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PDs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44초

벼에서 RAPDs 분석에 의한 양친의 유전적 유사성과 잡종강세의 상관 (Relationship Between Heterosis and Genetic Divergence in Tongil-type Rice(Oryza sativa L.))

  • 안상낙;김윤선
    • 농업과학연구
    • /
    • 제28권1호
    • /
    • pp.1-7
    • /
    • 2001
  • RAPDs 분석에 의한 양친의 유전적 유사성 정도가 F1 잡종강세 예측에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통일형 6 품종(밀양42, IR747, 백운찰벼, 삼강벼, 수원307, 이리356) 간 반이면 교배 F1 15조합을 작성하였다. 양친과 F1을 공시하여 조사한 수량 등 8개의 특성과 RAPDs 분석을 통해 구한 양친의 유전적거리와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120개의 Operon 프라이머를 6개 품종의 DNA 증폭에 이용한 결과 3367개의 밴드가 발생되었으며 이중 168개가 6개 품종 중 1개 이상의 품종에서 변이를 보였다. 6품종간 유전적 거리는 최소 0.157(백운찰벼와 수원 307호 간), 최대 0.383(삼강벼와 이리356호 간)의 분포를 보였다. 잡종강세의 정도는 정조수량(129%), 수당립수(125%), 수장(109%) 등이 높은 잡종강세를 보였고, 유전적거리는 수당립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의 상관을 보였지만, 정조수량, 천립중 등과는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 PDF

Variations of RAPD and Chemical Composition of Capsositiphon fulvescens Culturing in Korea

  • Sun, Sangmi;Chung, Gyuhwa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69-170
    • /
    • 2000
  • The green marine algae, Capsosiphon fulvescens has been cultivated in south coast of southern Korea for many years on a commercial scale. This species is very popular in Korean as a food supplement because of its attractive flavor and flexcible taste.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isolate and utilize qualified germplasms for mass production of this economic seaweed. Several reports have been published on phycological applications of RAPDs including the characterization of interspecific genetic variation, the identification of isolates and hybrids, and the study of phylogenetic relationships. However few authors have used RAPDs to assess the genetic variability among populations of a seaweed species(van Oppen et al., 1994; Alberto et al., 1997).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for characterizing the identities of Capsosiphon fulvescens populations cultivating in Korea through the analysis of PCR based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s (Welsh and MacClelland, 1990; Willams et al., 1990) and chemical composition aimed to isolate the useful strains for aquaculture. (omitted)

  • PDF

중엽형 한국잔디(Zoysia spp.)류의 형태적 특성과 RAPDs를 이용한 분류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Medium-Leaf Type Zoysiagrasses (Zoysia spp.) and Their Classification Using RAPDs)

  • 최준수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88-96
    • /
    • 2010
  • 한국잔디류중 엽폭이 3~4 mm 정도를 보이는 중지류는 최근에 국내에서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잔디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잔디류 중 중엽형 36 계통과 기본 5종의 근연관계를 확인해 보고자 RAPD 방법을 사용하였다. 형태적 특성조사는 엽폭, 잎각도, 최하위 잎의 잎집 길이, 엽모, 지상포복경의 색 등을 조사하였다. 여덟개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19개의 RAPD 마커를 확인하였다. 마커를 이용하여 유전적 유사도를 조사한 결과 0~0.736의 유전적 변이정도가 확인되었다. RAPD 마커를 이용하여 분류한 결과 3개 군으로 나뉘어 졌다. 제1군에는 들잔디와 함께 미국에서 육성된 'Zenith', 'Meyer'등이 포함되었다. 제2군에는 갯잔디, 왕잔디와 함께 '안양중지', '삼덕중지', '평동중지' 등이 포함되었다. 그리고 제3군은 제1군, 제2군과 비교해 유전적으로 거리가 멀게 나타났으며, 금잔디와 비단잔디가 포함되었다. 한국에서 주로 이용되고 있는 '안양중지', '삼덕중지', 그리고 '평동중지' 류는 갯잔디 및 왕잔디와 유전적 유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RAPD 분석과 뿌리의 내부구조 비교를 통한 당귀류의 감별 (Discrimation of the three Angelica species using the RADPs and Internal Root Structure)

  • 이미영;임성희;주영승;한경식;정계진;안덕균;강헌철;고병섭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43-249
    • /
    • 2000
  • RAPD 분석을 통한 marker선별과 건조약재의 비교, 그리고 내부형태 특징을 통해 당귀3종(種)을 구별할 수 있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50개의 primer중 5개의 primer에서 당귀류 3품종을 모두 구별할 수 있는 특이적인 band가 나타났다. 2. 유연관계 분석에서 중국당귀와 일당귀가 참당귀보다 더 근연관계임을 알 수 있었다. 3. 신선한 잎과 건조된 약재에서 RAPD 재현성이 확인되어 RAPD 분석법을 통해 당귀감별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 뿌리 내부구조에서 중국당귀는 정상적인 2기사부와 2기목부에 덧붙여 일부 이상비대생장을 보였고, 일당귀나 참당귀의 도관절에 비하여 더 넓고 짧아 계통학적으로 훨씬 더 진화된 것으로 여겨진다. 5. 일당귀는 현저하게 두꺼운 코르크층이 발달한 반면 참당귀의 코르크층 아래에 $5{\sim}7$층의 후각세포층이 환상으로 발달하여 뚜렷한 대조를 이루었다.

  • PDF

누에 RAPD-PCR 분석을 위한 기초연구 (Fundamental Study for RAPD-PR Analysis in the Silkworm, Bombyx mori)

  • 황재삼;이진성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7-12
    • /
    • 1996
  • 누에 RAPD-PCR 최적조건에 대해 실험한 결과, 중합효소 연쇄반응(PCR)의 최적조건은 반응액 25$\mu$l에 대해 주형 DNA 30ng, dNTP mixture 200$\mu$M, primer 300mM, Taq DNA Polymerase 1.0unit 및 Mg2+ 1.5mM로 판단되었으며, 또 상기의 실험조건을 기본으로 하여 annealing 온도를 탐색한 결과 35$^{\circ}C$-42$^{\circ}C$에서 DNA의 증폭이 안정적임이 밝혀졌다. 또한 동일한 품종내에서 개체간 및 암수간의 DNA 다형성은 인정되지 않았고, 품종간 DNA 다형성은 OPM 04 primer를 사용한 결과 5개의 RAPD 마커로 인정 되었다. 양친간 다형성이 인정된 primer를 사용하여 F2 33개체에 대해 DNA를 증폭시킨 결과 800 bp band가 3 :1 로 분리되었으므로 누에 품종간 유전적 유연관계 및 유전자 지도작성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 PDF

Genetic Diversity Measured by RAPDs in Korean Barley Germplasm Pools

  • Kim Hong-Sik;Park Kwang-Geun;Baek Seong-Bum;Kim Jung-Gon;Nam Jung-Hyu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31-141
    • /
    • 2005
  • Molecular-based genetic diversity for a set of 141 accessions of Korean barley cultivars and 24 accessions of foreign exotic cultivars were analyzed using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s (RAPDs). Different level of genetic variability was observed with 30 random decamer primers in the Korean barley varieties and breeding lines which were preliminarily classified by morphological (hulled & hulless barley) and end-use (malting barley) and/or by the released periods. A total of 74 RAPD bands were scored, and the number of bands per primer varied from 1 to 7 with an average of 2.74. The hulled barley pool had one more marker genotype per primer than the hulless barley pool. The polymorphic information content (PIC) values based on the band pattern frequencies among genotypes varied depending on genetic pools where mean PICs of hulled, hulless and malting barleys were 0.62, 0.57, and 0.43, respectively. Certain genomic loci amplified by opR04, opF01, opB05, and opC13 were highly polymorphic with PIC>0.8. Patterns and temporal trends of genetic diversity assessed over the period from 1970s to 1990s had a tendency to increase, and in particular, this upward slant was quite clear and significant for the hulless barley pool. In the cluster analysis using genetic similarity matrix calculated from RAPD profiles, two major groups and several small subgroups were classified. Major grouping of materials was not affected by the presence of the husk but by their genetic background and the spike-row type. The validity of information on the genetic diversity and relationships between genotypes will have been reviewed to predict their yield potential.

RAPD Marker를 이용한 피 수집종의 유연관계 분석 (Analysis of Genetic Diversity in Echinochloa Species Using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s(RAPDs) Markers)

  • 김길웅;손재근;신동현;김경민;김학윤;이인중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6-83
    • /
    • 1998
  • 피속 잡초 수집종 33종을 대상으로 RAPD marker를 이용하여 피 수집종 간의 유전적변이를 알아보고, 수집종들을 판별할 수 있는 DNA marker를 선발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Operon사에서 제작된 74개의 10-mer RAPD primer 가운데에서 명확한 다형성을 보이는 6개 primer를 선발하였다. 이들 primer로 PCR에서 증폭된 밴드는 31개이었으며 이 가운데 다형성을 나타내는 band는 26개(83.9%)로 나타났다. 피 수집종 간의 유연 관계를 분석한 결과 공시된 피 수집종은 크게 3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 PDF

Identification of a Rice Gene (Bph 1) Conferring Resistance to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Stal) Using STS Markers

  • Kim, Suk-Man;Sohn, Jae-Keun
    • Molecules and Cells
    • /
    • 제20권1호
    • /
    • pp.30-34
    • /
    • 200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a high-resolution marker for a gene conferring resistance to brown planthopper (BPH) biotype 1, using japonica type resistant lines. Bulked segregant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520 RAPD primers to identify RAPD fragments linked to the BPH resistance gene. Eleven RAPDs were shown to be polymorphic amplicons between resistant and susceptible progeny. One of these primers, OPE 18, which amplified a 923 bp band tightly linked to resistance, was converted into a sequence-tagged-site (STS) marker. The STS marker, BpE18-3, was easily detectable as a dominant band with tight linkage (3.9cM) to Bph1. It promises to be useful as a marker for assisted selection of resistant progeny in backcross breeding programs to introgress the resistance gene into elite japonica cultivars.

Genetic Polymorphism among Korean Salmonids Determined by RAPD (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Analysis

  • Park, Jung-Youn;Kim, Mi-Jung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2권2호
    • /
    • pp.102-111
    • /
    • 2007
  • RAPD analyses using 60 OPERON primers and 13 URPs were performed in order to assess the genetic variation and frequency of polymorphisms in Korean salmonids. RAPDS were very reproducible and most useful at the sub-species level. In RAPD analysis, 138 polymorphic bands were detected between Oncorhynchus masou subspecies and 99 bands were generated in two types of rainbow trout. Estimated genetic distances between O. masou subspecies were 0.28794, and between wild rainbow trout and an albino mutant was 0.22786. Each species of salmonid was well characterized using URP 4R, the obtained bands could be useful as a species specific RAPD markers.