한 저수지 모의 유입량과 관측 유입량을 비교한 결과 RAR 자료의 모의 유입량이 관측 유입량과 높은 상관성 및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RAR 자료는 기존 레이더 강우의 과소 추정 문제를 보완할 수 있으며, 지상 관측이 어려운 지역에서 강우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뒤채움 시공순서 및 말뚝 수에 따른 교대 접속부 거동평가 (Evaluation of Behaviors in Abutment Transition Zone Depending on Constrution Orders and Number of Piles)

  • 김웅진;정락교;김대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7
    • /
    • 2017
  • RAR(Reinforced Abutment for Railways)은 뒤채움을 선 시공하고, 교대를 후 시공하여 접속부의 침하와 교대 수평토압 및 변위를 저감할 수 있는 교대 구조로 교대 구체 및 저판의 사이즈와 말뚝의 설치 수를 줄인 경제적인 교대 구조이다. 본 논문에서는 말뚝 설치 수에 따른 RAR의 성능을 수치 해석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말뚝의 설치 수를 1~4열을 적용한 RAR을 지반 변형계수를 달리한 조건에 대하여 수치 해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동일한 지반 조건에서 기존 교대의 수치해석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해석결과 말뚝 설치 수를 증가시키는 경우 접속부 침하저감 효과는 비교적 크지 않았고, 교대수평변위 및 토압 저감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말뚝 설치 열 수가 1~4열로 변할 때 RAR의 수평변위는 기존교대의 26~37%, 수평토압은 59~83%수준으로 말뚝 설치수가 증가할수록 기존교대(말뚝5열)에 비해 수평변위와 토압을 크게 저감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RAR의 수평 토압은 보강재, 말뚝, 기초저판, 원지반 강성 등의 영향을 복합적으로 받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미계측 유역의 유출모의를 위한 RAR 자료의 적용성 평가 연구 (Assessment of Radar AWS Rainrate for Streamflow Simulation on Ungauged Basin)

  • 이병주;고혜영;장기호;최영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4권9호
    • /
    • pp.721-730
    • /
    • 2011
  • 본 연구는 기상청에서 실시간으로 생산하고 있는 레이더-AWS 강우강도(RAR) 자료의 유출모의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춘천댐 상류유역(4859.73 $km^2$)을 대상유역으로 선정하고 5개소유역에 대한시단위 AWS와 RAR 유역평균강우량을 산정하였다. 미계측 유역에서는 AWS와 RAR의 상관성이 낮고 계측유역에서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단위 AWS와 RAR 유역평균 강우량은 강우분포형태에 따라차이가 크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자료의 유역평균 강우량을 이용하여 2006∼2009년의 홍수기간에 대해 모의유량을 평가하였다. 계측유역에 해당하는 춘천댐에서는 RAR 모의유량이 AWS 결과에 비해 정확도가 낮게 나타나나 미계측유역이 존재하는 화천댐과 평화의댐에서 AWS 모의유량이 과대추정되는 경우에 한해서 RAR 모의유량은 정확하게 모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단위 RAR 자료는 미계측 유역의 실시간 유량예측을 위한 강우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건설공사 유해위험방지계획서제도의 효과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Risk Assessment Regulations for Construction Works)

  • 안홍섭;노민래;이명구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34-139
    • /
    • 2001
  • The Risk assessment regulation(RAR) is one of the essential articles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law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along with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expense and safety organization regulation. However, arguments regarding the working time of the safety assessment documents, the person in charge of documentation, weakness in legislative enforcement etc. are ongoing. Thu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RAR for the guidance of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RAR. The findings are; 1) the effectiveness of RAR is recognized, however the indirect effectiveness ie, enforcement of safety activities, previewing of drawings etc. are bigger than the direct effectiveness of accident prevention, 2)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RAR site inspection procedure has to be utilized, 3) further research for identifying and getting rid of negative factors in RAR is recommended.

  • PDF

수치해석을 통한 철도보강교대의 응답 특성 연구 (A study on Response Characteristics for the Reinforced Abutment for Railroads by Numerical Analyses)

  • 김대상;정락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949-7956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뒤채움을 선 시공하고, 교대를 후 시공하여 침하와 교대 수평 토압 및 변위를 저감할 수 있는 경제적인 교대 구조인 RAR(Reinforced Abutment for Railroads)을 제시하고 수치해석으로 성능을 확인하였다. 먼저 유한요소 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존교대에서 발생하는 접속부의 침하와 교대 수평변위를 다양한 높이와 원지반 조건에 대하여 해석하였다. 이 후 보다 경제적인 설계를 위하여 교대 단면과 말뚝 기초수를 저감시킨 RAR에 대해 동일한 조건으로 해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RAR에서 발생하는 접속부 침하와 교대 수평변위는 기존교대의 20%와 34% 수준이며, 이는 뒤채움 안정화의 효과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RAR은 침하와 수평변위 제어 및 토압 재분배 효과를 통하여 교대 저판, 교대벽체, 교대 기초 말뚝 수 저감으로 기존 교대 보다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노인요양병원에 입원한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휴식-활동 일주기 리듬에 관한 탐색적 연구: 타액 알파 아밀라제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Rest-activity circadian rhythm in hospitalized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Korea and its relationship with salivary alpha amylase: an exploratory study)

  • 서민희;최지혜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5권4호
    • /
    • pp.306-315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rest-activity circadian rhythm (RAR) using data obtained from wearable actigraph devices in hospitalized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and to investigate its relationship with salivary alpha amylase (sAA). Methods: This secondary data analysis used data from the Hospitalized Older Adults' Cognition and Physical Activity Study. Actigraph data for 3-4 days were analyzed for RAR. RAR indices such as interdaily stability (IS), intradaily variability (IV), activity level during the most active 10-hour period and during the most least active 5-hour period, and relative amplitude (RA) were calculated. Data on sAA collected in the morning and general characteristics, including body mass index (BMI), were analyzed. Results: Data from 92 hospitalized older adults with MCI were analyzed. The IS, IV, RA were 0.23, 0.73, 0.88, respectively. The average level of sAA was 77.02 U/mL, and a higher level of sAA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etter IS and RA in the regression analysis, while age, BMI, and cognitive level were not. BMI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IS and RA. Conclusion: RAR in the hospitalized older adults with MCI was attenuated, showing especially low IS, which implies they failed to maintain regular and repetitive 24-hour RAR. Increased sAA and BMI were associated with robust RAR. Nurses need to pay attention to maintain robust RAR in hospitalized older adults with MCI, and strategies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their RAR.

Association of Methylation of the RAR-β Gene with Cigarette Smoking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with Southern-central Chinese Population

  • Li, Wen;Deng, Jing;Wang, Shuang-Shuang;Ma, Liang;Pei, Jiang;Zeng, Xiao-Xi;Tang, Jian-Xi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4호
    • /
    • pp.10937-10941
    • /
    • 2015
  • Pathogenesis of lung cancer is a complicated biological process including multiple genetic and epigenetic changes. Since cigarette smoking is confirmed as the most main risk factor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obacco exposure plays a role in gene methylation. Methylation of the RAR-${\beta}$ gene were detected using methylation-specific polymerase chain reaction in DNA from 167 newly diagnosed cases with NSCLC and corresponding 105 controls. A significant statistical association was found in the detection rate of the promoter methylation of RAR-${\beta}$ gene between NSCLC and controls ($x^2$=166.01; p<0.01), and hypermethylation of the RAR-${\beta}$ gen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moking status (p=0.038, p<0.05). No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RAR-${\beta}$ gene methylation and pathologic staging including clinical stage, cell type, gender and drinking (p>0.05), and the methylation of RAR-${\beta}$ gene rate of NSCLC was slightly higher in stages III+IV (80.0%) than in I+II (70.8%). Similar results were obtained for methylation of the RAR-${\beta}$ gene between squamous cell carcinoma (77.9%) and other cell type lung cancer (73.9%).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frequency of methylation increased gradually with the development of clinical stage in smoking-associated lung cancer patients, and tobacco smoke may be play a potential role in RAR-${\beta}$ gene methylation in the early pathogenesis and process in lung cancer, particularly squamous cell carcinoma. Aberrant promoter methylation is considered to be a promising marker of previous carcinogen exposure and cancer risk.

소 CYP26A1 유전자 프로모터의 molecular cloning 및 특성 (Molecular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Bovine CYP26A1 Promoter)

  • 곽인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2-49
    • /
    • 2016
  • 레티노산(RA)는 많은 유형의 세포에서 성장 및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생체 활성화에 적합한 RA의 농도는 CYP26A1 등 여러 가지 효소에 의해 조절된다. CYP26A1의 발현은 RA에 의해서 조절되며 CYP26A1는 RA에 반응하는 유전자 중 하나이다. CYP26A1 유전자 클로닝은 여러 동물에서 보고되어 있지만, 소에서 CYP26A1 유전자의 클로닝은 아직 보고되지 않았다. 소로부터 CYP26A1의 프로모터 부위를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이용하여 클로닝 한 후 다른 동물과 염기 서열 비교분석 결과 RARE DR-5 (ttggg)의 존재를 확인하였고, DR-5의 염기서열은 분석한 종 에서 완전히 일치하였다. DR-5 motif를 함유한 소의 CYP26A1 프로모터 부위를luciferase리포터 유전자에 결합한 후 transient transfection에 의해 promoter 발현을 분석하였다. 폐 유래 세포주인 MTCC 세포에서 CYP26A1 promoter의 발현은 ATRA의 처리에 의하여 촉진되었다. CYP26A1 유전자의 발현은 ATRA 의존적으로 RAR-α 및 RAR-β에 의하여 현저하게 촉진되었다. 그러나 RAR-γ나 RXR-γ는 CYP26A1 발현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또한 MTCC 세포주가 생산하는 내인성 CYP26A1 유전자 발현을 Q-RT-PCR로 분석한 결과 1-2일간의 ATRA 처리에 의해서는 현저한 영향을 받지 않으나, 3일 동안 ATRA를 처리한 샘플에서는 CYP26A1의 발현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소의 CYP26A1유전자의 프로모터 부위에 존재하는 DR-5 RARE는 RAR-α 및 RAR-β의 결합부위로 작용하여 MTCC 세포에서 CYP26A1 유전자 발현 조절과 RA signal의 조절에 관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위선암종에서 핵의 Retinoic Acid Receptor (RAR) 및 cAMP Response Element Binding Protein (CREB)의 면역조직화학적 발현양상 (The Immunohistochemical Expression of Nuclear Retinoid Receptor and CREB in Gastric Adenocarcinoma)

  • 한호선;김용석;박중민;최유신;차성재;김미경;지경천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8권4호
    • /
    • pp.182-188
    • /
    • 2008
  • 목적: 인체 내 여러 조직에서 상피세포의 분화 및 증식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고 알려진 retinoic acid (RA)와 여러 유전자들에서 전사조절인자로 성장관여 유전자들의 활성화에 관여하며 세포증식 및 분화에 매우 중요한 세포내 조절인자인 CREB의 발현정도와 위선암종간의 상호 연관성 및 병리학적 인자들과의 관계를 관찰하였다. 대상 및 방법: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용산병원에서 1998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위절제술을 시행 받고 위선암종으로 진단받은 환자의 위조직표본 중 보존상태가 양호한 파라핀 포매괴 150예를 연구대상으로 조직 표본에서 면역 조직화학적 염색을 통해 관찰하였다. 결과: 1. RAR의 발현은 장형 위선암종(72.2%)에서 미만형 위선암종(40.5%)보다 높게 나타났으며(P<0.01),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74.7%)가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49.2%)보다 의미 있는 발현양상을 나타냈다(P<0.01). 2. cAMP response element binding protein (CREB)의 발현은 장형 위선암종(69.4%)에서 미만형 위선암종(38.1%)보다 높게 나타났으며(P<0.01),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71.1%)가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47.8%)보다 높은 발현양상을 나타냈다(P<0.01). 3. 총 150예의 위선암종에서 RAR은 63.3% (95/150), CREB은 60.7%(91/150)에서 발현을 나타냈다(P<0.01). 결론: 이상의 결과로 RAR과 CREB은 조직학적 분화도 및 종양의 전이와 관련이 있고, 이들의 발현이 장형 위선암종에서의 생물학적 악성도에 관한 예후인자로서 관련이 있으나 이들의 발현이 위선암종에 미치는 생물학적 기전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 PDF

폐암종에서 Nuclear Retinoid Receptor 및 CREB의 면역조직화학적 발현 양상 (Immunohistochemical Expression of Nuclear Retinoid Receptor and CREB(cAMP Response Element Binding Protein) in Lung Cancers)

  • 신종욱;기승석;백광현;최원;박인원;김미경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6호
    • /
    • pp.631-637
    • /
    • 2005
  • 배 경 : 폐를 포함한 인체내 여러 조직에서 상피세포의 분화 및 증식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고 알려진 Retinoid acid(RA)와 여러 유전자들에서 전사조절인자로 성장관여 유전자들의 활성화에 관여하며 세포증식 및 분화에 매우 중요한 세포내 조절인자인 cAMP response-element binding protein(CREB)의 폐암종에서의 발현정도를 알아보고 조직학적 차이에 따른 발현도를 비교분석하여 발암과정에서의 관여여부와 역할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최근 10년간 시행한 기관지내시경 및 흉부외과적 적출을 통해 얻어진 폐암종 조직중 파라핀 포매의 보관상태가 양호한 120예(선암종 60예, 편평세포암종 60예)를 연구대상으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하였다. 결 과 : RAR과 CREB 모두 편평세포암종에 비해 선암종에서 발현이 의의있게 높았고(P<0.05) 선암종에서는 조직학적으로 분화도가 좋을수록 높은 발현율을 보였다(P<0.01). 총 120예의 폐암종에서 RAR과 CREB의 발현을 비교하면 65.8%의 동시발현율을 나타냈다(P<0.05) 결 론 : RAR과 CREB은 폐조직에서 점액상피세포의 분화와 상관관계가 있으며 편평세포암종보다는 선암종의 발암과정에서 일부 의미있는 역할을 수행하리라 생각되었다. 또한 RAR과 CREB의 발현부위도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일치양상을 나타내어 이들은 서로 상호작용에 의해 발암과정 중 일부 역할을 수행하리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